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버크셔 해서웨이 시총 1조불 돌파

워런 버핏(사진)이 이끄는 복합기업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의 시가총액이 1조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 28일 버크셔(클래스B)의 주가는 장중 1% 이상 오르면서 시가 총액 1조 달러의 고지를 넘었다. 버크셔는 올해에만 28% 이상 주가가 급등하면서 여름 내내 시가총액이 1조 달러를 넘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를 받아온 바 있다.     이채로운 점은 버크셔를 제외하고 ‘1조 달러 클럽’에 가입한 6개 기업(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아마존, 메타) 모두 빅 테크 기업이라는 것이다.     버크셔는 보험부문을 필두로 소매, 식음료, 철도와 같은 전통적인 산업에 기반을 두고 있기에 ‘비 테크 기업’ 최초의 1조 달러 돌파로 화제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많은 주식을 매도하고 현금보유량을 늘린 버크셔의 판단에 투자자들이 동조해 주가가 올랐다고 분석했다.     버크셔는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와 애플 등 장기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대량 매도했고 2270억 달러에 이르는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버크셔 측은 많은 부분을 미국 단기채에 투자해 안정적인 수익을 실현하고 있다.     고금리와 경기 하강 등의 불확실성이 많은 경제 상황에서 이와 같은 전략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였을 것이이라는 게 월가의 해석이다.     투자 관련 연구기관 CFRA 리서치의 캐시 세이퍼트 애널리스트는 “시가 총액 1조 달러 돌파는 버크셔의 재정적인 영향력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말했다. 조원희 기자버크셔 시총 복합기업 버크셔 이하 버크셔 시총 1조불

2024-08-28

테슬라 시총 1년만에 장중 5000억불 붕괴

전기차업체 테슬라 주가가 16일 하락세를 이어가며 시가총액이 장중 5000억 달러 아래로 내려갔다. 테슬라 시총이 5000억 달러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4월 26일 이후 약 1년 만이다.   뉴욕증시에서 이날 오전 10시 30분(동부시간) 기준 테슬라 주가는 전장보다 3.60% 내린 155.66달러에 거래됐다. 현재 시가총액은 4959억 달러 수준이다.   테슬라 주가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월 ‘올해 판매 성장률이 지난해보다 현저히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뒤 큰 폭으로 떨어지기 시작해 올해 들어 현재까지 약 38% 하락했다. 시가총액이 지난해 말 7900억 달러에 가까웠지만 3개월 반 동안 약 2900억 달러 증발했다.   특히 테슬라가 이달 초 월가의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1분기 인도량(38만6810대) 실적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5일 전 세계 사업장의 인력 10% 이상을 감원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잇달아 타격을 줬다. 테슬라 주가는 15일 하루에만 5.6% 하락했다.   JP모건 체이스 앤드 컴퍼니의 애널리스트 라이언 브링크먼은 이날 “어제 발표된 대규모 해고로 인해 테슬라의 인도량 감소가 공급 문제가 아닌 수요 감소의 결과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어졌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지난 5일 테슬라가 저가 전기차 생산 계획을 폐기한다는 로이터 통신의 보도가 나온 것도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머스크는 이를 부인했지만 투자자들의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3일 발표 예정인 테슬라의 1분기 영업 실적과 머스크의 컨퍼런스콜 발언에 쏠리고 있다. 웨드부시증권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테슬라의) 비용 절감 근거와 향후 전략, 전반적인 비전을 머스크로부터 듣지 않으면 많은 투자자가 (하강행) 엘리베이터로 향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16일 종가는 전장보다 2.71% 내린 157.11달러로 마감해 시총 5000억 달러는 가까스로 지켰다.   김지혜 기자테슬라 시총 테슬라 시총 테슬라 주가 전기차업체 테슬라

