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전 세대로 기부 문화 확산 앞장"…존 림 KAF 신임 이사장

남가주 최초의 한인커뮤니티 재단 KAF의 신임 이사장으로 존 림(사진) 림넥서스 대표 변호사가 지난 1일부터 업무를 본격 시작했다.     림 신임 이사장은 커뮤니티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기부 문화 확산을 새로운 목표로 세웠다. 이를 통해 재단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겠다는 게 그의 포부다.   그와 KAF의 첫 번째 목표는 파운더스 서클 회원 100명을 모집해 1000만 달러의 기금을 조성하는 것이다. 파운더스 서클의 경우 10만 달러 이상 기부한 회원으로 구성된다. 림 이사장은 “한 명의 기부를 통한 1000만 달러보다 100명의 기부로 모인 1000만 달러가 커뮤니티의 단합과 본질을 더 잘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또 기부 문화를 한인 커뮤니티는 물론 전 세대로 확산시켜 2030년까지 1억 달러의 기금 조성의 토대 마련도 그의 목표 중 하나다.   림 이사장은 “커뮤니티가 하나로 뭉쳐야만 더 신속히 강해질 수 있다”며 “KAF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25년은 KAF가 설립 이후 다져온 기초를 바탕으로 더 큰 도약을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한인 1세대뿐만 아니라 2세, 3세까지 기부와 참여를 독려해 재단이 커뮤니티의 유산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AF는 매년 기부 규모를 확대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7개 단체에 총 52만5000달러를 지원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기부를 기록했다고 재단 측은 전했다. 그는 “기금 조성을 통해 재단의 지속성을 확보할 뿐 아니라, 많은 한인이 참여해 커뮤니티의 소유 의식과 공동체 정신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KAF는 특정 개인이 아닌 모두의 참여를 바탕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KAF는 또 한인 커뮤니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중 한 사례로 KAI(Korean American Institute)가 있다. KAI는 한인 역사상 최초로 설립된 싱크탱크로, 한인 사회의 주요 이슈를 조사·연구해 미국 주류 사회의 정책 지도자와 교육자들에게 실질적이고 설득력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한인 커뮤니티가 주류 사회에서 더 강력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KAF는 KAI와 같은 단체를 지원하며, 한인 사회의 지속 가능성과 발전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정윤재 기자이사장 기부 신임 이사장 기부 문화 한인커뮤니티 재단

2025-01-14

[문화산책] 젊은 신바람 문화의 엄청난 힘

참으로 어수선한 연말연시를 보냈다. 한국의 느닷없는 비상계엄과 탄핵의 소용돌이가 참 어지럽다. 순리대로 극복되고 정상의 삶으로 돌아오려면 아직 더 시간이 걸릴 듯하다. 살벌하고 시커먼 불확실성이 우리를 슬프고 답답하게 한다. 조국이 어두우면 우리는 더 컴컴하다.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조국이니까.   하지만, 그런 어둠 속에도 우리는 귀한 것을 얻기도 했다. 건강한 국민들이 보여준 희망이다. 한국 국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과 민주주의에 대한 굳건한 믿음, 특히 젊은이들이 보여준 전혀 새로운 차원의 시위문화는 실로 놀랍고 자랑스러운 것이었다. 세계가 놀라고, 외국 언론들이 하나같이 감탄하며 부러워했다. ‘광장의 품격’ ‘경쾌한 저항’이라는 멋진 말도 나올 정도였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노벨 낭독의 밤’ 행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시민들이 보여준 진실과 용기 때문에 감동을 많이 했어요. 자정이 넘은 시각에 굉장히 많은 시민들이 집에서 달려나가서, 모여서, 맨몸으로 장갑차 앞에 서 있기도 하고, 맨주먹으로 아무 무장도 하지 않은 채 군인들을 껴안아 달래기도 하는 모습은 깊은 감동을 주었습니다.”   젊은 세대들은 공격적인 구호와 깃발, 머리띠, 주먹질만 난무하는 살벌한 시위를 흥겹고 신바람 나는 축제로 변화시켰다. 그러면서도 할 말은 야무지게 다 하고, 수만 명이 한자리에 모였는데 정연하게 질서를 지키고, 쓰레기 하나 남기지 않는 감동적인 자세를 보여주었다.   2030 여성이 다수를 차지한 집회 참가자들은 온갖 아이돌의 형형색색 응원봉을 흔들며, K팝을 떼창으로 불렀다. “오랜만에 콘서트에 간 것처럼 스트레스 풀고 왔어요. 큰 소리로 신나게 노래하고 춤추면서 할 말 다 하고 왔습니다.”   그들이 들고나온 깃발이나 손피켓에 담긴 풍자와 해학은 뉴욕타임스 같은 외국신문에 크게 소개되기도 했다.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연맹’ ‘전국 집에 누워있기 연합’ ‘강아지 발냄새 연구회’ ‘전국 수족냉증 연합’ ‘직장인 점심 메뉴 추천 조합’ ‘전국 과체중 고양이 연합’ ‘(내향인)’ ‘나, 혼자 나온 시민’ 같은 재미있는 깃발들….     어떤 소속이나 주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 각자의 정체성을 발랄하게 드러낸 것이다. 과거의 촛불 시위처럼 하나의 상징으로 획일화된 것이 아니라 각자의 깃발과 응원봉으로 수없이 다양한 개개인이 하나의 지향을 말한 것이다.   이처럼 팽팽한 긴장과 대결의 상황을 재미와 신바람으로 풀어내면서 하고픈 말은 다하는 슬기, 이것이 바로 세계로 뻗어가는 K-컬처의 정신적 바탕이자 저력이다.   전문가들은 젊은 세대의 이런 시위문화를 ‘K팝 문화의 진화된 형태’로 해석하기도 한다. 최루탄과 화염병이 날아드는 과거의 과격 시위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안전한 시위라는 것이다.   새로운 집회문화의 바탕을 거슬러 올라가면, 월드컵 축구 응원과 촛불 시위가 있고, 더 올라가면 판소리나 탈춤의 질펀한 풍자와 해학, 익살, 골계의 미학이 있다. 그것을 오늘의 암울한 현실에서 살려낸 젊은이들이 자랑스럽다. 희망을 건다. 제발, 기성세대를 닮지 말기 바란다, 제발!   정치에 대한 생각이나 이념은 사람마다 다른 것이 당연하다. 모두의 생각이 똑같으면 그건 병든 사회다. 문제는 생각이 다르다고 서로 적대시하며 싸우지 말고, 마음을 열고 상대방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려 하는 자세일 것이다.     대동소이(大同小異), 화이부동(和而不同)이라는 가르침, 거기에 더해 요새 젊은이들처럼 흥과 신바람과 재미를 더하면 더 바랄 나위 없겠지.   신문기사의 한 구절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 “한국은 정치인들이 잠든 사이에 성장한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신바람 문화 깃발과 응원봉 시민의식과 민주주의 촛불 시위

