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PCB 이상영 이사장 지분 13% 넘어

PCB뱅크가 5월 23일 2024년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이상영 이사장의 지분 보유율은 13%를 넘어섰다.     은행의 지주사 PCB뱅콥이 19일 연방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주주총회 소집통지서에 따르면 이상영 이사장이 보유한 지분은 188만7555주로 지분율이 13.23%였다.     이 이사장을 포함한 이사 7명과 헨리 김 행장 등 5명의 경영진(executive officers), 총 12명의 지분 보유율은 25.01%다. 작년 통지서에 보고된 25.73%에서 0.72%포인트 감소했다.     4년 전 금융 감독국으로부터 지분을 최대 15%까지 확보 승인을 받은 이 이사장은 지분을 계속 늘려가고 있다. 지난해 주주총회에서 보고된 12.40%에서 0.83%포인트 늘어났다.   한편 헨리 김 행장은 기본급 50만 달러를 포함해 총 110만 달러를 컴펜세이션으로 받았다. 이는 작년 148만 달러에서 25.68% 감소한 것이다.     PCB뱅크의 주주총회는 5월 23일 오전 10시 30분 LA본점에서 열린다. 이날 주주들은 안기준, 대니얼 조, 조혜영, 재니스 정, 대니얼 박, 돈 이 이사와 이상영 이사장, 당연직 헨리 김행장 등 8명의 이사 선임건, 경영진의 컴펜세이션 승인, 외부 회계법인 선정 외에도 이사 수를 5~9명에서 7~13명으로 늘리는 정관 변경 등의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서재선 기자 suh.jaesun@koreadaily.com이상영 이사장 이상영 이사장 지분 보유율 주주총회 소집통지서

2024-03-19

돈 있어도 집 안 산다…Z세대 트렌드

세대 간 형성된 인식·문화 차이는 경제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Z세대들이 고소득에도 주택을 구입하지 않는 사례가 확산해 관련 업계가 주목하는 모습이다.   지난 28일 폭스비즈니스는 Z세대가 주택 소유를 위한 모기지를 받는 대신 고급 편의 시설이 갖춰진 아파트에 임대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는 집을 살 계획이 전혀 없다고 말하는 실정이라고 부연했다.   매체는 약 5만 채의 아파트를 보유·관리 중인 부동산 전문 투자 기관 GID의 통계를 인용해 그들의 임차인 고객 중 4분의 1인이 20만 달러 이상의 연봉을 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6만 달러 정도다.   최근에는 펜실베이니아의 오래된 공장인 스크랜턴 레이스 공장을 개조해 만든 32채의 고급 아파트 중 3분의 2가 사전 임대를 완료한 사례도 소개됐다. 월 임대료가 최소 950달러에서 최고 3600달러까지 달하지만, 젊은 층에 인기가 좋았다. ‘지금 당장 집을 갖고 싶다’는 생각보다 번거로운 관리가 필요 없는 멋진 주거 공간을 추구하는 것이 Z세대들의 특징이라고 매체는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택자가 보유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올해 기준 64%로 중국(89%), 브라질(72%)에 뒤처진다. 소득과 자가 보유율이 비례하지 않은 셈이다. 매체는 이를 두고 ‘아메리칸 드림이 죽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폭스비즈니스는 “이것은 금전적인 문제가 아니라 문화적인 문제”라며 “젊은 세대들이 쉽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언가 하기 싫어 회피하는 것이라면 나중에는 아무것도 얻지 못할 것”이라고 논평했다.트렌드 아파트 z세대 트렌드 고급 아파트 자가 보유율

