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머물러있지 않고 반드시 전해지는 ‘복음’

              글로벌선진학교(이사장 남진석 목사)가 지난 15일 워싱턴목양교회(담임 안성식 목사)에서 라틴아메리카 글로벌 교육대회를 개최했다.   조상래 목사의 사회로 열린 간증집회는 이번 행사를 총괄하는 이신구 목사(글로벌선진학교 사역)가 학교를 소개하며 글로벌선진학교가 주최하는 2023 라틴아메리카 글로벌 교육대회(6월26일-30일)홍보를 이어갔다. 이날 집회에는 채널A방송의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출연해 인기몰이 중인 윤설미·정유나·이채원·김소연 씨 등으로 구성된 남북통일 코리아 찬양단원들이 참여했다.   워싱턴통합노인회 우태창 회장은 인사말에서 찬양단원들을 향해 “민간외교인이 되어 남북한이 한민족임을 홍보하라고 하나님이 특별히 보내 준 분들께 감사드리고 워싱턴에 온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신구 목사는 “부유한 나라 미국과 대륙을 함께 하는 남미는 여전히 궁핍하고, 낙후된 교육으로 윤리의식 없이 낮은 연령 여성들이 출산을 하고 제대로 된 보육을 하지 못 해 가난이 되풀이 되고 있다”며 “라틴아메리카의 교육 발전을 돕는 이번 행사에 기도와 후원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 목사에 따르면 글로벌선진교육 공동체는 과테말라에서 공립교사 1,000명을 초대해 스팀(STEAM)융합교육과 음악교육 연수, K-팝, 태권도 등 한국문화공연을 발판삼아 복음사역을 전파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행사를 위해 자발적 참여로 순회 중이라는 남북통일 코리아 찬양단 대표 윤설미씨는 “자유를 위해 목숨 걸고 찾은 대한민국에서 따뜻한 동포들의 정을 느낀다”며 아코디언 연주를 선보였다. 영어 통역가로도 활동하고 있는 정유나씨는 ‘유 레이즈 미 업’을 바이올린 연주 했으며 김소연 씨는 찬양곡 ‘행복’을 노래하며 복음을 전해듣고 하나님을 만난 후 어릴 적 상처가 씻기고 밝은 삶을 살게 된 것에 행복하다고 간증했다. ‘그리운 금강산’을 부른 이채원씨는 하루 빨리 복음통일이 이루어져 부모,형제 있는 북한땅에 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대회는 20일 미 서부를 시작으로 시카고, 인디애나, 켄터키, 테네시로 이어지는 중부, 텍사스와 조지아, 버지니아, 매릴랜드, 펜실베니아, 뉴저지, 뉴욕 등에서 갖게 된다.   김윤미 기자 kimyoonmi09@gmail.com복음 라틴아메리카 글로벌선진학교 사역 글로벌선진교육 공동체 라틴아메리카 글로벌

2023-02-16

'이만갑' 출연진, 탈북 자매 덴버 간증집회 성료

 탈북 자매들 초청 미주 순회 간증 집회가 지난달 30일 월요일 저녁 7시 덴버 신학교 채플에서 열렸다. 콜로라도에서도 체험하기 힘든 정도의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집회에 참석했다. 이번 집회는 2023 라틴아메리카 교육선교대회를 위한 것으로, 과테말라 지역의 교육 선교를 우선 목적으로 하고 있다. 찬양팀은 채널A의 '이제 만나러 갑시다'의 출연진으로 윤설미(리더, 청진사범대 예술음악과), 김소연(2022년 탈북), 정유나(북한 회령교원대 음악과), 이채원(2013년 탈북, 명지대 성악과)씨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탈북하는 과정에서 하나님을 극적으로 만나 신앙을 가지고, 가족 전체가 복음을 전하는 삶을 살게 되었다. 새로운 삶을 살도록 인도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에 힘 입었으며, 복음의 사명이 있어 늘 감사하다" 고 전했다. 찬양팀은 '반갑습니다'를 시작으로, '그리운 금강산'과 같은 가요와 함께 '하나님의 은혜', '어메이징 그레이스', '축복하노라 '등의 찬양으로 집회를 이끌었다. 이들은 북한의 독재 체재 아래에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그들의 상황과, 과테말라의 가난과 편모 등의 사회적 불합리로 인해 교육을 받지 못한 상황이 비슷하다는 것이 교육선교대회에 동참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고 한다. 행사를 주관하고 있는 사단법인 글로벌 선진교육은 오는 6월 과테말라에서 열리는 라틴아메리카 교육대회(GEFLA2023)에 초청된 1,000명의 교사들을 훈련하기 위한 교통, 숙식 및 연수비를 도와줄 재정 후원자를 찾고 있다. 참고로 교사 1인당 500달러가 필요하다. 이로 인해 중미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미국 교회와 성도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있으며, 후원자를 찾는 일에 탈북 자매들이 나서기로 하면서 한 달간의 미주 순회 집회가 성사되었다.탈북 자매 찬양팀은 "교사들 1,000명을 초대하여 중남미를 복음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사역에 함께 할 후원자를 발굴하는 일에 자신들의 간증과 재능이 쓰인다는 사실에 흥분된 마음으로 기꺼이 동참하기로 했다" 고 밝혔다. 미국의 약 20개 지역을 순회하며 진행되는 이 집회는 시애틀, 북가주, 남가주로 이어지는 서부지역과 덴버, 시카고, 인디애나, 캔터키, 테네시로 이어지는 중부, 텍사스와 조지아 등 남부, 버지니아, 매릴랜드, 펜실베니아, 뉴저지, 뉴욕 등 동부까지 이어진다.  이날 참석한 생명나무 교회 문태주 목사는 "아주 좋은 시간이었다. 노래와 연주에 모두 실력자였고,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게 된 동기와 간증의 시간 모두 감동적이었다" 고 전했다. 집회 및 후원 관련 문의는 213-559-7979로 하면 된다.     김경진 기자간증집회 이만갑 탈북 자매들 라틴아메리카 교육선교대회 탈북 명지대