2025-01-09

[아메리카 편지] 설날 음식

세 살 아기에게 떡국을 먹이며, 떡국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고 해마다 할머니께서 끓여주시던 뽀얗고 하얀 떡국이 생각났다. 귀한 음식 재료를 써서 새해를 기념하는 관습은 실은 글로벌한 음식 문화의 일부다. 조선 후기 세시풍속을 기록한 문헌에 따르면 천지 만물이 새로 시작하는 날에 깨끗한 흰떡으로 떡국을 끓여 먹는 풍습은 오래됐을 뿐 아니라 길게 뽑는 가래떡은 장수의 기원을 뜻했다. 가래떡을 잘게 자르면 엽전 모양 비슷해 물질적 풍요를 상징하기도 한다는데, 금전적 의미가 담긴 새해 음식은 세계적으로도 흔하다.   이탈리아에서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렌틸콩이 설날 음식이다. 짙은 초록색 원반 모양의 렌틸은 고대 로마시대 때부터 동전을 상징했다. 브라질과 칠레에서는 렌틸콩을 새해 전날 주머니에 넣어 다니거나 선물로 주고받기도 한다. 미국 남부에서는 노예무역 시대 서아프리카에서 건너온 검은눈콩이 복원력과 새 출발을 상징하는 새해 음식인데, 함께 먹는 우리의 시래기 비슷한 콜라드 그린의 초록색이 돈을 뜻하며 금색의 옥수수빵과 함께 풍부한 한 해를 기원한다. 스페인에서 설날 자정 종소리에 맞춰 12개의 청포도 알을 먹는 관습은 12달 동안의 행운과 번영을 기원한다. 19세기에 생겼다는 이 관습은 그리스 신화의 페르세포네가 저승에서 먹었던 6알의 석류씨를 연상케 한다.   된장·고추장·간장을 만드는 메주콩은 단백질 함유량이 35%나 되고, 서양의 렌틸콩과는 달리 발효가 잘된다. 쌀은 원산지가 동남아로 알려져 왔으나 몇해 전 금강 상류 지역인 소로리에서 BC 1만1970년경 볍씨가 발견되어 벼농사가 처음 시작된 곳이 한반도라는 설이 부상하고 있다. 설날 음식을 생각하면 우리의 풍요로운 음식문화가 하루아침에 생겨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설날 음식을 제대로 음미할 수 있는 정치 문화가 안착하기를 빈다. 김승중 /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아메리카 편지 설날 음식 설날 음식 새해 음식 음식 문화

2025-01-06

발달장애 학생들과 특별한 한국 문화 수업

어바인 세종학당(학당장 태미 김) 교사들이 발달장애 학생들에게 특별한 한국 문화 수업 경험을 선사했다.   교사들은 지난 12일 알리소니겔 고등학교 특수 학급 STEP반 학생과 교사들에게 한국의 지리적 위치, 대표적인 음식, 한국에 관해 소개하고 크리스마스 트리에 다는 장식(오너먼트) 제작을 지도했다.   자폐증, 다운 증후군 등 다양한 장애를 가진 수업 참가자들은 각자 만든 한글 이름표를 태극기와 남대문 스티커로 꾸미고, 오너먼트 홀더에 끼워 작품을 완성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한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새로운 경험을 하며 한글의 특성을 배웠다.   특수 학급 교사들은 “이번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더 자세히 알게 됐다. 특히 자신의 이름을 한글로 적어 보면서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즐기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앞으로도 한국 문화 수업이 학생들에게 더 많이 제공되기를 바란다”는 반응을 보였다.   어바인 세종학당 박현정 교사는 “성탄절을 앞두고 특수 학급 학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물하고 싶어 문화 수업을 기획했다.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고 뿌듯했다”고 말했다.   어바인 세종학당의 2025년 겨울 학기는 내달 8일 시작된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koreanamericancenter.org)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의는 전화(949-535-3355)로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발달장애 학생 발달장애 학생들 한국 문화 문화 수업

