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스토리In] '83일 개근'이 어렵나

선거가 끝났다.   6.7 예비선거가 끝난 지 2주째를 맞는다. LA시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은 50% 이상 득표시 당선 그렇지 못하면 최다 득표 2명이 본선에 진출한다.   선거가 끝나고 며칠간 후보들 얼굴이 언론 지면에 오르내렸다. '유력' '본선 진출' '사실상 당선' 등 천편일률적인 제목과 함께다. 그러니 독자들 입장에선 선거가 끝났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리는 아니다.   그런데 사실 선거는 지금도 진행중이다. 최종 개표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집계가 늦어지는 이유를 아는 한인들은 많지 않다. 올해부터 시행된 캘리포니아 선거법(AB 37)이 원인이다. 개정된 선거 규정은 크게 2가지다.     먼저 등록된 모든 유권자들에게 우편투표용지가 발송된다. 장애 해외 거주 파병 등 유권자의 사정 혹은 요청에 따라 허용됐던 우편투표(부재자투표 사전투표)가 모든 유권자에게 확대됐다. 또 바뀐 점은 우편투표 접수 마감 기간이다. 종전까지는 선거일 이후 사흘 내 도착하는 우편투표만 유효표로 인정했지만 올해부터는 그 기간이 7일로 늘었다.   더 많은 유권자가 참여하고 더 오래 투표용지를 접수하는 목적은 당연히 투표율 확대에 있다. 그 대가가 지연되는 개표 결과인 셈이다.   하지만 집계가 늦어지면서 일부에서는 개정 선거법을 비난하는 목소리도 높다. 굳이 이렇게까지 선거를 치러야 할 필요가 있냐는 지적이다.   그도 그럴 것이 투표율 제고 효과가 변변치 않다. 17일 현재까지 캘리포니아 주전체 투표율은 30.9%에 불과하다. 직전 선거인 2020년 대선(46.89%)은 말할 것도 없고 그 이전 2018년 중간선거(37.54%)보다 크게 떨어진다.   그러나 저조한 투표율이 거꾸로 선거 개정안의 필요성을 역설한다는 의견도 있다. 만약 우편투표를 확대하지 않았더라면 그마저도 투표했겠느냐는 말이다.   사실 유권자들이 논쟁해야 할 부분은 투표방식이 아닌 후보에 있다. 누가 출마했는지 알고는 있는지 혹은 후보에 대해 알고 뽑았는지다.   LA시의회를 예로 들어보자. 이번 선거에는 15개 지역구 중 홀수 8개 지역구 의원을 뽑는다. 현직 의원 5명을 포함해 33명이 출마했다. 한인 후보가 한 명도 없으니 한인 언론들도 보도를 게을리했다.   그런데 LA시의원직은 한인 후보가 출마하지 않았다고 두루뭉술 결과만 보도할 자리가 아니다. 평균 27만 명의 지역 거주자를 대변해 정책을 입안하고 120억 달러에 달하는 시정부 연간 예산을 주무른다. 연봉 22만5000달러를 받으며 4년 임기 최대 3선까지 12년간 재직할 수 있다.   다소 늦었지만 의원들의 '출석표'만이라도 찾아봤다. LA시는 의원들의 전체회의 출석현황을 매달 공개한다. 물론 출석만으로 의정활동 전체를 평가할 순 없지만 최소한 '성실성'을 검증할 기준은 된다.   시의회 회기는 매년 7월에 끝난다. 그래서 지난해 8월부터 5월까지 열달간 출석표만 분석할 수 있었다. 결과는 딱했다.     8개 지역구 선거에 출마하지 못했거나 하지 않은 현직 시의원이 3명인데 이들 모두 출석률 꼴찌 5위내 이름을 나란히 올렸다. LA시장에 출마했다가 포기한 조 부스카이노(15지구)가 출석률 78.3%로 꼴찌다. 건강 문제로 출마를 포기한 마이크 보닌(11지구)은 85.5%로 아래서 3번째다. 임기 제한으로 시감사장에 출마한 폴 코레츠(5지구)가 86.70%로 뒤를 이었다.   '설사 내일이 마지막 출근이라해도 오늘까지는 최선을 다하겠다'는 직업 윤리는 유권자들의 순진한 기대다.   꼴찌 출석률이 78.3%면 괜찮은 성적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회의 일수를 알게되면 배신감마저 든다. 조사 기간 10개월간 전체회의 일수는 고작 83일이다. 83일을 개근한 의원은 한명도 없다.   선거 참여의 원동력은 바꿔야 한다는 유권자들의 책임 의식에 있다. 아직 11월8일 본선거가 남았다. 다행이지 않은가.   선거는 끝나지 않았다. 정구현 / 선임기자·부장스토리In 개근 캘리포니아 선거법 개정 선거법 선거 개정안

