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콘퍼런스 “중일 갈등은 오히려 한국에 기회”

LA총영사관과 싱크탱크인 랜드(Rand) 연구소가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콘퍼런스’를 공동 개최하고 현재의 국제 외교 및 교역 현실과 향후 변화 여부에 대한 토론 시간을 가졌다.     지난 20일 오후 랜드 연구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노무현 행정부의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낸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신기욱 스탠퍼드대 아태연구소장, 데이비드 강 USC 국제정치학과 교수, 비니 애거롤 UC버클리 APEC 연구소장, 오미연 미국방연구소 연구원, 이문섭 UCSD 경제학과 교수가 패널로 참여했으며 라피그 도사니 랜드연구소 아태연구소장이 토론 진행자로 나섰다.     학계 전문가들은 토론에서 대부분 전쟁과 무역 분쟁으로 치열해진 세계정세로 인해 한국 안보 및 경제와 한미 관계를 둘러싼 상황과 이해요구가 매우 첨예하다는데 공감했다. 한국과 미국, 대만 등에 예정된 정치적 일정들이 내년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 지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동시에 동아시아 외교 연구학자들은 중국 대만 갈등, 북미·남북 갈등에서 한국은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데 입을 모았다.     주제 발표에 나선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은 한국이 외교 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될 요소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갈등 국면’과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꼽았다.     그는 “한국은 급속한 성장을 통해 세계 10대 강국의 대열에 들어섰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를 잘 이해하고 사태 파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미중 갈등의 구조에는 경제, 기술, 외교, 군사 등 다양한 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이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하며 전략적으로 다중 접근이 필요한 시기로 보인다”며 “캠프 데이비드와 연이은 정상들의 만남은 이런 배경에서 유효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중·러가 만들고 있는 긴장과 위기를 관계 재평가의 기회로 삼는 자신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윤 이사장은 “이런 기회는 현재 행정부의 국내외 정책에 대한 심판적인 성격을 가진 내년 총선이 그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동시에 현재의 외교 정책 방향을 강고히 하기 위해 ‘한미일 3자 회담의 연례화’, ‘한국서 회담 개최’, ‘다양한 분야별 고위급 회담’을 권했다.     신기욱 스탠퍼드대 아태연구소장은 “한국은 산업화 민주화를 거쳐 전 세계적인 성공 사례로 자리 잡고 연구 대상으로 부각됐다”며 “이런 향상된 지위를 외교적인 힘으로 연결해나갈 수 있는 지혜와 전략이 지금 절실하다”고 주제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일본의 핵오염수와 강제징용 피해 보상 문제 등 기존 국민의 여론에 반해 미래 지향적인 자세를 취한 것은 일부 국제 외교가에서 발전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국제 정세에서 이를 바탕으로 주도력을 갖는 모습은 아직 안 보인다”며  “특히 일본과 중국의 갈등, 기시다 총리의 인기 하락 등에서 한국은 중요한 기회를 얻고 있으며 이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국 내 정치 여건이 무엇이든지 민심의 반영에 외교 정책 기조와 방향도 그 동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동시에 “선거를 앞둔 미국과 한국에서 국민의 선택에 따라 가장 급격한 정책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여전히 국제 여론이 초미의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포인트”라고 전했다.     한미관계에 대해서 그는 “동맹 70주년은 그냥 시간이 지나서 얻은 것이 아니며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더욱 강고해질 것으로 기대하는 여론이 있다는 점을 우리 모두 기억해야 한다”며 “현재 두 곳의 전쟁으로 인한 시중의 우려처럼 ‘신냉전 시대’를 언급하는 너무 성급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데이비드 강 USC 교수는 고비를 맞고 있는 중국과 대만의 분쟁에 대한 비관론을 제기했다.     “국제적 위기로 분석되고 있는 양국의 갈등은 미국과 한국, 동북아시아의 위기론 바탕이 되고 있지만, 그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봅니다. 냉전 시대의 철학을 갖고 접근할 만큼 두 나라는 순진하지 않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오히려 이런 갈등의 틈을 타서 정치적인 이득을 얻으려는 세력이 나올 수 있어 우려됩니다. 미국이 해당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없다는 현실도 여기에 한몫하게 될 것입니다.”       애거롤 UC버클리 APEC 연구소장은 경제 안보 주제로 한 발표에서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열강이 눈에 보이지 않는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는 현실을 소개하고, 자국 기업의 이익을 위해 군사적 행보를 서슴지 않는 것이 지금의 외교전쟁 소재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온라인을 통해 동료 학자들과 학생들에게 실시간으로 공개됐으며, 토론 현장에는 30여 명의 외교관과 연구학자들이 참가했다.   글·사진=최인성 기자콘퍼런스 한미동맹 랜드연구소 아태연구소장 스탠퍼드대 아태연구소장 기념 콘퍼런스