2024-12-26

[문화산책] 코리안 디아스포라 콘텐츠 열풍

2024년에도 K-문화의 뜨거운 열기가 이어져 우리를 자랑스럽게 했다. 미국사회에서 그 열기가 시작된 것은 K-팝, 영화, 드라마 같은 대중문화였다. 대중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크고 직접적이기 때문에 파급력도 클 수밖에 없다.   이제 한국적 스토리나 정서는 세계의 언어가 되었다. 그 배경에는 〈미나리〉 〈기생충〉 〈파친코〉 〈오징어게임〉 등이 있다. 이 작품들 덕분에 한국어 영화가 전 세계 사람들에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2024년 할리우드에서 큰 관심을 모은 K-문화 콘텐츠의 대표적 작품은 드라마 〈성난 사람들〉과 저예산 독립영화 〈패스트 라이브즈〉였다.   이성진 감독, 스티븐 연 주연의 〈성난 사람들(BEEF)〉은 골든 글로브상 작품상, 남우주연상 등 3관왕에 이어,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 감독상, 남녀주연상 등 무려 8개 부문을 휩쓸며 돌풍을 일으키며, 전 세계적 화제를 모았다. 특히 스티븐 연은 이외에도 미국 비평가협회상, 미국 배우조합상에서도 남우주연상을 받으며 확실한 입지를 다졌다.   “한국계 이민자의 삶에 밴 현대인의 고독과 분노를 그려내 세계인의 공감을 이끌어낸” 드라마가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둔 것은 정말 놀라운 사건이다.   한편, 올해 아카데미상 작품상과 각본상 후보에 올라 화제를 모은 〈패스트 라이브즈〉는 한국계 캐나다인 셀린 송의 데뷔작이다.   전생(前生)의 인연을 주제로 한 이 작품은 지난해 선댄스영화제에서 첫 선을 보인 이후 베를린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았고, 영국 아카데미상 후보에도 올랐다. 이어서 2024 필름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했고, 미국 독립영화상인 고섬 어워즈 작품상을 받았다. 젊은 여자 감독의 첫 작품이 이렇게 큰 주목을 받은 것 자체가 매우 드문 일이다.   이와 같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콘텐츠의 열풍을 반영하여, 아카데미 영화박물관은 〈윤여정 회고전〉을 마련해 〈미나리〉 〈화녀〉 등 대표작 8편을 상영했다. 또한, 부산국제영화제는 〈코리안 아메리칸 특별전: 코리안 디아스포라〉 코너를 마련해 할리우드에서 주목받고 있는 영화인들을 집중 조명했다.   할리우드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숨은 한인 인재들도 기대를 모은다.   영화나 드라마뿐 아니라 K-뮤지컬의 미국 무대 진출도 주목된다. 대표적인 예가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된 〈위대한 개츠비〉다. 한국의 제작사 오디컴퍼니가 현지 제작한 이 작품의 의상을 담당한 린다 조는 토니상 의상상을 수상했다. 올해 토니상에서는 하나 김이 〈아웃사이더〉로 조명상을 받았다.   남가주에서는 한국에서 제작된 뮤지컬 〈프리다〉가 USC 빙 시어터에서 공연되어 화제를 모았다.   한편, 남가주 한인 연극계는 오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나마, 〈뮤지컬 도산〉이 윌셔이벨극장에서 공연되었고, 선교극단 이즈키엘의 성탄공연이 있었다. 한편, 〈모임극회〉는 50주년을 맞아 자축행사를 가졌다.   K-콘텐츠의 세계적 위상으로 한국인이 세계 문화 속 ‘객체’에서 ‘주체’로 거듭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아카데미상, 에미상, 골든글로브, 토니상 등이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닌 ‘우리’의 이야기가 된 것이다.   최근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콘텐츠의 열풍은 미국에 사는 한인인 우리들에게 자신감과 긍지를 심어주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 이민자의 정체성을 담아낸 화제의 작품들은 이민 온 한인들의 삶을 역사적 맥락에서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열린 시각을 통해 백인 주류사회의 한국에 대한 편견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성난 사람들〉의 이성진 감독의 말은 의미심장하다.   “감동은 우리 안에 있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코리안 콘텐츠 문화 콘텐츠 한국계 이민자 어워즈 작품상

2024-12-19

[전문가 칼럼] 1만 시간의 법칙 뛰어넘는 2만 시간의 전문성과 사명감

  한 해를 마무리하며,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는 것은 무엇일지 되새겨 보았다.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면 최소 1만 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법칙이 있다. 매일 3시간씩 10년, 혹은 하루 10시간씩 투자하면 3년이 걸리는 셈이다. 전문가는 특정 분야 지식과 경험을 갖고 있어야 하며, 학습하고 재해석해 급변하는 시대에 발맞춰 새로운 관점과 논점을 제시해야 한다. 또 트렌드를 예측하고 대응방안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글로벌 서치 및 헤드헌팅 전문기업인 HRCap도 25년간 1500개 기업과 50만의 후보자들과 협업하며 글로벌 HR 전문성을 키웠고, 그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해 HR 산업 및 시장의 동향을 예측하여 기업·인재 모두가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매년 제시하고 있다.     다음은 HRCap이 제시하는 2025년 톱10 HR 트렌드다.     1. HR은 기업의 심장이 되어가고 있다. 인사팀은 앞으로 트랜잭셔널 관리자가 아닌 변혁적 비즈니스 파트너로 활동해야 한다.   2. 시장 불확실성과 다양성(Diversity)·형평성(Equity)·포용성(Inclusion)의 한계는 증가할 것이다. 공감도가 높은 매니저를 뽑고 키워야 DEI를 추구하고 실천하는 조직이 될 수 있다.   3. 대다수 기업은 이미 AI와 기술을 도입, 통합하고 있다. 기술 투자를 통해 HR 절차를 자동화하고 HR 정책을 발전시켜야 한다.   4. 최고의 CHRO들은 데이터 분석 사용을 상시화해 객관적이며 경쟁력을 갖춘 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 인사팀 모두 데이터 리터러시를 키워 응용할 수 있어야 한다.   5. 마켓 리더들은 학습 및 개발에 적극 투자해 최고의 핵심인재를 유치 및 유지하고 있다.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6. 수익성 있는 조직은 생산·효율·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영구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을 제공한다. 업무 성격과 팀 문화에 알맞게 재택근무와 사무실 출근을 병행할 수 있게 해야 한다.     7. 퇴사율이 낮은 기업들은 직원 경험 향상에 집중하고 있다. 다세대·다문화 조직의 니즈를 파악하고 개인화된 조직전략을 세워 직원 참여도와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8. 신체건강만큼 정신건강이 중요한 시대다. 번아웃이 오지 않게 직원들의 상태를 살피고, 경영자 본인의 정신건강도 챙겨야 건강한 조직을 이끌 수 있다.   9. 발전과 성장에 진심인 기업들은 ‘컬처 핏’이 아닌 ‘컬처 애드’를 수용하고 있다. 기술발전과 시대변화에 대응 가능한 변혁적 인재에 투자해 미래 가치창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10. 미래지향적 기업은 사회적 책임 중심인 사업 계획 및 조직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평생직장의 개념은 사라지고 있지만, 사명감을 가진 핵심인재를 찾아 투자하면 된다.   최소 1만 시간의 노력으로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곤 하지만, 그것으로 만족하지 말고 꾸준히 1만 시간을 더 투자해 공부하고 적절히 응용해야만 진정한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다고 본다. 새해를 맞이해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전문가보다, 스스로 인정하는 전문가가 되는 법을 되새겨 보길 바라며 무한한 응원을 드린다.   스텔라 김 HRCap, Inc. 전무(SVP, Head of Americas & Chief Marketing Officer)        ━   [Expert Column] 20,000-Hours of Subject Expertise in Vocational Calling Surpasses the 10,000-Hour Rule   A 20,000-Hour HR Subject Expert Offers Projections and Strategies for 2025 Top 10 HR Trends   As another year comes to an end, I reflected on what it may mean to truly become a subject expert.   The 10,000-hour rule indicates that it would take either 3 hours daily for 10 years or 10 hours daily for 3 years to develop subject expertise. Experts must have the foundational technical knowledge and niche experience in the specific field, and be willing to proactively learn, re-assess, and offer new yet unique perspectives to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times. They must also have the insight and intel to project trends and propose strategies to futureproof.   HRCap, a Top 10 Global Executive Search & HR Consulting firm, has developed and honed our global HR expertise by partnering with our 1,500+ clients and 500,000 candidates for the past 25 years. To maintain and strengthen our leading expertise, we annually forecast top HR trends and work with both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to address their unique needs.   Below are our HRCap 2025 Top 10 HR Trend Projections and Strategies.   1. HR is becoming the heart of the organization. HR teams must aim to become transformational business partners, not transactional administrators.   2. Market uncertainties and limitations of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will continue to rise. Hiring and developing highly empathetic managers is paramount to building an organization that effectively pursues and practices DEI.   3. The majority of global organizations have adopted and integrated AI and Tech advancements into HR strategies. HR leaders must invest in technology to automate HR processes and evolve HR policies.   4. Top CHROs strategically leverage data analytics to make objective and competitive business decisions. The entire HR team needs to develop data literacy and application skills.   5. Market leaders are actively investing in learning and development to attract and retain top critical talents. Continuously providing developmental support is critical to maintaining market competitiveness.   6. Profitable organizations offer forever hybrid work environments to maintain productivity, efficiency, and flexibility. Employees should be able to balance between remote work and in-office days tailored to the nature of work and team culture.   7. Companies with low turnover are elevating the employee experience. Organizations must identify the needs of multigenerational and multicultural teams and implement personalized strategies to increase employee engagement and satisfaction.   8. Mental health has become just as important as physical health. Management must monitor the employees’ well-being and the leaders’ mental wellness to prevent burnout and lead healthy organizations.   9. Organizations truly committed to growth and development are embracing “culture add” rather than “culture fit.” Leaders must create value-add by investing in transformative talent capable of adapting to tech advancement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10. Futuristic organizations center business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arou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concept of lifetime jobs fades, the focus should instead be on finding and investing in critical talent with a strong sense of vocational calling.   Over the past 24 months, I have offered monthly expert columns covering HR strategies, headhunting, and career-related topics that may be useful to client companies, professionals, and the general public. By studying recent trends and reflecting on rising issues, I found myself deepening my subject expertise, honing my niche voice, and holding a stronger sense of vocational calling.   While it is said that investing 10,000 hours makes one an expert in a field, one can only become a true expert who remains relevant and valuable by continuously investing an additional 10,000 hours in vocational calling. As you embark on the new year, I wish you the best in your vocational journey to becoming a self-recognized expert rather than one solely respected by others.   Stella H. Kim, SPHR HRCap – SVP, Head of Americas & Chief Marketing Officer  전문성 사명감 다문화 조직 조직 문화 HRCap stellakim 전문가칼럼 hr 에이치알캡 recruit 채용 스텔라김 구인 구직 1만시간의법칙