2023-02-03

[기고] 원주민 인디오들과 춤추다

미국에 있는 ‘이해의 사원(TOU)’ 국제업무 담당자 루이스 돌란 신부님의 초청을 받고 1992년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을 위한 종교인 순례모임에 참가했다. 낯선 나라를 방문한다는 것은 항상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기대감이 앞서게 마련이지만 남미여행은 그렇지 않았다.   원주민을 위한 순례라는 점이 속마음을 경건하게 만들었고, 알 수 없는 엄숙한 생각까지 하며 여행길을 떠났다. 아마 이번 기회가 처음이자 마지막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미를 방문하여 원주민 인디오를 처음 만난 곳은 페루의 쿠스코, 그 옛날 잉카제국의 수도에서였다. 남미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은 정복자 스페인 사람들의 혈통을 이어받은 후예 혼혈아 메스티조였다. 그들은 생김새도 서양사람 같았고 체구도 컸으며 모두 당당하고 활달해 보였다.   지금으로부터 2만년 전 원시 몽고인종과 헤어져 아시아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온 사람들의 자손, 인디오는 유난히 머리카락이 검고 체구도 왜소했다. 몽골리안이어서 생김새도 어딘가 모르게 우리와 비슷했다.     인디오들은 우리 일행을 환영했다. 남자는 그들 고유의 악기를 불고 북을 쳤고 여자는 가면을 쓰고 나와 장단에 맞춰 춤을 췄다. 처량해 보이던 인디오들이 가면을 쓰고 우리를 위해 춤을 추고 있는 것이 너무나도 안쓰럽다고 여겼던 나는 어느 결엔가 나도 모르게 스며들 듯이 그 사람들 속에 들어가 춤사위를 흉내 내며 함께 춤추었다. 춤판이 끝나 자리로 돌아오려 하자 악단의 악사들이 내 곁으로 모여들어 눈웃음으로 반겨주기도 하고, 그중 어떤 사람은 내 뺨에 키스했다. 함께 춤을 춘 것이 자기들의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으로 여겨져 고맙다는 표시였을 것이다.   환영 공연이 끝나고 저녁식사 시간이 됐을 때 신기한 일이 생겼다. 조금 전 내가 춤추는 것을 보았던 인디오 어린이들이 나를 중심으로 옹기종기 모여들었다. 어떤 어린이는 구슬을 내게 주고, 또 다른 어린이는 무슨 열매인가를 내 손에 쥐여주었다.   곁에 모여든 많은 어린이를 데리고 밖으로 나왔다. 아무 말도 통하지 않는 그들에게 ‘코리아’ ‘서울’ ‘올림픽’이라는 세 마디를 가르쳐주면서 반복적으로 따라 하라고 했다. 나와 함께하는 것이 매우 신이 나는 듯 목청껏 “코리아, 서울, 올림픽”이라고 외쳤다. 그들이 자라서 언젠가 코리아라는 나라를 알게 되고, 코리아의 수도가 서울인 것을, 그리고 올림픽을 개최한 나라인 것을 알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렇게 했다.     모든 행사를 마치고 밖으로 나와 길을 걸을 때, 조금 전 단상에서 엄숙한 모습으로 의식을 집전했던 노신부님이 자연스럽게 다가와 나의 손을 잡고 걸었다. 나는 스페인어를 모르고, 신부님은 영어로 말하지 않았다. 그래도 신부님과 맞잡은 손은 그 사회의 약자, 인디오에 대한 염려와 연민의 정이 관심으로 흐르고 있다고 느껴졌다.   잉카문명에 대해 따로 아는 바는 없지만, 잉카제국의 마지막 도시 마추픽추를 둘러보면서 실로 경탄을 금할 수가 없었다. 스페인 침략자에게 쫓고 쫓기어 높고 높은 산봉우리를 깎아 만든 도시는 천혜의 요새였다. 그 옛날 아무 기계도 없던 때 이 산중에다 어떻게 그 무거운 돌을 옮겨다 그렇게 정교하게 석축을 쌓아 집을 짓고 계단식 밭을 일구며 살았을까? 규모 면에서도 방대하고 기하학적 느낌마저 들도록 구획과 선이 뚜렷했다.   산 아래에서는 보이지 않고 공중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하여 마추픽추를 공중도시라고 부른다. 그러나 그 높은 공중도시마저도 스페인 군대에 공격을 받고 멸망했다고 하니, 자신의 땅에 살던 그들이 끝까지 쫓기고 죽임을 당해야만 했던 수난의 역사는 참으로 비참했다. 오늘날 그 후예들이 대통을 엮어서 만든 것 같아 보이는 삼뽀냐 악기를 불면 거기에서 흘러나오는 가락만 듣고 있어도 공연히 저절로 슬퍼진다.   수난과 고통을 겪었던 호주 원주민 작가 반조 클라크가 쓴 글을 읽다 보면 원주민들은 대지를 어머니라고 여기고 세상 만물을 신성하게 여긴다. 그들의 따스한 가슴과 인간적인 모습, 순리와 원칙에 순응하는 그들의 삶에서 깊은 영감을 얻게 된다. 박청수 / 청수나눔실천회 이사장기고 원주민 인디오 원주민 인디오들 라틴아메리카 원주민 자손 인디오

2022-03-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