2023-12-29

뉴욕주 한인 ‘내 집 보유율’ 높아졌다

뉴욕주 한인들의 자가주택 보유율이 높아져 45%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팬데믹 이후 집값이 크게 뛸 조짐을 보이자, 많은 한인이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산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뉴욕시의 경우 렌트 가격이 급등해 맨해튼 평균 렌트가 월 5500달러를 돌파한 만큼, 집을 사는 데 대해선 보수적인 편인 뉴욕 한인들도 잇따라 집을 구매한 것으로 해석된다.   15일 센서스국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뉴욕주에 거주하는 한인(혼혈포함) 중 집을 소유하고 있는 이들의 비율은 44.6%로 집계됐다. 1년 전 주택보유비율(37.6%) 대비 7%포인트나 올랐다. 뉴욕주 한인 주택 중간값은 약 72만4400달러였다.     많은 한인들이 높은 렌트에 허덕이다 못해 집을 사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뉴욕주에서 렌트로 거주하는 한인들이 부담하고 있는 렌트 중간값은 지난해 월 1956달러로, 적어도 매월 2000달러에 가까운 돈을 렌트로 쓰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 한인들의 렌트 중간값(월 1765달러)과 비교해도 매월 191달러가량을 더 부담하고 있다. 뉴욕주 렌트 거주 한인 중 소득의 30% 이상을 렌트로 쓰는 이들은 절반(47.9%)에 달한다.   뉴저지주 한인들의 주택소유 비율은 지난해 57.1%로, 1년 전이었던 2021년 주택소유비율(57.2%)과 큰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다. 뉴저지주 한인들의 주택소유비율은 기존에도 뉴욕주 거주자보다 높았던 만큼 변화가 크지 않았다. 뉴저지주 한인들의 집값 중간값은 60만7700달러다.     미주 한인들의 주택보유비율은 아시안 커뮤니티 중에서도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전국 한인 205만1572명 중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54.2%로, 60%를 넘기지 못하는 수준이다. 전국 한인 주택 중간값은 57만6100달러, 세입자 렌트 부담은 약 1765달러다. 중국인들의 주택보유비율은 65.5%에 육박하며, 일본인(63.9%)·인도인(62.0%)·베트남인(68.0%)·태국인(62.4%) 등의 주택보유비율도 한인보다 높다. 한인밀집지역이 주로 집값이 비싼 대도시 위주라는 점 등이 한인들의 주택보유비율이 낮은 이유로 꼽힌다.   김은별 기자뉴욕주 보유율 뉴욕주 한인들 뉴욕주 렌트 뉴욕주 거주자

2023-09-15

민 김 행장 지분 보유율 4% 넘어

오픈뱅크 민 김 행장의 지분 보유율이 4%를 넘어섰다.   은행의 지주사 OP뱅콥이 12일 연방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한 주주총회 소집 관련 서류(proxy)에 따르면 김 행장이 보유한 지분은 63만5051주로 지분율이 4.15%였다. 전년의 소집통지서 기준 3.91%에서 0.24%포인트 늘어났다.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한 브라이언 최 이사장은 129만2606주로 지분율이 작년의 6.69% 대비 1.80%포인트 상승한 8.49%였다. 최 이사장과 은행이 새로 영입한 서니 권 이사, 형 김 이사를 포함한 이사 8명과 민 김 행장 등 7명의 경영진, 총 15명의 지분 보유율은 24.88%에 달한다. 작년 통지서에 보고된 지분율인 22.16%에서 2.72%포인트 늘어났다.   한편 지난해 김 행장은 기본급을 포함한 컴펜세이션으로 약 109만 달러를 수령했다. 전년의 173만 달러와 비교해 약 64만 달러(37%) 줄었다. 2021년 김 행장은 63만5000달러 상당의 스톡 그랜트를 받아 보수가 170만 달러를 돌파했다.   오픈뱅크의 주주총회는 6월 22일 오전 10시 LA 본점에서 진행된다. 이날 주주들은 최 이사장과 신임이사 2명, 도은석, 정수헌, 신용신 이사, 당연직 민 김 행장 등 7명의 이사 선임건, 은행의 회계법인 선정 등의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이날 김옥희, 박명자 이사가 퇴임한다.     오픈뱅크의 이사 정년퇴직 나이는 75세지만 각 이사의 의사를 존중해서 본인과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정년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 woo.hoonsik@koreadaily.com오픈뱅크 보유율 이사 정년퇴직 지분 보유율 행장 지분