2024-12-18

[문화산책] 가로쓰기와 내리쓰기의 다름

때로는 지극히 당연하게 넘기는 일의 바탕에 근본적인 문제가 깔려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 당연한 듯 당연하지 않은 것을 찾아서 꼼꼼히 살펴 교훈을 얻는 일이 인문학의 시작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책이 그렇다. 지금 우리가 읽는 책이나 신문은 당연히 가로쓰기로 되어 있다. 왼쪽 위에서 옆으로 읽어가며,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읽어가는 형식이다. 서양의 책들과 같은 구조다.   하지만, 누구나 아는 대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은 오랫동안 내리쓰기를 해왔다. 우리의 옛 문헌들은 띄어쓰기 없는 내리쓰기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가 가로쓰기를 전용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책이나 신문이 모두 내리쓰기였다. 중국어 책이나 일본어 책은 아직도 내리쓰기를 한다. 컴퓨터의 영향으로 가로쓰기로 변해가는 중이긴 하지만, 아직은 내리쓰기 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오랜 세월 이어져 내려온 전통을 소중하게 지키는 것이다. 하지만 그래서 문화적으로 뒤떨어졌다는 이야기는 들어 본 적이 없다.   가로쓰기 또한 띄어쓰기와 마찬가지로 ‘구미선진국 따라 하기’인 것이 분명해 보이는데, 가로쓰기를 하는 까닭은 ‘사람의 눈이 가로로 찢어져 있으니 가로쓰는 것이 과학적이다’라는 친절한 설명까지 붙어 있다.   “책의 판면(版面) 짜기에서, 1980년대까지 이어 오던 세로짜기가 하루아침에 가로짜기로 바뀌는 현상을 목도하면서, 우리 사회의 문화조직이 ‘냄비현상’에 휘둘리고 있는 전형적인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세로짜기에서 가로짜기로 가더라도, 오랫동안 세로짜기 또는 세로쓰기를 해온 동아시아의 문자문명이 하루아침에 가로쓰기로 가야 하는지, 그 사유를 분석하고 검토하고, 그리고 검증하고 하는 신중함과 진지함이 크게 결여되었음을 지적하고자 함이다. …〈중략〉… 알파벳 문화에의 맹종을 경계하는 지적에 귀 기울일 일이라고 생각한다.”-이기웅, 〈출판도시를 향한 책의 여정〉 중에서   그런데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옛 문화를 읽을 때, 특히 그림을 볼 때 드러난다. 세상을 보고 표현하는 관점과 방법이 다른 것이다. 가로쓰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 가게 되어 있는데, 내리쓰기 문화에서는 오른쪽 위에서부터 내리읽으면서 왼쪽으로 옮겨 가게 된다. 별것 아닌 차이 같지만, 한국미술사학자 오주석(吳柱錫)의 설명을 들어 보면, 문제가 간단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작품을 읽는 동서양의 방식 차이는 아주 작은 듯하나, 그것이 초래하는 결과는 예상 밖으로 엄청나다. 우리 옛 그림은 애초 가로쓰기 식으로 보면 그림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옛 화가들에게는 세로로 읽고 쓰는 것이 너무나 당연했으므로, 보는 이도 당연히 우상(右上)에서 좌하(左下) 쪽으로 감상해 나갈 것이라 생각하면서 구도를 잡고 세부를 조정하고 또 필획(筆劃)의 강약까지도 조절했기 때문이다.”-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중에서   이렇게 가로쓰기와 세로쓰기는 우리 문화 전반에서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할 숙제라고 생각한다. 인제 와서 내리쓰기로 되돌아갈 수는 없겠지만, 편리하다는 이유만으로 오랜 전통을 무시하고 뭉개버리는 일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필요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 그런 일이 너무나 많다. 현대화, 세계화라는 미명 아래 속절없이 스러져 되살릴 수 없어진 무수한 우리 것들, 납득하기 어려운 쏠림 현상들….   이건 그저 농담이지만, 내리쓰기 책을 읽을 때는 고개를 끄떡거리게 되는데, 가로쓰기를 읽을 땐 도리도리를 하게 된다. 도리도리와 끄떡끄떡, 매몰찬 부정과 넉넉하고 수더분한 긍정의 차이….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가로쓰기 애초 가로쓰기 한국미술사학자 오주석 알파벳 문화

2024-12-05

[이슈 진단] 김정은은 무슨 전쟁을 하고 있나?

