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골프칼럼] <2298> 수평과 수직을 활용해야

다운스윙(down swing)과 클리어링 레프트 사이드(clearing the left side). 이는 탑 스윙으로부터 몸통과 팔, 그리고 클럽헤드가 볼과 목표를 향할 때의 왼쪽 몸 동작을 뜻한다. 다시 말해 다운스윙 때 왼쪽의 몸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볼을 칠 수 있도록, 연속동작의 제동을 와해하는 순간동작을 뜻한다.   원만한 백스윙과 탑 스윙이 완성단계에 들어갔다 해도 다운스윙의 몸동작이 올바르지 못하면 공염불에 불과한 것이 스윙이다.   왼쪽무릎과 허리를 중심으로 다운스윙을 시작해야 한다는 이론에 집착하면, 왼쪽의 축인 임팩트(impact)순간 왼발 무릎이 펴지며 왼쪽의 벽이 와해되는 실수가 발생한다.   이렇게 왼쪽 무릎이 임팩트순간 펴지면 당연히 왼쪽의 엉덩이가 등 뒤로 빠지며 왼쪽 몸이 스핀아웃(spinout)되고 왼쪽어깨까지도 뒤로 빠져 클럽헤드가 볼을 깎아 치거나 덮어 쳐, 볼의 방향은 보장이 없다.   다운스윙이란 의도적이거나 강제가 아닌 자연적으로 발생해야 체중이동은 물론 스윙의 흐트러짐 없이 강력한 힘을 발산할 수 있다. 이는 몸은 기계가 아니란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같은 장소와 시간, 같은 장비를 사용해도 매번 달라지는 것이 스윙과 구질이다.   왼쪽무릎이나 허리로만 다운스윙을 주도하면 몸이 목표를 향해 빠르게 열려, 여러 가지 실수를 저지른다.   왼쪽의 벽(무릎과 허리)도 살리고 강한 임팩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운스윙의 탄력을 받아 내려오는 양손을 적절히 사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따라서 왼쪽의 벽도 무너지지 않고 클럽헤드에 자신의 체중도 옮겨 실을 수 있는 포워드 스윙(forward swing)과 함께 팔로스루 (follow through)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실행할 때 주의할 것은 다운스윙에서 오른쪽어깨의 쳐짐과, 임팩트 순간 왼발무릎의 펴짐이다.   만약 다운스윙 중 오른쪽어깨가 쳐지면 임팩트 순간 높낮이가 바뀌며 뒤땅을 치거나 탑핑인 볼 위를 쳐 ‘조르르’ 볼이 구르는 현상도 발생한다. 또한 임팩트 순간 왼쪽 무릎이 먼저 펴지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체중이동은 절대 불가능해진다.   만약 임팩트 순간 왼팔이 굽어지며, 팔꿈치와 왼쪽어깨를 뒤로 빼내며 볼을 깎아 쳐, 악성 슬라이스를 유발시키고 피니시(finish)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다운스윙에서 클럽섀프트(shaft)가 몸 앞을 지날 때 수평을 유지하고 클럽섀프트가 수직상태에서 양손으로 쥐고 있는 그립 꼭지를 목표를 향해 끌어내린다는 개념으로 다운스윙을 시도해야 한다.   이때 오른쪽팔꿈치는 자신의 배꼽 쪽으로 넣는다는 기분으로 다운스윙을 시작하면 이것이 곧 스윙의 결정체. 즉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스윙을 주도한 것이나 다를 바 없어, 자연스러운 체중이동은 물론 볼을 강하게 쳐낼 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수평과 수직 수평과 수직 포워드 스윙 임팩트 순간

2024-06-27

[김상진 기자의 포토 르포] 사진으로는 담을수 없는 장엄함 ‘요세미티’

