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 아침에] 등신불과 여호수아 나무

이 나무를 보는 순간 김동리의 ‘등신불’이 생각났다. ‘우는 듯한, 찡그린 듯한, 오뇌와 비원이 서린듯한, 그러면서도 무어라고 형언할 수 없는 슬픔이랄까, 아픔 같은 것이 보는 사람의 가슴을 콱 움켜잡는 듯한’ 부처님.  ‘허리를 제대로 펴고 앉지 못한, 머리 위에 조그만 향로를 얹은 채’ 가부좌를 튼 부처님.  ‘등신불’에서 나오는 묘사. 산채로 자신의 몸을 태워 원을 세우는 소신공양.  죽음의 순간 뒤틀어진 육신 그대로 모신 등신불.     잎새는 모두 바늘이 되어 가지 끝에 매달리고, 말라 죽은 바늘 잎새로 꽁꽁 싸맨 가지들, 가지는 가지마다 딴 방향으로 비틀리고 꼬부라져 있다. 하늘로 향한 큰 가지들은 두 팔을 올려 무언가 하늘에 간구하는 성자의 모습. 그래서 구약 성경에서 모세의 뒤를 이어 유태인들을 가나안으로 이끈 여호수아의 이름을 따서 여호수아 나무(Joshua tree)로 알려진 사막의 나무들. 이 나무들은 삶을 위해 몸부림치는 중생.     소설 ‘등신불’의 주인공 만적 스님은 자신의 몸을 태워 부처님께 바치는 초인적인 공양을 한다. 한 달 동안 천으로 동여맨 몸뚱이에 기름을 붓고 마지막에는 불 향로를 머리에 얹는다. 불길 속에 일그러지는 얼굴 그리고 죽음의 순간 고통의 뜨거운 몸부림 그대로 등신불이 된다. 그의 전신을 금으로 덮어씌워도 그의 표정 그의 몸짓은 그대로 남는다.     캘리포니아 사막 여호수아 나무의 기괴한 비틀림은 끈질긴 생명력의 형상이다. 물도 없는 척박한 땅에서 생명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절묘한 인연의 구도이다. 가시 같은 바늘 잎새로 물기가 날아가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리저리 꼬이고 비틀어진 가지들은 물 저장을 극대화하는 자연의 이치이다. 큰 가지는 하늘을 향하여 울부짖듯 뻗쳐 있고, 작은 가지는 땅을 향하여 애원한다.     등신불의 기괴한 몸짓은 어쩔 수 없는 몸부림을 그래도 최소화하려는 만적 스님의 ‘맘부림’이 녹아 있다. ‘몸부림’이 마음대로 부릴 수 없는 몸의 요동을 뜻한다면, 마음을 마음대로 부리지 못하는 흔들림은 ‘맘부림’ 이라 불러 마땅하다.  스님은 자신 어머니의 죄를 태워버리기 위해 소신을 한다.     사람은 몸부림도 치고 ‘맘부림’도 칠 수밖에 없는 유정중생이다. 형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맘부림’이 더 아프다.  ‘맘부림’을 다스리지 못하면 골부림이 되고 칼부림도 된다. 유정, 정이 있다는 것은 마음의 분별이 있다는 뜻.  무정의 나무는 살기위한 몸부림은 있어도 그 몸부림을 보이거나 감추어야 할 ‘맘부림’은 없다. 그래서 여호수아 나무는 솔직하다.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면 나뭇가지는 어느 방향 어떤 모양으로도 꺾이고 비틀어지고 올라가고 늘어진다.     만적 스님의  등신불이 효험이 큰 것은 아직은 인간 중생의 맘을 가지신 부처님이라서 사람들에게 더 감화가 큰 까닭이리라. 부처님이라고 인간 세계 감정의 티끌 하나 없이 다 털어 버린다면 범부들에게 위안을 줄 수 없을 터이다. 김지영 / 변호사이 아침에 등신불과 여호수아 등신불과 여호수아 여호수아 나무 바늘 잎새로

2023-07-03

[우리말 바루기] 바늘 한 쌈은 몇 개?