올해 상반기 한반도 전쟁위기설이 퍼졌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월 초 “대한민국을 완전히 초토화해 버릴 것”이라는 초강경 발언을 쏟아내면서다. 말로만 위협한 게 아니라, 전쟁을 준비하는 듯한 언론플레이도 했다. ICBM 추정 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하고,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순항미사일을 열흘 동안 수중 해상 육상에서 네 번이나 시험 발사했다. 남포조선소를 방문해서는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독려하고 “전쟁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그런데 난데없이 10월 초순 북한군 폭풍군단 병력 3000명을 우크라이나 전선에 배치했다. 한미 정보당국은 연말까지 북한군 1만2000명이 러시아에 파병될 것으로 판단했다. 남침 전쟁을 준비하면서 대규모 병력을 외국으로 파병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다. 전쟁의 마무리는 지상군이 적의 영토를 장악해야 끝나기 때문에 적을 압도하는 지상군 병력을 확보하는 것은 군사 상식이다. 게다가 지상군의 남침 통로로 이용할 수 있는 경의선 철도와 도로를 파괴하고 방벽을 세웠다. 북한이 과연 남침 전쟁을 준비하는 걸까?   김정은의 속내를 파악할 단초는 2023년 연말 노동당 전원회의 보고에서 남북통일을 지향하는 노선을 폐기하고 남북관계를 적대적 국가관계로 규정한 사건에서 찾을 수 있다.   1972년 7월4일 박정희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이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이라는 평화통일 3대 원칙을 공동성명으로 발표했다. 김정은은 할아버지가 발표한 7.4 남북공동성명을 폐기했다. 남북관계에서 “민족”과 “통일”을 지우겠다는 뜻이다.   북한 주민들은 “미국의 식민지에서 헐벗고 굶주린 남조선 동포를 해방해야 한다”고 사상교육을 받아 왔다. 그런데 갑자기 남한은 같은 “민족”도 아니고 “통일”할 대상이 아니라 “교전 중인 적국”이라고 사상교육 내용을 바꿨다.   할아버지의 업적까지 폐기하면서까지 남한을 “교전 중인 적국”으로 규정한 것은 남한 문화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이다. 같은 민족인 남한의 문화를 알려고 하는 것을 처벌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통일부가 지난 6월 공개한 ‘2024 북한인권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당국이 이른바 ‘3대 사회통제 악법’을 근거로 적극적으로 주민 통제에 나서고 있다. 이 보고서는 다수 탈북민의 증언을 토대로 작성했다. 3대 악법은 반동사상문화배격법(2020), 청년교양보장법(2021), 평양문화어보호법(2023)이다.   특히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은 적대국의 녹화물을 많은 사람에게 유포하거나 집단적으로 시청·열람하도록 조장한 경우 최대 사형까지 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남한 노래·드라마 등 외부 정보가 1990년대부터 북한에 유입됐으며 2000년대는 청소년과 청년들을 중심으로 전파가 가속화됐다. 2010년 이후에는 휴대전화가 주요한 정보공유 매체가 됐고 SD카드, USB 등 정 보공유 방식도 다양해졌다. 단속은 해도 처벌은 많지 않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남한 영상물이나 노래를 시청·청취했다는 이유로 사형까지 당하는 사례도 나왔다.   탈북민 단체들이 쌀과 달러 지폐를 포함한 전단지를 풍선에 실어 북으로 날려보내면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경기를 일으키는 것도 전단지에 남한의 실상을 알리는 글과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 세습을 폭로한 글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외부 정보의 유입은 북한주민의 사상통제를 어렵게 해 결국은 김정은 정권 유지를 위태롭게 한다. 김정은이 선대의 정치이념인 “민족 통일”을 모두 버리고서라도 남한 정보 유입을 차단하려는 이유이다. 그래서 ‘남조선’이라는 명칭을 버리고 ‘대한민국’이라 지칭하면서 남한을 “통일해야 할 같은 민족”이 아니라 “초토화해 버릴” 적대국으로 만들어 교류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려 한다.     지금 김정은은 정권 유지를 위해 외부 정보 유입을 철저히 차단하는 ‘쇄국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무영 / 뉴미디어 국장이슈 진단 김정은 전쟁 남침 전쟁 민족인 남한 남한 문화

2024-12-03

한국의 맛 알린 '아이 러브 김치 페스티벌'

한인 2세와 타인종에게 김치를 알리는 ‘아이 러브 김치 페스티벌’이 지난 25일 헌팅턴비치 한인교회(담임목사 김현석)에서 성황 속에 막을 내렸다.   오렌지카운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미주한인여성소사이어티(회장 실비아 백)는 지난 2021년부터 가주 김치의 날(11월 22일) 제정을 축하하고 김치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아이 러브 김치 페스티벌을 열고 있다.   올해 네 번째로 마련한 아이 러브 김치 페스티벌은 미주한인여성소사이어티 산하 미주한인청소년소사이어티와 헌팅턴비치 교회가 함께 주최했다. 이 행사엔 타인종 한국전 참전용사와 재향군인을 포함한 오렌지카운티 주민 약 150명이 참가했다.   주최 측은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 한국 전통 음식의 정수인 김치의 맛을 널리 알렸다. 행사 참가자들은 음악 연주를 감상하며 김치의 효능과 다양한 종류의 김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김치 담그기 체험은 참가자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참가자들은 함께 만든 겉절이에 수육을 곁들여 한식을 즐겼다.   가주 하원의원 재임 시 가주 김치의 날 제정을 주도한 최석호 전 의원은 축사에서 “김치는 한국의 전통을 넘어 전 세계가 주목하는 건강식으로 자리 잡았다.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함께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지난달 5일 열린 선거에서 가주 상원 37지구에 출마한 최 전 의원은 최근 승리를 선언했다.   아이 러브 김치 페스티벌은 미주한인여성소사이어티의 대표적 연례 행사다. 주최 측은 다양한 커뮤니티 단체들과 협력해 김치를 매개로 한국 문화와 전통을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미주한인여성소사이어티 관계자는 “올해 행사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며, 한국을 대표하는 소울 푸드인 김치가 지역 주민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가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한국 문화를 알리는 다양한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상환 기자페스티벌 한국 한국전 참전용사 한국 문화 정수인 김치

