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구속영장 발부됐습니다” 대사관서 온 전화.. 알고보니

# LA 거주하는 직장인 A(60대)씨는 최근 주미한국대사관 번호(202-939-5663, 202-939-5600)로 걸려 온 전화를 받았다. 상대방은 자신을 대사관 소속 사건·사고팀 박성준 사무관이라며 한국 법원에서 A씨의 구속영장이 발부됐다며 겁을 줬다.   A씨에 따르면 박 사무관이라는 인물은 구속영장 내용을 확인하라며 웹사이트 링크까지 알려줬다.  A씨는 “알려준 링크로 접속했더니 법무부 형사사법포털이라는 사이트로 연결됐고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니 내 이름이 피고인으로 된 서울중앙지방법원 명의의 구속영장이 나왔다”며 “구속영장에는 마약 거래 위반, 여권판매 및 대여, 전자금융거래 위반 혐의가 명시돼 있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박성준 사무관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인물은 사기꾼이었다. 전화를 받는 순간 너무 당황해 속을 뻔했다는 A씨는 “더구나 접속한 웹사이트도 한국 정부 웹사이트와 거의 똑같았다”고 전했다. 이어 A씨는 “그런데 혐의가 너무 황당해 전화를 끊고 LA총영사관에 문의했더니 사기라고 알려줬다”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사기범은 A씨에게 가짜 웹사이트 링크(im.bdata923.com) 클릭을 유도하며 전화로 상황의 심각성을 계속 강조했다고 한다.   최근 한국의 재외공관·경찰·검찰·법무부 직원 등을 사칭한 신종 사기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서 주의가 요구된다. 이들 사기꾼은 주로 구속 영장이 발부됐다며 겁을 준 뒤 개인정보와 송금 등을 요구하는 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사기꾼들은 법무부 형사사법포털 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데 웹사이트 주소만 다를 뿐 일반인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만든 데다 구속영장도 그럴듯하게 조작해 한인들이 쉽게 속는다고 한다.     특히 이들은 전화 발신 번호로 진짜 주미한국대사관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치밀함까지 보이고 있다.     관계자들은 이들이 사용하는 가짜 웹사이트 도메인 주소는 한국 정부기관이 사용하는 ‘~go.kr’이 아닌 ‘~.com’을 쓰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주미한국대사관과 LA총영사관은 재외공관 발신 번호로 “구속영장이 발부됐다”는 전화가 오면 먼저 사기를 의심하라고 당부했다.       주미한국대사관은 지난해 12월부터 하루 평균 3~4건씩 보이스피싱 관련 민원 전화가 접수되고 있다고 밝혔다. 피해자 가운데는 사기꾼에게 속아 6만 달러 넘게 송금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미한국대사관의  김봉주 해외안전담당 영사는 본지 통화에서 “민원전화 대부분이 사기꾼이 말한 이름의 직원이 실제 근무하는지 묻는 전화였다”며 “검찰을 사칭해 마약 및 사건·사고 연루를 빌미로 보이스피싱을 시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영사는 “공공기관은 전화나 온라인으로 직접 개인정보 등을 확인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며 “이런 전화는 반드시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재·강한길 기자정부기관 사기전화 유도정부기관 사칭 주미한국대사관과 la총영사관 사기전화 한인 김형재 기자 캘리포니아뉴스 미국뉴스 LA뉴스 미국 남가주 미주중앙일보 LA중앙일보 한인사회

2025-02-19

사기전화, 정신건강까지 위협

     사기전화가 극성을 부리면서 미국인들의 정신건강을 크게 해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인들은 한달평균 스팸전화 28통, 스팸문자 42통을 받는다.   연방거래위원회(FTC)에 의하면 2021년 통신 사기 신고 금액은 58억달러로 2020년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 로보콜 자동응답전화 감시 앱인 로보킬러에 의하면, 사기전화 등에 응답하는 순간 이 정보는 순식간에 팔려나가기 때문에 더욱 많은 전화가 걸려오게 된다.     전화를 받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기방법도 날로 진화하고 있다. UPS 택배 도착 알림이나 자동차 워런티, 은행 계좌 사고 등으로 위장하거나 아마존, 애플 등 대기업 고객센터를 가장하며 로그인을 하도록 만든다. 페이스북 소셜 네트웍 서비스가 스팸과 사기의 온상이라는 지적도 받고 있다. 이 곳의 광고를 클릭하면 엉뚱한 곳으로 유도돼 사기의 늪에 빠지게 된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사기 등에 걸려들면 정신적인 스트레스 엄청난 수위로 높아져 건강을 해치게 된다고 우려했다.   버지니아 페어팩스 카운티에 거주하는 이레인 케넌씨는 사기꾼의 마수에 걸려 타겟에서 온라인 기프트 카드 6천달러를 구입해 전송했다. 사기꾼은 케넌씨의 손자를 사칭해 구치소에 수감돼 있는데 보석금이 필요하다며 기프트 카드를 요구했었다. 케넌씨는 사기 사건을 겪을 후 우울증 등 심각한 정신장애를 겪어야만 했다.   메릴랜드 몽고메리 카운티에 거주하는 파멜라 맥케롤씨는 최근 대장암 판정을 받은 후 스팸전화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암진단 이후 맥케롤씨의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어디론가 계속 팔려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메디케어와 시니어 베니핏에 대한 전화가 오더니 결국에는 장례보험 가입을 독려하는 전화까지 왔다.   그는 매일 20통 이상의 광고전화를 받아야만 한다. 버지니아 라우던 카운티에 거주하는 르네 호노던씨는 큰 딸 이름이 적힌 콜러 아이디 전화를 받았는데, 큰 딸을 납치했다고 주장하는 사기꾼의 전화였다.   사기꾼은 캐쉬 앱 정보를 알려주고 현금을 보내지 않으면 큰 딸을 살해하겠다고 위협했다. 다행히 경찰에 신고해 사기였다는 사실을 확인받았으나 호노던씨는 이후에도 정신적 충격을 벗어나기 힘들었다.   매튜 미미아가 UCLA 교수는 "스캠 피해자들은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불안장애에 걸려 전반적으로 정신건강에 많이 저하되는 공통점이 발견된다"고 밝혔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사기전화 정신건강 사기전화 정신건강 스팸전화 홍수 자동응답전화 감시

2022-07-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