2023-05-14

한인 '내집 보유율' 평균 이하

미국에 사는 여러 아시아계 주민들 가운데 한인의 자가 주택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30일 나타났다.   최근 연방주택금융청(FHFA)의 주택공급.대출.금융정책 관련 보고서에 인용된 전미 아시안 부동산협회(AREAA)의 2023년 현황 통계치를 보면 아시아계 미국인 주요 16개 인종 가운데 베트남계의 자가 보유율이 69.2%로 1위를 차지했다.   2.3위에는 각각 중국계(66.3%)와 일본계(66.5%)가 올랐고 필리핀계(64.3%), 인도계(62%), 라오스계(62%) 순으로 뒤를 이었다.   태국계(58%), 캄보디아계(57%), 하와이 원주민(55%)도 절반 이상이 자가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은 54.2%로 10위에 그쳤다. 다음으로는 파키스탄계(54%), 스리랑카계(52%) 등 순이었고 네팔계가 33%로 최하위였다.   FHFA는 "아시아계의 전체 주택 소유율은 60% 이상이지만 한인은 54%, 네팔계는 33% 정도였다"며 "지원이 부족한 지역사회의 데이터를 세분화해 분석해야만 인종.민족 하위그룹들이 직면하고 있는 차이를 식별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가구 중위소득은 인도계가 15만3050달러로 가장 많았다. 한인은 10만 달러로 필리핀계(10만7000달러), 중국계(10만3500달러), 일본계(10만2300달러)에 이은 5위였다.   다만, 2년 전 대비 중위소득 증가율은 한인이 18%로 가장 높았다. 인도계(17%) 중국계(12%), 베트남계(10%)도 상위권이였다. 다만 하와이 원주민(8%), 일본계(7%), 필리핀계(4%) 등은 중위소득 증가율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인들이 가장 많이 모여 사는 대도시권(MSA.Metropolitan statistical area.대도시통계지구)은 캘리포니아주 LA-롱비치-애너하임 권역으로 나타났다.   2위는 뉴욕.뉴저지 2개 주에 걸친 뉴욕-어크-저지시티, 3위는 동부의 워싱턴DC-알링턴-알렉산드리아, 4위는 서부 워싱턴주의 시애틀-타코마-벨뷰, 5위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샌디스프링스-알파레타였다.보유율 한인 한인 내집 주택 보유율 중위소득 증가율

2023-04-30

LA권역 주택 소유자 100명중 45명 불과

LA지역에서 내 집 마련이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나왔다. 올 1분기 LA권역(LA-롱비치-애너하임) 주민의 주택 보유율이 전국 75개 대도시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꾸준히 하락한 이 지역의 홈오너 비율은 2016년 3분기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홈오너 비율이 5% 이상 하락한 대도시 권역도 LA가 유일했다.   27일 발표된 연방 센서스의 분기별 홈오너십 보고서에서 LA-롱비치-애너하임의 주택 보유율은 10명 중 5명에 못 미치는 45.2%를 기록하며 전국 최저로 드러났다.     이 지역의 주택 보유율은 1분기 기준으로 2018년 51.9%에서 5년간 매년 꾸준히 감소했다. 〈표 참조〉 전국 기준 주택 보유율은 지난해 1분기 65.6%에서 65.4%로 소폭 낮아졌다. 센서스는 2015년 이후 LA권역의 주택 보유율이 가장 낮았던 것은 2016년 3분기의 44.7%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8년 1분기 51.9%로 자체 최고치를 기록했고 팬데믹 이후에도 46.8~48.3%를 유지했지만 올해 들어 급락했다.   LA권역의 낮은 주택 보유율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지난해는 샌호세와 분기별로 한 번씩 번갈아가며 꼴찌 경합을 벌였고 2020년은 1, 3, 4분기 75개 대도시 중 유일하게 40%대의 주택 보유율로 독보적인 최하위를 기록했다.   센서스의 구체적인 지역별 분석은 없지만 대신 부동산 정보업체 ‘질로’는 LA 시의 주택 보유율이 왜 전국 최저인가를 따져본 바 있다.   질로는 “집값 상승 폭에 뒤처지는 임금 인상 속도가 최대 걸림돌”이라며 “비싼 값에 치인 실수요층이 LA 외곽의 좀 더 저렴한 집을 선택하고 LA에는 렌트 세입자만 남으면서 통계상 주택 보유율이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번 센서스 보고서만 봐도 1년 만에 LA·OC의 주택 보유율이 3.1%포인트 하락하는 동안 주변의 인랜드 지역은 주요 도시 중 최대인 6.9%포인트 상승해 70%에 육박했다.   센서스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리버사이드-샌버나디노-온타리오의 인구는 460만명 이상으로 늘었고 특히 리버사이드는 이전 1년간 3만6000명이 순유입하며 인구 증가율 전국 3위를 기록했다.   또 LA타임스는 LA와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각각 리버사이드와 센트럴 밸리로 이주하는 주민이 많다고 이날 보도했다.   신문은 2020년 가을 샌버나디노에 18만9000달러를 주고 산 집으로 이사한 35세 여성과 인터뷰를 통해 LA에서 3000달러씩 냈던 렌트비의 절반도 안 되는 1220달러 모기지를 내고 내 집을 장만한 사연을 소개했다.   한편 채프먼대 도시개혁연구소의 조엘 코트킨 소장은 지난해 LA타임스 기고를 통해 “공급 확대를 주장하지만 결국에는 비싸고, 좁은 집들의 난개발만 부추길 것”이라며 “단독주택 부지에 최대 4유닛을 짓도록 한 SB 9과 같은 ‘업조닝’을 먼저 시행한 밴쿠버도 집값 인하 효과는 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류정일 기자la권역 소유자 주택 보유율 통계상 주택 대의 주택