2024-11-28

“커뮤니티 합창단으로 한국 문화 알려”

LA서울코랄(단장 윤영석)이 창단 50주년을 기념하는 ‘제75회 정기연주회’를 개최한다.   오는 1일 오후 7시 LA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리는 이번 공연은 진정우 박사가 지휘를 맡고 소프라노 황혜정, 바리톤 김경태가 특별 출연한다.   LA서울코랄은 한인 이민사회에서 활동한 최초 합창단이다. 1960년대 말부터 한국성악계와 기악계 예술인들이 LA에 모여들었지만 설 무대가 없었다. 1974년 박재훈 박사가 나성서울코랄(현 LA서울코랄)을 창단하면서 성악 전공자 30여명이 참여해 다양한 무대를 선보였다.     6대 지휘자인 한국교회음악계의 거장 김순세 장로에 이어 7대 김동현 지휘자로 넘어가면서 한인사회가 커지고 대형 교회 중심 음악회가 열리며 합창단 활동은 서서히 축소됐다. 1997년 진정우 박사가 지휘를 맡으며 LA서울코랄이 부활했다. 진박사는 “반주자 없이 단원 4명으로 다시 합창단을 시작했다”며 “개인합창단이 아닌 커뮤니티합창단으로 활동하는데 뜻을 두었다”고 말했다.     그사이 합창단은 4개 성가 테이프와 1개의 CD를 제작했다. 1993년에는 타운교민회에서 수여하는 ‘올해의 인물상’으로 선정됐다. 음악으로 타커뮤니티와 화합하고 다인종과 합동공연도 지속했다. 롱비치 카메라타 싱어스가 주최한 멀티컬처 콘서트, 애너하임 멀티컬쳐 페스티벌에도 한인단체로서 유일하게 초청돼 한국 문화를 알리는 문화 사절단 역할을 했다.     현재는 진정우 박사가 상임 지취자를 맡아 정기연주회, 찬양인도, 지역 순방 공연 등 매년 2~3차례 정기 및 특별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       진박사는 “뜻깊은 50주년 기념 공연에 LA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30여명 성악가가 참여했다”며 “청중이 함께 부를 수 있는 한국가곡과 성가곡을 선곡했다.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의: (323)309-3368 이은영 기자커뮤니티 합창단 커뮤니티 합창단 합창단 활동 한국 문화

2024-11-28

하코나마타타 찬양의 밤 “하코 랜드”, 문화 예술 통해 복음 전한 학생들

 캐롤튼에 위치한 하나로교회와 코너스톤교회 유스 연합인 ‘하코나마타타’의 찬양의 밤이 ‘하코 랜드’ 라는 주제로 지난 토요일(16일)에 하나로교회에서 열렸다. 프로그램은 하코나마타타 중·고등부 학생들의 하코밴드, 하코4중주, 워십댄스, 태권도, 스킷 드라마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중간에 특별 연주로 한예종에서 국악을 전공한 연주자 신희선 사모가 함께 해서 아이들에게 힘을 보탰다. 또한, 하나로교회 어린이합창단이 초대되어 노래와 율동을 선보이며 찬양의 밤을 열었다. 신희선 사모는 봉황새 모양을 닮았다 해서 ‘생황’ 이라고 이름 붙여진 한국 전통 악기로 찬송가 ‘참 아름다와라’를 연주했고,  이어서 ‘아리랑’과 손경민의 ‘감사’를 한국 전통  피리 연주로 선보였다. 첫 순서로 진행된 ‘Haco of Rocks’에서 하코 찬양 밴드는 찬양곡을 연주하며 관객들의 찬양을 리드했고, ‘Matatanic’라는 이름으로 바이올린, 플룻, 클라리넷의 하코4중주 연주와 ‘Haco Up’ 워십댄스가 이어졌다. 중간에 스페셜 게스트의 연주가 있은 후에는 ‘Haco Panda’ 라는 이름으로 태권도 워십이 선보여졌고 ‘예수’ 라는 제목의 스킷드라마가 하코랜드 찬양의 밤의 대미를 장식했다. 워십댄스와 스킷 드라마 외에 베이스 연주와 태권도를 선보인 애슐리 학생(10학년)은 “찬양의 밤을 함께 준비하면서 같이 모여 연습하는 게 어렵긴 했지만, 기도하면서 함께할 때 하나님께서 인도해주시는 것을 느낄 수 있어서 모든 과정이 놀라웠고 너무 행복했고 감사했다”고 말하며 “예수님을 전할 수 있는 이런 기회를 계속적으로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고, 이번 행사에 참석한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님이 만져주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기타 연주와 스킷에서 예수님 역할을 한 오해빈(10학년) 학생은 “힘든 준비 과정을 통해서 함께 연합됨을 경험했고, 잘 모르고 친하지 않았던 아이들과도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다”며 “예수님을 전하는 이런 기회에 함께 할 수 있어서 기쁘다”고 전했다. 하나로교회 중·고등부 담당 임영광 목사는 “아이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교단, 교회 상관 없이 같이 성장하고 신앙 안에서 서로 위로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좋고 감사하다. 연합사역을 하면서 감사가 넘치게 된다”고 말했으며, 코너스톤교회의 김시온 중·고등부 담당 목사는 “하나님이 다음 세대를 위한 놀라운 계획을 갖고 계시고 여전히 살아서 역사하신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끼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관객석에 자리잡고 있었던 한 비기독교인 외국인은, 친구의 초대로 오게 되었다고 하면서 “왠지 모르지만 스킷을 보면서 눈물이 났다”고 고백했다. 이번 행사를 기도하며 지지해온 하나로교회 한 성도는 “예산과 자금이 하나도 없는 상황에서 아이들 중심으로 마음이 모아지면서 준비하게 되었다”며, “기도하며 준비하는 가운데 필요한 재정이 여러 사람들의 후원금을 통해 넉넉히 채워지는 것을 경험하면서 아이들에게도 은혜롭고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찬양의 밤이 진행되는 내내 사람들의 웃음과 따뜻한 온기가 떠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신앙 간증과 예수 스킷 드라마 공연이 진행될 때는 몇 몇 관객들이 감동의 눈물을 훔치는 모습을 보였다.     〈캐서린 조 기자〉찬양 랜드 고등부 학생들 문화 예술 하나로교회 어린이합창단