2023-10-22

믿지 못할 홈리스 집계…랜드연구소 조사 결과 발표

LA시 당국이 지난해 여름 관내 홈리스 숫자 증가세가 주춤해졌거나, 일부 지역에서는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여전히 증가 일로에 있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돼 시선을 끈다.   현재 LA시와 카운티 정부는 관내 홈리스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6000여 명의 자원봉사자를 동원해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중립적 성향의 싱크탱크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는 LA시가 홈리스 숫자가 줄었다고 발표한 스키드로, 할리우드, 베니스 지역은 실제로는 지난해 해당 시기 각각 13%, 14.5%, 32% 그 숫자가 늘어났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소는 2021년 9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실시한 자체 조사 결과를 근거로 LA카운티가 밝힌 지난해 홈리스 숫자 6만9144명도 매우 축소된 숫자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지난해 1년여 동안 26만여 달러를 투입해 홈리스 숫자를 집계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한 연구 결과를 곧 출판할 계획이다.   일례로 지난해 6월 당국은 베니스의 센테니얼 파크에서 텐트 정리 작업을 펼쳐 약 13%의 홈리스 감소를 이뤄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일부 텐트만을 제거한 것이고 차량이나 RV의 숫자는 그대로였던 것으로 연구소는 집계했다. 그리고 연구소는 시의 정리 작업이 끝난 후 한 달 동안 해당 지역 홈리스 숫자는 다시 6월 이전 수준으로 원상 복구됐다고 밝혔다.     연구를 진행한 제이슨 워드 연구원은 “랜드연구소 조사 결과가 시정부의 내용과 일부 동일한 것도 있지만 다른 것도 적지 않았다”며 “RV의 숫자는 베니스의 경우 시 측의 조사보다 50% 적었으며, 다른 곳들에서는 오히려 랜드연구소의 집계가 더 적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집계 방식과 시기에 따라 편차를 보이는 것은 당연할 수 있지만 결국 대책 마련과 그 효과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연구소 측은 동시에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홈리스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바로 ‘사생활’이었다며 어떤 형태의 주거 시설이든 사생활이 보장된다면 길거리 생활을 청산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한편 랜드연구소의 이번 조사에 따르면 홈리스 인구 80%는 홈리스가 된 지 1년이 지났으며, 57%는 3년 이상 길거리에서 지낸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홈리스 중 50% 이상은 만성 질병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최인성 기자 ichoi@koreadaily.com랜드연구소 홈리스 싱크탱크 랜드연구소 홈리스 숫자 la시가 홈리스

2023-01-26

최저임금 오르자 이혼율 하락…UCLA·랜드연구소 공동연구

‘최저임금을 올리면 이혼율이 감소한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부부가 돈 문제로 스트레스를 덜 받게 돼 이혼 가능성도 작아진다는 것이다.   20일 NBC4뉴스는 UCLA 심리학자와 랜드연구소 경제학자가 공동진행한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결혼 연기와 이혼율 감소’ 보고서를 인용해 최저임금을 인상하면 저소득층 이혼율이 줄어든다고 보도했다.   UCLA 심리학자 벤자민 커니, 토마스 브래드버리 교수, 랜드연구소 제프리 웬거 경제학자는 최근 결혼과 가정 저널(th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학술지에 최저임금과 저소득층 결혼생활 상관관계를 연구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방정부 시간당 최저임금 7.25달러 이상을 전제로 최저임금을 1달러 올리면 1~2년 사이 이혼율이 7~15%나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나누면 이혼율이 남성의 경우 10~15%, 여성의 경우 7~12%로 감소했다.   보고서는 저소득층일수록 결혼생활 유지에 경제 상황이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각종 공과금 납부 등 경제부담이 커질수록 부부 사이 스트레스가 쌓이고, 그 여파로 친밀감 조성 기회가 줄어들어 결국 이혼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것.   반면 부부 벌이가 나아지면 금전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줄고 보다 생산적인 부부관계 형성 기회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CLA 심리학자 커니는 “금전적 어려움에 부닥치면 배우자와 친밀한 관계 유지가 어렵다”며 “반대로 돈을 더 벌면 결혼생활 유지가 쉽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부부가 (금전으로 인한)스트레스 상황에 높아지면 서로 부딪힐 문제가 더 생기고 갈등을 풀어야 하는 상황도 늘어난다. 결국 두 사람이 친밀감을 쌓는 일과 멀어지게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보고서는 정부의 자녀 세금혜택 등 직접적인 재정지원이 긍정적인 가족관계 형성을 돕는다고 전했다. 심리학자 커니는 “가정의 가치를 중시한다면 최저임금 인상 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고서는 저소득층을 시간당 임금이 16달러 이하인 노동자로 정의했다. 50개 주에서 저소득층이 가장 많이 분포한 연령대는 18~35세로 나타났다. 이와 별도로 가주에서 최저임금이 1달러 오를 경우 저소득층 결혼율은 3~6% 감소했다.   연방센서스 추산 2020년 기준 16세 이상 이혼 인구는 2876만 명으로 집계됐다. 보고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omf.12832)에서 알 수 있다. 김형재 기자랜드연구소 최저임금 저소득층 이혼율 최저임금 인상 이혼율 감소

2022-04-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