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곳곳서 산불…랜초 버나도·본솔·패션밸리

최근 수일사이 샌디에이고 카운티 일원에서 산발적인 산불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어 소방당국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샌디에이고시 소방국은 지난 22일 오전 9시쯤 산불이 발생한 랜초 버나도 지역 주민들에게 즉각적인 강제 대피령과 대피 대비령을 내렸다. 이와 함께 소방당국은 헬기 등을 동원한 집중 진화작전을 펼쳤다. 이 산불로 인근 학교들에서 수업중이던 학생들이 긴급 대피했으며, 인접한 로컬도로와 15번 프리웨이의 일부 구간에서는 수시간 동안 극심한 교통 체증 현상이 벌어졌다.     특히 이 지역은 샌디에이고 카운티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산불로 기록된 2007년 '위치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바 있어 주민들은 공포감에 휩싸이기도 했다. 다행히 약 7에이커의 초지를 태운 이 산불은 이날 오후 3시 무렵 완전히 진화됐다고 소방 당국은 발표됐다. 이 산불로 주민 한 명이 부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소방국은 현재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이에 앞서 화요일인 지난 21일에는 카운티 동북부 본솔의 '라일락'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이날 오전 1시19분 무렵 시작된 것으로 보고된 이 산불은 때마침 불어온 강풍을 타고 급속도로 번지며 85에이커의 초지를 숯덩이로 만든 뒤 약 23시간 후인 22일 자정 완전 진화됐다. 산불이 발생한 본솔 지역은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곳으로 향후 당국의 적극적인 산불 예방대책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이날 낮 12시쯤에는 샌디에이고에서 가장 많은 고급 브랜드 스토어들이 몰려 있는 패션밸리 쇼핑몰 인근 초지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프라어스 로드 7000블록의 언덕에서 시작된 이 불은 곧바로 출동한 100여 명의 소방대원들의 공격적인 진화작전에 힘입어 오후 3시쯤 진화됐다. 김영민 기자패션밸리 산불 산불 예방대책 위치 산불 패션밸리 쇼핑몰

2025-01-23

[사설] 버스·지하철 범죄 예방대책 내놔야

대중교통 이용자의 강력 범죄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 캐런 배스 LA 시장이 메트로 강력 범죄 근절 방침을 밝힌 날에도 ‘버스 내 살인사건’이 발생했을 정도다. 최근 한 달 동안 버스·전철에서 2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여기에 폭행 등 신고되지 않은 사건은 부지기수라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대중교통 범죄는 대부분 ‘묻지마 범행’이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범인들은 뚜렷한 동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범행 대상을 물색한다는 것이다. 이는 누구든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난달 중순 유니버설/스튜디오시티 전철역에서 발생한 60대 여성 피살 사건도 이런 유형이다. 체포된 범인은 피해자와 원한 관계는커녕 일면식도 없는 사이로 밝혀졌다. 경찰은 계획범죄가 아닌 우발적 공격이라고 발표했다.     지난주의 ‘버스 총격’도, 이번 주 초 발생한 ‘버스 내 칼부림’ 사건도 비슷한 유형일 가능성이 높다. 계획 범행이라면 굳이 많은 목격자가 있고 도주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버스나 지하철을 범행 장소로 선택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대중교통 이용자들은 불안감이 크다. 하지만 대안이 없다 보니 늘 조마조마한 심정으로 버스나 전철을 이용하는 실정이다. 특히 시니어와 학생들의 걱정이 많다. 버스·지하철에서의 묻지마 범죄 빈발로 서민들의 이동권이 위협 받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운전자가 공격을 당할 경우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관계 당국과 기관의 즉각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대중교통 이용자들을 일시적으로 안심시키려는 립 서비스가 아니라 하루빨리 실질적인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배스 LA 시장은 추가 인력 투입을 통한 범죄 예방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흉기 소지자는 아예 버스나 지하철 탑승을 막는 방안도 고려할 만하다.사설 예방대책 지하철 대중교통 이용자들 지하철 범죄 대중교통 범죄

2024-05-22

[사설] 한인타운 범죄 예방대책 세워야

 LA한인타운 치안에 경고등이 켜졌다. 지난 15일 한인타운 한복판에서 발생한 칼부림으로 1명이 숨졌다. 20대들의 말타툼을 말리던 주민이 흉기에 목숨을 잃었다. 노숙자에 의한 '묻지마 살인'도 발생했다. 지난 13일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간호사가 노숙자에 의해 피살됐다. 대낮 강도와 폭행사건도 끊이지 않는다. 여기에 차량절도 사건도 큰 폭으로 늘었다. LA한인타운 지역에서 작년 한 해 687대의 차량이 도난을 당했다. 이는 11년래 최다 기록이다.   범죄통계에서도 한인타운의 범죄 증가는 뚜렷하다. 범죄지도 서비스 ‘크라임맵핑’에 따르면 LA한인타운 중심 반경 2마일에서 지난 한 달간 총 164건의 범죄가 발생했다. 하루에 5건 이상의 범죄 발생률이다.     최근 경찰 예산삭감과 경관 부족사태 등으로 범죄가 빈번해지고 있다. 예산이 줄어 경찰 인력이 감소한 상황에서 코로나19 확진으로 결원이 생겨 순찰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다. 범죄 신고에 대응하는 시간도 늦어질 수밖에 없다.     수년 사이 코리아타운은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면서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돼 가고 있다. 한인타운은 한인들의 대표 상권이면서 타인종도 많이 찾는 곳이다.     경찰 당국은 순찰력을 확충해 범죄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또한 타운 비즈니스 업주는 자체 방범을 강화해 범죄 피해를 막고, 주민들도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 범죄는 예방이 최선책이다. 사설 한인타운 예방대책 한인타운 범죄 la한인타운 지역 la한인타운 치안

2022-01-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