요즘은 예전만큼 물건을 세는 단위가 다양하게 쓰이지 않는다. 몇 개, 몇 마리 등과 같이 일률적으로 단순화해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쌈’은 바늘을 묶어 세는 단위로, ‘바늘 한 쌈’은 바늘 24개를 이른다. 누군가 “바늘 두 쌈을 달라”고 말하면, 그 사람에게 바늘 48개를 주면 되는 셈이다.   ‘거리’는 오이나 가지 따위를 묶어 세는 단위이다. 한 거리는 오이나 가지 50개를 이른다.   “요즘 몸이 허약해진 것 같아 보약 한 제 지어 왔다”와 같은 이야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여기서 ‘제(劑)’는 한의학에서 한약의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한 제는 탕약(湯藥) 스무 첩 또는 그만한 분량으로 지은 환약(丸藥) 따위를 가리킨다.   “명태 한 짝을 들여왔다”는 말을 들으며 ‘짝’이 한 쌍, 즉 두 개를 의미하는 것 아닌가 생각하는 이가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여기서 ‘짝’은 북어나 명태를 묶어 세는 단위로, 한 짝은 북어나 명태 600마리를 뜻한다.   또 조기나 청어 등의 물고기를 짚으로 한 줄에 10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은 ‘두름’이라고 한다. 즉, 한 두름은 20마리를 일컫는다.   이 외에도 물건을 세는 단위로는 축(한 축=오징어 20마리), 톳(한 톳=김 100장), 죽(한 죽=옷, 그릇 등의 10벌) 등이 있다.우리말 바루기 바늘 바늘 48개 바늘 24개 명태 600마리

2023-03-15

[우리말 바루기] 바늘 한 쌈은 몇 개일까

몇 년 전 지방직 공무원 국어 시험에 바늘 한 쌈, 오이 한 거리, 한약 한 제가 몇 개인지를 묻는 문제가 나온 적이 있다.   요즘은 예전만큼 물건을 세는 단위가 다양하게 쓰이지 않는다. 몇 개, 몇 마리 등과 같이 일률적으로 단순화해서 사용하다 보니 이런 문제를 어려워하는 사람이 많다.   ‘쌈’은 바늘을 묶어 세는 단위로, ‘바늘 한 쌈’은 바늘 24개를 이른다. 누군가 “바늘 두 쌈을 달라”고 말하면, 그 사람에게 바늘 48개를 주면 되는 셈이다.   ‘거리’는 오이나 가지 따위를 묶어 세는 단위이다. 한 거리는 오이나 가지 50개를 이른다.   “요즘 몸이 허약해진 것 같아 보약 한 제 지어 왔다”와 같은 이야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여기서 ‘제(劑)’는 한의학에서 한약의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한 제는 탕약(湯藥) 스무 첩 또는 그만한 분량으로 지은 환약(丸藥) 따위를 가리킨다.   “명태 한 짝을 들여왔다”는 말을 들으며 ‘짝’이 한 쌍, 즉 두 개를 의미하는 것 아닌가 생각하는 이가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여기서 ‘짝’은 북어나 명태를 묶어 세는 단위로, 한 짝은 북어나 명태 600마리를 뜻한다.   또 조기나 청어 등의 물고기를 짚으로 한 줄에 10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은 ‘두름’이라고 한다. 즉, 한 두름은 20마리를 일컫는다.   이 외에도 물건을 세는 단위로는 축(한 축=오징어 20마리), 톳(한 톳=김 100장), 죽(한 죽=옷, 그릇 등의 10벌) 등이 있다.우리말 바루기 바늘 바늘 48개 바늘 24개 지방직 공무원