2022-04-27

내 집 마련 꿈 멀어지는 밀레니얼 세대

얼마 전까지 주택시장의 주 고객으로 떠올랐던 밀레니얼 세대(25~40세)가 최근 집값 상승에 좌절하며 내집 마련과 점점 멀어지면서 이들의 주택 보유율이 이전 세대들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 웹사이트 ‘아파트먼트리스트닷컴’은 22일 ‘2022년 밀레니얼 홈오너십 리포트’를 통해 이들 세대의 주택 보유율이 48.6%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기준으로 선배 격인 X세대(41~56세) 69.1%, 침묵 세대(76세 이상) 78%, 베이비부머(57~75세) 78.5%에 비해 최대 30%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세대별로 40세를 통과했던 시점의 주택 보유율을 비교해도 밀레니얼 세대는 60%로 X세대 64%, 베이비부머 68%, 침묵 세대 73%에 못 미쳤다.   최근 수년간 밀레니얼 세대는 빠른 속도로 주요 주택 구매층으로 부상했다. 2019년 대비 2021년 세대별 주택 보유율은 밀레니얼 세대에서 5%포인트 이상 높아져 다른 세대보다 2배 이상 빨랐다. 2011년 30%였던 이들의 주택 보유율은 지난해 48.6%로 지난 10년간 급증했다.   그러나 팬데믹 이후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며 이들의 질주에도 제동이 걸렸다.   집을 안 사는 이유에 대해 렌트의 편리함, 정착지 물색 등을 더 많이 답했던 젊은이들이 이번 조사에서는 대다수인 70%가 “비싸서”라고 반응했다.   2018~2020년 이들 세대 중 주택 구매 포기자 비율은 5명 중 1명꼴이었지만 지난해는 4명 중 1명꼴로 늘었다.   또 밀레니얼 세대의 66%는 저축해둔 돈이 단 한 푼도 없다고 답했다. 1만 달러 이상을 저축한 경우는 16%에 그쳤다.   이들 세대의 평균 저축액은 1만2733달러로 이는 전국 기준 중간값 단독주택의 3%, 콘도의 4% 금액에 불과하다.   아파트먼트리스트닷컴은 “밀레니얼 10명 중 8명은 집을 사고 싶다고 답했지만 다운페이에 필요한 최소한 6만 달러 이상을 모아둔 경우는 2.3%였다”고 설명했다. 류정일 기자밀레니얼 세대별 밀레니얼 홈오너십 밀레니얼 세대 주택 보유율

2022-04-24

뱅크오브호프 케빈 김 행장 작년 보수 330만불

케빈 김(사진) 뱅크오브호프 행장이 지난해 연봉을 포함한 보수로 330여만 달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지주사 호프뱅콥 측이 연방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소집 관련 서류(proxy)에 따르면, 케빈 김 행장은 2021년 한 해 동안 기본 연봉(102만 달러)과 보너스 등으로 받은 컴펜세이션이 총 335만6422달러였다.   전년도의 280만 달러와 비교하면 53여만 달러(19%)가 더 늘었다.   주요 고위 임원(NEO) 중에선 전 최고운영책임자(COO)였던 데이비드 멀론 이사가 100만 달러 이상의 보수를 수령했다. 그는 지난해 기본 연봉 55만 달러와 보너스 20만 달러를 포함해서 총 121만 달러를 받았다.   최고리스크책임자(CRO)인 토마스 스팅어 전무가 79만 달러로 그뒤를 따랐다. 알렉스 고 최고재무책임자(CFO)와 김규성 동부 지역 프레지던트(SEVP)는 각각 76만 달러와 73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사와 경영진 17명이 보유한 주식 비중은 5.05%로 나타났다. 이사 중에서는 고석화 명예회장이 338만8904주(2.82%)를 보유해 가장 많았다.   100만 주에 육박한 96만4499주를 확보한 케빈 김 행장이 0.80%의 지분 보유율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도널드 변(51만2878주, 0.43%)이사와 데이지 하(51만1107주)이사가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 진성철 기자뱅크 케빈 행장 작년 지분 보유율 고석화 명예회장

2022-04-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