2022-06-19

[스토리In] 10년 가슴앓이, 코리아 콘퍼런스

안개가 내려앉았다.     배 위에서 밤바다는 소리로만 보였다. 보이지 않는 소리는 4층 갑판에서 안개처럼 스멀거렸다. "행사가 잘될까?" "올해 한번으로 끝나는 거 아니야?"   지난달 24일 마리나델레이 해상 요트 위에서 열린 코리아콘퍼런스 출범식이 끝나갈 무렵이다. 몇몇 참석자들은 여전히 행사에 대해 몰라 수군거렸다. 설명을 듣긴 했지만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눈치다. 그러니 기대도 우려도 말의 끝은 물음표였다.   담당 취재기자로서 그 질문의 답을 행사 전 여러 차례 보도했다. 코리아 콘퍼런스는 한국의 혁신 기술과 K브랜드의 미국 진출을 지원하는 행사다. 한국 유망 스타트업ㆍ중소기업을 행사에 초청해 그들의 원천기술과 콘텐츠를 글로벌 대기업 등 투자자에게 소개한다. 그래서 투자를 유치하고 미국 시장 진입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문장은 어렵지 않다. 그런데도 이해 못 하는 이유는 '그게 될까'라는 의구심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필요성을 누차 설명한 취재기자로선 답답한 노릇이다.   사실 이 답답함은 10년 묵은 체증이다. 정확히는 2012년 5월31일부터다. 이날 LA 부촌 벨에어 럭스호텔에서 '이스라엘 콘퍼런스'라는 행사가 열렸다. 한인 언론으로는 처음 취재해 보도했다.   이스라엘 벤처들은 이 행사를 통해 첨단 기술을 미국 시장에 공개하고 마이크로소프트 IBM 애플 등 미국 대기업들로부터 매년 억달러 단위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스라엘 원천기술은 미국인들의 생활속에 스며들고 발생한 막대한 이익들은 다시 자국 스타트업을 키우는 자양분이 된다.   당시 불과 4년밖에 되지 않은 신생 콘퍼런스가 성공 가도를 달릴 수 있었던 건 '정부-기술-미국내 유대인 네트워크'의 삼각 협력 덕분이다. 먼저 이스라엘 본국 정부는 주LA이스라엘 총영사관과 협력해 미국에 보낼 벤처사를 엄선한다. 벤처사의 기술력과 잠재력을 정부가 보증하는 셈이다. 행사 주최측은 이 벤처사의 성공을 위해 미국내 유대인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투자자로 참석하는 대기업의 실무책임자들은 대부분 유대인들이다. 행사장인 호텔 소유주도 유대인이고 음식마저도 이스라엘 기업 유대인이 운영하는 현지 업체에서 제공한다. 조국이 국가 기조로 내건 '혁신(innovation)'이라는 목표를 향해 똘똘 뭉친 결과다.     유대인들이 얄밉도록 부러웠다. 3년간 매년 행사를 취재하며 여러사람과 인터뷰했다. 도브 모란 CEO의 말은 충격적이다. 그는 'USB 메모리'의 발명가다. 창업 7년만인 2006년 그의 회사를 샌디스크(SanDisk)에 16억달러에 매각해 이스라엘 벤처의 영웅으로 불린다. 세기의 발명가는 김치를 역사적 창조 삼성을 현대의 창조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미 한국은 혁신을 이뤘다"며 "한인들도 '코리아 콘퍼런스'를 못 만들 이유가 없지 않은가"라고 되물었다.   당연한 말에 창피했다. 정부의 무심함은 말할 것도 없고 돈 많다는 한인들은 땅 사고 건물 짓는데만 바빴다.   그 후 10년간 '코리아 콘퍼런스'를 가슴앓이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스라엘 콘퍼런스를 벤치마킹하자는 말을 꺼냈다. 듣는 이들은 대부분 땅을 사거나 건물을 지어야 돈이 된다고 했다.   하지만 제니 주 대표는 달랐다. 그는 전세계 상위 1% 부자들의 자산 관리업체 전용클럽인 '보어스 클럽'의 비지니스 개발 총괄을 맡고 있다. 이탈리아 사우디 왕족을 비롯해 정재계 유명인사들이 그의 고객이고 오랜 친구다. 그는 "우리도 혁신을 만들어보자"고 산파역을 맡겠다 했다. 빠진 퍼즐이었던 정부쪽 역할은 한국 과학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인 '한국혁신센터 워싱턴 DC'가 힘을 보탰다. 한인사회 최초로 민.관 그리고 미주중앙일보 언론이 만든 행사가 그렇게 탄생했다.   이제 갓 출항한 코리아 콘퍼런스는 아직 갈 길이 멀다. 하지만 없던 길이 생겼다. 사람이 아이디어가 모이고 있다.   안개가 10년만에 걷히고 있다. 정구현 / 선임기자·부장스토리In 가슴앓이 콘퍼런스 코리아콘퍼런스 출범식 코리아 콘퍼런스 이스라엘 콘퍼런스

2022-04-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