2022-09-30

[삶의 뜨락에서] 기다림의 끝

긴 겨울이 지나갔다. 대서양의 바다가 봄바람의 소식을 끌고 왔다. 올해는 이상 기후로 따뜻한 날씨가 일찍 시작되어 특히 뒷마당의 한국 동백이 일찍 피다가 갑자기 기후의 변동으로 동백이 수난을 만났다. 여러 번의 대서양 출입 예약이 취소되며, 대서양의 문은 쉽게 열리지를 않고 4월 말일에야 겨우 문을 열었다. 참으로 지루한 기다림의 날들이었다.     오랜만에 출항 일정이 잡혔다. 항상 뉴저지에서 출발했는데 오늘은 롱아일랜드 프리포트 항구에서 밤 10시에 출발했다. 남쪽으로 약 120마일을 밤새도록 항해를 했다. 새벽 6시에 도착한 허드슨 캐년의 일출은 정말 장관이다. 육지에서 보는 일출과 망망대해에서 보는 일출의 모습은 정말 아름답고 웅장한 바다의 그림이다. 물밑의 옥돔들의 단잠을 깨우고 다양한 메뉴의 아침을 내려보낸다. 기다림의 꿈이 깊은 수심을 따라 내려간다. 오늘은 보름날 하루 전이다. 물살이 세다. 추는 3.5에서 4파운드를 달아야 바닥에 닿는다. 500피트에서 900피트 사이를 오르내리는 100파운드의 낚싯줄을 사용하는 Deep fishing이었다. 때로는 1500피트도 내린다. 대어의 도전자들 얼굴이 밝다.     미국의 옥돔은 두 종류로 BluelineTilefish(Tilefish는 옥돔류다) 세계 기록은 23파운드 6온스이고, 다른 하나는 Golden Tilefish로 세계 기록은 65파운드 3온스이다. 오늘은 모두가 기록을 깨는 꿈을 가지고 도전한다. 예측할 수 없는 하루가 시작이다. 기다림은 정말로 길고 지루함의 꽃이 될 수도 있고 낭패의 결과로 끝을 만날 수도 있다.     오늘의 낚시는 무척이나 저조했다. 25명 중 한두 명만 작은 사이즈(제주 옥돔 붉은색, 조기보다 약간 길다)가 물고 올라왔다. 미끼는 오징어, 고등어, 연어, 상어, 장어 등 각종 물고기의 살점을 쓰며, 가끔 가짜 미끼로 Jigging도 한다. 어떤 때는 예상치 않는 다른 어종들이 나타나면 당황스럽다. 특히 대형 상어가 나타날 때면 실랑이를 하며 장비를 손상할 수도 있고, 낚아 올리는 물고기를 반을 뚝 잘라먹거나 통째로 꿀꺽 바늘을 물고 늘어지면 줄을 끊어야 할 때가 종종 있는가 하면 이번엔 아직 비철인 Bluefin Tuna(참다랑어)가 나타나서 잡혔다. 한점씩 나누어 가지는 행운도 있었다. (NJ 규정: 한 척의 배에 한 마리만 잡을 수 있음) 운이 좋은 날이었다. 하지만 튜나가 물리면 이리저리 끌고 싸워야 하므로 일반 낚시꾼들은 낚시에 방해가 되는 때도 있다.     오늘은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지금껏 옥돔 낚시에는 늘 자신이 있고 나의 기록은 모두가 인정하는 꾼이었다. 번번이 winner를 했고 특히 2017년의 챔피언이 되었다. 한데무슨 일인지양옆에서 그리고 배 전체에서 계속 잡는데 나는 온종일 입질이 없다. 바늘도 다양한 것들로 시도했지만 허탕이었고, 아예 건드리지도 않는다. 이제 돌아가야 할 시간이 초조히 다가오고 있었다. 순간 2017년도 챔피언 바늘 생각이 떠올랐다. 마지막 기회를 걸었다. 대형 바늘에 커다란 대형 미끼를 달았다. 기다림의 마지막 순간까지 멈추지 않았다. 우리의 인생도, 사업의 끝도, 게임에서도 일찍 포기하거나, 좌절의 노예가 되어서는 성공이란 맛을 볼 수 없다. 최후의 일각까지 지킨다는 신념 아래, 끝이 나 봐야 안다고 일행들에게 일침을 주었다.     대형 사고다. 덜컥 물었다. 순간 떨어졌다. 바로 즉시 바늘을 내렸다. 다시 물었다. 조심스럽게 줄을 감는다. 대형의 촉감을 바로 느낄 수 있었다. 숨을 죽이고 천천히 감아올린다. 모두 지켜보고 있다. 선장이 내려다보며 함성이 터졌다. Big fish다. 대형의 Golden Tilefish였다. 들어 올릴 수가 없다. 갈고리로 찍어 올렸다. 온종일 빈손으로 시간을 보내다 끝나기 30분 전 대어를 올리는 순간 모두 비명이었다. ‘기다림의 끝’ 한순간은 아무도 모르는 열매의 향기다. 매사에 기다리는 인내의 힘은 큰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새삼 느끼면서 기다림의 끝은 기쁨이었다. 오광운 / 시인삶의 뜨락에서 옥돔 낚시 챔피언 바늘 세계 기록

2022-05-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