2024-11-21

필그림스 시낭송 아카데미 첫 발표회

지난 봄 시카고서 발족한 필그림스 시낭송 아카데미(대표 이미숙)가 오는 27일 오후 2시30분 윌링 소재 안디옥 교회(480 S. Elmhurst Rd. Wheeling)서 제 1기 발표회를 갖는다.     이미숙 대표는 "인생은 어떤 시점에서 '만남' 같다. 내가 누구를 만나느냐가 내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 한국에서는 10여 년 전부터 병원에서 임상치료의 방법 (심장병, 정신질환, 스트레스 질환, 치매 예방 등)으로 시낭송을 도입했다"며 "점점 더 많은 대학에서 시낭송학과를 개설해 시낭송을 통한 국민정서 함양과 개인의 꿈들을 펼쳐나가는 문들을 열어주고 있다"고 전했다.     "미주에서는 시낭송 문화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이미숙 대표는 " 5년 전부터 시도했다가 그 꿈을 더 이상 덮어 둘 수 없어서 금년 초봄부터 매주 월요일 오후와 저녁반을 시작한 것이 8개월째이며, 15명의 회원들이 참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문학 장르가 있지만 가장 아름다운 언어의 결정체, 문학의 최고봉은 '시'다. 시가 지향하는 것은 우리가 꿈꾸는 세상에 대한 믿음이며 우리가 기도하는 나라에 대한 소망이다. 이 모든 것을 담은 결정체인 시에 소리를 입히고 생명을 불어 넣어 전하는 전령사가 곧 시낭송가의 역할”이라면서 "문자 이전 역사와 교육의 주도는 말(언어) 곧 '소리'였다. 말(언어)이 주는 소리만큼 신속하고 빠른 정보 전달은 없다. 취미생활을 넘어서 시낭송은 지구 어느 모퉁이에서 그러나 가장 강력하고도 신속한 언어로 사람을 연결하고, 치유하고 세상을 더 아름답게 만들어가는 놀라운 힘이 있다"고 강조한다.     "시카고에 시낭송의 첫 씨앗을 심을 수 있어서 참 기쁘다"는 그는 "다음 세대 자녀에게 모국어를 남겨주기를 바라는 부모님들이 계신다면 시를 낭송으로 접해 인생의 큰 재산을 만들어 보시기를 강력히 권한다"고 덧붙였다. 문의=(224)477-9764.       배미순아카데미 필그림 시낭송 아카데미 시낭송 문화 이미숙 대표

2024-10-24

38년 만에 언니와 상봉 앞둔 입양아 “한국 가서 가족 찾을 것”

   펜실베이니아주에 거주하는 다라 해넌(38) 씨는 생후 8주차에 미국으로 입양됐으며, 25일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최근 '마이헤리티지(MyHeritage)'를 통해 친언니를 찾았고, 이번 방문은 언니와 만나기 위해서다. 친언니 하지원 씨는 벨기에로 입양되어 현재 그곳에 거주 중이다.    해넌 씨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언니와 자신 모두 이번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것이라며, 어머니를 비롯한 가족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또한 13일이라는 짧은 일정이지만, 38년 만에 처음 만나는 친언니와 서로 알아가는 시간을 갖고 싶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DNA 검사를 통해 언니가 먼저 ‘우리가 자매인 것 같다’는 이메일을 보냈다고 들었다. “반신반의했다. 6년 전에 DNA 검사를 의뢰했기 때문에 솔직히 잊고 있었다. '자매인 것 같은데 이야기를 나눠보겠느냐'는 이메일을 받고 깜짝 놀랐다. 지난 5월 어느 평범한 목요일 아침, 출근 후 컴퓨터를 열고 이메일을 봤던 기억이 생생하다. 너무 놀랐던 순간이었다.”   -언니와의 만남이 이번이 처음이라고 들었다. 5월 이후 계속 연락을 주고받았나. “휴대폰 메신저 앱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시차가 6시간 정도 나서 조금 힘들었지만 괜찮았다. 전화도 하고 영상 통화도 자주 했다.”   -언니와 한국 방문 계획은 어떻게 세우게 되었나. “우리는 항상 한국을 방문하고 싶어 했다. 언니의 직장과 가족, 그리고 내 일정 등을 고려해 10월로 결정했다. 한국의 여름이 덥고 습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도 결정 요인 중 하나였다 (웃음). 이번 방문이 우리에게는 매우 의미가 크다. 한국에서 13일 동안 머무를 계획이다.”   -한국에서 가장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가. “다른 직계 가족이 있는지 찾아보고 싶다. (어머니를 포함해) 더 많은 가족이 한국에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가 가진 정보와 제한된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관건일 것 같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언니와 서로 알아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다.”   -가족들의 반응은 어땠나. “매우 기뻐했다. 물론 나만큼 언니를 찾았다는 사실을 의심하진 않았지만, 어느 정도는 걱정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미 언니와 여러 차례 영상 통화를 했고, 그 화면을 캡처해 가족에게 보여줬다. 사진을 보니 너무 닮아서 ‘아, 너희 자매 맞구나’ 하며 웃었다.”   -미국에서 입양돼 자라온 과정은 어땠나. “내가 자란 곳은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있는 곳은 아니었다. 많은 입양된 사람들이 비슷한 환경에서 자랐다고 생각한다. 한국 문화를 접할 기회도 있었고, 부모님은 이를 막지 않으셨다. 내가 원하는 대로 하게 해주셨다. 가끔은 한국 문화에 관심이 생겼다가, 가끔은 전혀 관심이 없기도 했다.”   -생모에 대한 그리움이나 원망이 있었나. “한 번도 그리워한 적도, 원망한 적도 없다. 어머니가 나에게 더 나은 삶을 주기 위해 나를 포기했다는 이야기를 어렸을 때부터 들었다. 나는 그것이 사실이라고 믿는다. 어머니가 나를 낳았을 때 상황이 좋지 않았던 것 같고, 그로 인해 그런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한다. 나는 어머니의 선택을 원망하지 않는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입양인터뷰 어머니 어머니 원망 현재 가족 한국 문화