2024-04-17

LVMH 시총 5000억불 돌파…예상치 2배나 웃돈 호실적

루이비통 등을 보유한 프랑스의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가 유럽 기업으로는 처음 시가총액이 5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경제전문매체 CNBC는 24일 LVMH의 이날 주가가 1년 전 대비 32.8%나 껑충 뛰며 시총 5000억 달러 클럽에 진입한 최초의 유럽 기업이라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LVMH의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7%나 대폭 증가함에 따라 주가도 동반 상승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12일 업체의 1분기 매출은 시장 예상치보다 2배 이상 웃도는 210억4000만 유로(약 232억4400만 달러)였다.   이에 더해 중국 정부가 코로나19와 관련된 각종 규제를 풀면서 아시아 지역 매출이 급증세를 보이는 등 명품 시장의 ‘큰손’인 중국 고객들이 돌아오면서 향후 실적도 크게 증가할 것이란 기대감에서 주가가 들썩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업체의 주가가 급등 덕에 LVMH의 베르나르 아르노 최고경영자(CEO)는 전 세계 부자 1위에 올랐다. 포브스에 따르면 24일 아르노 CEO와 그의 가족의 재산은 총 2435억 달러다.   한편 LVMH는 지방시, 불가리, 세포라를 보유한 글로벌 기업으로 2021년 국내 보석 장신구 브랜드 티파니앤코를 158억 달러에 인수한 바 있다. 우훈식 기자 woo.hoonsik@koreadaily.com시총 돌파 유럽 기업 베르나르 아르노 지방시 불가리

2023-04-24

증시 새해 첫날 혼돈…애플 시총 2조불 붕괴

뉴욕증시가 새해 첫 거래일에도 웃지 못했다. 빅테크대장주인 애플 주가가 급락하면서 시가총액 2조 달러가 무너졌고, 전기자동차 세계 1위 업체인 테슬라도 지난해 전기차 인도 실적이 목표치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폭락했다.   3일 뉴욕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5.36포인트(0.40%) 떨어진 3824.1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9.50포인트(0.76%) 떨어진 1만386.99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장중 300포인트 가까이 하락하다 막판에 하락분을 거의 만회했지만, 결국 10.88포인트(0.03%) 내린 3만3136.37에 장을 마감했다.   시총 1위 애플 주가의 급락이 뉴욕증시의 우울한 출발을 이끌었다. 애플 주가는 이날 3.7% 떨어진 125.07달러에 거래를 끝내 시총이 1조9900억 달러로 미끄러졌다.   애플 시총이 2조 달러 아래로 내려간 것은 지난 2021년 3월 이후 처음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지난해 글로벌 증시 하락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2조 달러 선을 내준 이후 애플은 시장가치 2조 달러를 유지한 유일한 기업이었다.   이와 함께 지난해 65% 폭락했던 테슬라는 새해에도 매도 주문이 이어지며 장중 14% 넘게 추락한 뒤 12.2% 떨어진 108.10달러에 장을 마쳤다. 장중가 기준으로 지난 2020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애플 증시 증시 새해 시총 2조불 장중가 기준

2023-01-03

'밈코인' 시바이누·도지코인, 나란히 가상화폐 시총 톱10 진입

시바견을 마스코트로 내세운 양대 '밈 코인'이 나란히 가상화폐 시가총액 순위 10위 이내에 진입했다.   CNBC방송은 가상화페 정보사이트 코인게코를 인용해 1일 오후 현재 시바이누, 도지코인이 차례로 가상화폐 시총 9, 10위를 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도지코인은 현재 27센트 정도에 거래되고 있으며 전체 시장가치가 350억 달러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바이누는 사상 최고가인 0.00008616달러를 찍으며 총액 380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밈 코인은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요소)을 따서 만든 가상화폐다. 도지코인은 개발자가 장난 삼아 유명 시바견(시바이누) 밈인 '도지'(doge)를 마스코트로 2013년 내놓은 가상화폐다. 시바이누도 도지코인을 겨냥해 2021년 재미로 나왔다.   이들 두 밈 코인은 시총 순위에서 엎치락뒤치락하며 경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 가상화폐의 성장 원인으로 지지자들의 열성을 들었다.   암호자산 관리 기술업체인 '온램프 인베스트먼트'의 케이틀린 쿡은 "양쪽 커뮤니티가 모두 주장이 강하고 헌신적"이라고 말했다. 시바이누 코인의 개발자는 시바이누가 "탈중앙화하고 자발적인 커뮤니티 구축을 위한 실험"이라고 백서에서 밝히고 있다. 이들 코인의 지지자 중에는 스페이스X와 테슬라의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 같은 유명인도 있다. 머스크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여러 알트코인을 언급해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올해 시바이누 이미지를 몇 차례 트위터에 올린 뒤 논란이 일자 비트코인, 이더, 도지코인은 갖고 있지만 시바이누는 없다고 밝혔다. 쿡은 "지금 상승세는 지지자 집단이 동력"이라며 "어떤 코인도 발언 영향력이 큰 사람이 증폭시키면 저렇게 될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CNBC는 알트코인의 가격이 특정인의 발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은 투자자들이 노출되는 위험의 큰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쿡은 도지코인과 시바이누에 돈을 붓는 행위는 투기라며 이들 코인은 대다수에게 장기투자 대상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CNBC는 어떤 가상화폐에 투자하더라도 투자금 전체를 잃을 수 있다며 어떤 종류를 선택하더라도 손실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만 투자하라는 전문가들의 권고를 전했다.   또 한편에서는 전문 투자업체들이 혁신의 도구로 평가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주목하고 가상화폐 투자에 나서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가상화폐 업체 '디지털 커런시 그룹'은 7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2·라틴아메리카펀드,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싱가포르투자청(GIC), 래빗캐피털,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캐피털G 펀드 등이 이번 투자를 주도했다. 이들 투자업체는 이번 투자 때 디지털 커런시 그룹의 기업가치를 100억달러로 평가했다.   소프트뱅크는 3개월 전에 이 부문에 투자를 시작했다. 가상화폐 거래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이 향후 인터넷, 인공지능과 관련한 기술이 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소프트뱅크 인터내셔널의 최고경영자(CEO)인 마르셀로 클라우레는 "준비가 안 됐다고 생각해 그간에는 가상화폐에 전혀 투자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가상화폐 시총 가상화폐 시총 가상화폐 투자 가상화폐 시가총액