1년 만이다. 요세미티 국립공원을 다시 찾았다.   '엘 카피탄' 바위 밑에 섰다. 사람들이 웅성거리며 그 높은 바위를 쳐다보고 있다. 암벽등반가들이 바위를 오르고 있다. 눈을 크게 뜨고 봐야 보일까 말까다. 등반가들의 모습은 마치 고래등에 붙어 있는 따개비 같다. 암벽 등반가에게 엘 카피탄을 오르는 것은 꿈이다. 도전 그리고 정복의 대상이다. 전 세계에서 모여든 등반가들이 이 수직 바위를 쉼없이 오르고 또 오르는 이유다. 요세미티 국립공원에서는 매해 평균 17명이 사망한다. 그중에 바위를 오르다 떨어져 죽는 이가 가장 많다.엘 카피탄은 으뜸 바위다. 인디언 추장이란 뜻을 가졌다. 요세미티에서 가장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다. 거대한 바윗덩어리는 보는 이를 압도한다. 외관상 높이가 무려 3000피트(914m)다. 지질학자들은 이 바위가 시에라 네바다 지역이 고대 바다 밑에 위치하고 있었던 5억 년 전에서부터 시작했다고 추정한다.     수억년 전 두꺼운 바다 밑의 침전물들이 접혀지고, 뒤틀어지면서 수면으로 떠밀려 올라왔다. 동시에 녹은 돌들이 땅속에서 솟아 올랐고, 침전물 층이 아래부터 천천히 식어 화강암으로 변화했다. 지각 변동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사진 속 왼쪽 큰 바위가 엘 카피탄, 오른쪽 뒤에 보이는 바위는 하프돔이다. 두 바위 사이에서 흐르고 있는 건 브라이덜 폭포다. 누구나 한 번쯤 봤을 사진작가 안셀 아담스의 작품 'Yosemite Valley (1934년)' 를 찍기 위해 그가 섰던 자리에서 카메라를 들었다. 비록 80여 년의 시차가 있지만 사진 속 브라이덜 폭포의 힘찬 물줄기는 여전하다. 아담스의 사진은 흑백이지만 사진 속 풍경은 세월이 흘러도 그대로다.   위대한 자연 앞에서 작은 카메라가 무색하다. 압도적인 경이로움까지 담을 수 없는 건 렌즈의 한계다. 세상 그 어떤 카메라도 실제 인간의 두 눈과 가슴으로 느낀 장엄함까지 담아낼 수 없다. 사진은 그저 이미지를 기억나게 할 도구일 뿐이다. 주변을 둘러봤다. 엘 카피탄을 사진에 담으려고 수많은 사람이 연신 셔터를 눌러댄다. 그러나 자연의 신성함까지 온전히 담기지 않는다.  멀리서 바위를 기어올라가는 등반가들은 보니 그저 한 ‘점’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작디작은 인간은 그 거대한 바위를 오르고 또 오른다.   자연은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곳이다. 엘 카피탄은 그 가운데 자리 잡고 있다. 생명을 가진 자연은 인간을 어떻게 바라볼까. 대자연 앞에서 우리는 티끌일 뿐이다. 목이 곧을 수 없는 이유다. 김상진 사진부장 kim.sangjin@koreadaily.com김상진 기자의 포토 르포 요세미티 요세미티 국립공원 카피탄 바위 수직 바위

2023-08-18

[에이전트 노트] 부동산 시장 결산

아듀! 2021년. 힘겹게만 느껴지던 2021년이 너무 빨리 저물어 가고 있다.   전 세계가 팬데믹을 겪으며 지금까지도 코로나19확산세를 극복하지 못한 채 사회적 거리 두기와불안함 그리고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으로 이어지는 다중 고를 겪으며 코로나 시대의 두 번째 연말을 맞이하고 있고 코로나 19 사태가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던 삶의 방식과 형태를 바꿔 놓고 있는 가운데 새해를 맞이하는 활기찬 희망은 사라지고 코로나 19 시대의3년 차를 맞이해야 하는 우울함이 앞서는 때이다.   지난 1년간 부동산 에이전트로 일하면서 가장 많은 질문을 받은 것이 있다면 아마도 집값 상승과 관계된 질문일 것이다.   이젠 집값이 떨어지겠죠?, 지금 집값은 현실성 없는 거품이 아닌가요?, 도대체 13년 연속 집값이 상승한다는 게 말이 됩니까?, 코로나 사태로 경기도 안 좋다는데 왜 집값이 오르나요?, 등 모두가 집 값 상승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것이 손님들의 공통적인 질문들이다.   그리고 그 질문 뒤에는 반드시 집값이 곧 떨어질 것 같은데, 언제 떨어질까요?, 이자율이 곧 급상승한다는데 이자율이 오르면 집값이 폭락하지 않을까요?, 등 모두 집값이 떨어지기만을 바라는 질문들이다.   이러한 질문들이 이해가 가는 것은 지난 1년 사이 LA를 포함한 인근 지역의 집값이 무려 20%나 치솟으면서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남가주 부동산 가격은 엄청난 수직 상승 그래프를 나타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수직 상승곡선은 지난 2006년도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이후 한꺼번에 폭락했던 경험을 했던 바이어들은 지금의 상승 그래프 뒤에는 반드시 수직 하락 곡선이 나타날 것으로 믿었던 바이어들이 많다.   그러나 본인이 판단한 올 한해 부동산시장은 전혀 그렇지 않아 보였다. 그 이유로 현재 미국 내 부동산 소유주들의 홈 에퀴티(Equity)비율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는 것이다.   최근 한 부동산 데이터 분석 전문 업체의 2021년 1분기 발표 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50%가 넘는 자산을 보유한 주택소유주는 전체 31.9%가 넘는 것으로 발표했는데 이는 지난 2017년도 미국 내 전체 26.4%의 주택소유주들이 50%가 넘는 홈 에퀴티를 가지고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 중 자산비율이 50%가 넘는 홈 에퀴티를 가지고 있는 주택소유주는 캘리포니아 주 전체가 49%인 것으로 알려졌고, 샌호세가 67.4%, 샌프란시스코가 60.8%, 로스앤젤레스가 53.6%, 샌디에이고가 49.3%를 각각 기록한 것으로 보고됐다.   여기에 시장 내 공급되는 매물은 품귀현상이 생길 정도로 턱없이 모자란 상황으로 이미 수개월째 시장 내 유지되고 있는 매물은 고작  2개월 치 양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에 기름을 붓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어느 때보다 자산보유력이 높은 주택소유주와 시장 내 매물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올 한해 부동산 가격 상승세는 계속 유지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였다고 분석되며 이 같은 현상은 내년에 예상되는 이자율 상승에도 그렇게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문의: (213)500-5589         ※ 필자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해 가필이나 수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전홍철 WIN Realty& Properties에이전트 노트 부동산 시장 한해 부동산시장 부동산 시장 수직 상승곡선

2021-12-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