2024-10-23

한·브라질 음악회 열린다…전통음악 기반 재즈 음악 공연

LA한국문화원(원장 정상원)이 23일 문화원 아리홀에서 ‘한·브라질 문화의 밤’ 음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문화원은 “양국 전통 음악을 기반으로 한 퓨전 재즈 음악을 감상하고 서로의 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국 아티스트로는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김이슬 씨가 참여한다. 일리노이대학에서 재즈 피아노와 클래식 작곡을 공부한 김 씨는 첫 앨범 ‘리베로시스’에서 현대음악을 기반으로 한 탱고 재즈를 선보이며 신선하다는 평을 받았다.     피리, 생황 연주자인 가민 UCLA교수는 한국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한 퓨전 재즈곡들을 선사할 예정이다.   브라질 측에서는 재즈 기타리스트인 마르셀 카마고가 다양한 브라질 재즈곡을 들려줄 예정이다. 브라질 상파울루 출신인 마르셀은 전설적인 재즈 음악가 케니버렐, 빌리 히긴스 등에게 사사하고 최근엔 앨범 ‘플로(Flor)’로 그래미 후보에 오른 바 있다.   정상원 LA문화원장은 “이번 문화교류 행사는 두 나라의 전통에 기반을 둔 퓨전 음악을 통해 양국 간 신뢰와 소통을 증진할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은 무료이나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예약은 KCCLA 웹사이트(KCCLA.org)에서 할 수 있다.     ▶주소: 5505 Wilshire Blvd. LA  ▶문의: (323) 936-7141 이은영 기자브라질 음악회 브라질 재즈곡 브라질 문화 브라질 상파울루

2024-10-20

[문화 산책] 대중문화의 힘과 돈의 유혹

문화에 대해서 우리는 뜻밖에 많은 편견과 오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문화를 예술적 고급문화와 상업적 대중문화로 구분하고, 둘 사이에 높낮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다. 그래서 대중음악, 즉 유행가나 텔레비전 드라마, 코미디, 만화 같은 대중문화를 하찮게 낮잡아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편견이고 잘못된 생각이다. 이런 식의 이분법은 매우 위험하다.   추구하는 방향이나 존재 방식이 다를 뿐이지, 높고 낮음이 있는 것은 아니다. 비유해서 말하자면 깊이와 넓이의 차이, 또는 돈과 정신적 가치의 차이 같은 것이다. 개인적 취향의 차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무엄하게 말하자면, 베토벤이나 모차르트 아니면 안 듣는 사람이 이미자나 조용필, 나훈아 노래를 즐기는 사람보다 훌륭하고 행복하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어떤 음악을 좋아하는가는 각자의 인생관이나 취향의 문제일 따름이다. 물론, 순수성과 예술성 같은 가치를 절대 기준으로 삼는 평론가나 학자의 시각은 존중받아야겠지만, 대중의 시대정신이나 풍속사 등은 다른 문제다.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력, 특히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으로만 따지면, 대중음악이 클래식 음악보다 훨씬 넓고 크고 강하다. 유행가를 대중(大衆)음악이라고 한다면, 클래식 음악은 소중(小衆)음악쯤 되려나?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동서양 어디서나 마찬가지다.   유행가의 힘은 막강하다. 대중들의 삶과 하나로 어우러져 함께 울고 웃으며 그들의 지친 마음을 어루만져주고, 평생 가는 아련한 추억을 만들어주고, 다른 이의 삶에 공감하도록 이끌어주고, 아주 때로는 역사의 물길을 바꾸기도 한다. 특히, 한 개인의 인생 굽이마다 마치 암각화 같은 굵은 무늬를 새긴다. 그래서 어떤 노래를 들으면 자연스레 지난 시절 한 세월의 추억이 오롯이 되살아난다. 이것이 유행가의 힘이다.   한류의 가장 앞자리에 K-팝이 있고, 가수 나훈아의 은퇴가 장안의 화제가 되는 것도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우리의 현대사를 살펴봐도, 문화가 도약하는 길목마다 대중문화, 유행가가 있었고, 배우나 가수 같은 광대들이 별처럼 반짝이고 있었다.   인류가 그동안 만들어 듣고 부르고 울고 즐긴 노래는 몇 곡이나 될까? 저 하늘의 별만큼이나 많고 많을 것이다. 때로는 큰 사랑을 받기도 하지만, 때로는 저속하네 퇴폐적이네 표절이네 왜색이네 등등 온갖 욕을 먹고 푸대접을 받아가며 무수히 태어나고 사라져갔다.   그 많은 노래 중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오래도록 남는 노래는 극히 일부다. 가수나 작곡가 중에 엄청난 인기를 누린 이는 제법 많아도, 예술가 대접을 제대로 받는 이는 많지 않다. 대부분은 상품으로, 그야말로 한때의 유행품으로 소비되어 사라지고 만다. 돈의 잔인한 유혹을 이겨내지 못하는 것이다.   예술의 생명력을 결정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오늘날 가장 결정적인 것은 돈이다. 오늘날 세상 모든 것이 자본의 논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돈이 왕이다. 안타깝게도 예술도 마찬가지다. 대중문화에서는 말할 것도 없다.   그런 잔혹한 현실에서 돈의 유혹을 아예 뿌리치거나, 돈의 횡포를 멋지게 이겨낸 예술가들을 우리는 존경한다. 음악상을 사양하고 방송 출연을 하지 않는 조용필, 재벌의 정중한 초청에 “내 노래를 듣고 싶으면 공연장에 표를 사서 오시라”고 응수한 나훈아, 군사정권의 실세가 내민 백지수표를 “논에 풀 뽑으러 가야 한다”며 뿌리친 김민기….   김민기의 대표작인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4000회로 돌연 공연을 중단했다. 계속 관객이 몰려들어 흥행이 잘 되는 공연을 왜 중단하느냐고 의아해하는 주위 사람들에게 김민기는 이렇게 말했다. 그리고는 돈 안 되는 아동극에 전념했다.   “돈 되는 일만 하다 보면 돈 안 되는 일을 못 할 것 같아서….”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 산책 대중문화 대중문화 유행가 상업적 대중문화 예술적 고급문화

2024-10-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