2021-11-02

[J네트워크] 페이스북 파일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욥기 8장 7절)   페이스북을 설명하는 데 이보다 더 들어맞는 문구가 있을까. 시가총액 1100조원, 2019년 말 기준 자산총액은 159조원, 매출액은 84조원. 2004년 문을 열어 17년 만에 이룩한 성과다.   페이스북은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SNS) 제국이다. 세계 인구 3명 중 1명이 페이스북 산하 SNS 플랫폼을 사용한다. 월간 사용자 기준으로 페이스북은 27억 명, 왓츠앱 20억 명, 인스타그램 10억 명이다. 단순 계산으로 57억 명에 이른다.     하버드대 친구 찾기 프로그램이 페이스북의 원조라는 게 믿기 힘들 정도다.   성장 배경은 인수합병이다. 페이스북은 2012년 스타트업 수준이던 인스타그램을 1조1900억원에 샀다. 2014년에는 무료 문자·통화(VoIP) 서비스 왓츠앱을 26조원에 인수했다. 스마트폰 보급이 빠르게 늘며 페이스북 제국도 급성장했다.     동시에 수익 모델을 찾는 발걸음도 빨라졌다. 인스타그램에는 페이스북과 비슷한 광고 모델을 적용했다. 왓츠앱은 광고 도입이 무산되자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과 개인정보를 공유했다.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공익을 우선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말했으나 수금 본능을 감추진 못했다.   페이스북 제국은 최근 위기를 맞고 있다. 상품 기획 매니저로 일했던 내부고발자가 등장하면서다. 프랜시스 호건은 지난 5일 미국 상원 청문회 증인으로 나섰다. 앞서 일간 월스트리트 저널은 호건의 제보를 바탕으로 페이스북 파일이란 기사도 내놨다.   호건은 “(인스타그램은) 담배와 같다. 10대는 자기조절이 안 된다. 인스타그램을 하면 기분이 나쁘지만 이를 멈출 수 없다”고 증언했다.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극단적인 감정과 분열을 만들어냈다”라고도 했다. 인스타그램이 청소년에게 유해할 수 있다는 자체 조사결과도 숨겼다고 그는 증언했다.     그러자 마크 저커버그가 등판해 “(내부고발자)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발했다.   시총 1100조원 기업과 내부고발자 한 명의 싸움은 골리앗과 다윗에 비유된다. 페이스북 SNS 플랫폼 사용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고민했을 그 경험을 호건이 대신해 말하고 있다. 카카오·네이버 등 국내 IT 플랫폼 기업이 페이스북 파일을 통해 새겨야 하는 교훈도 적지 않다. 강기헌 / 한국 중앙일보 기자

2021-10-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