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살며 생각하며]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일

얼마 전에 여동생이 우리 집에 와서 묵었다. 그녀의 운동 루틴은 여행을 와도 여전했다. 제일 하기 싫은 것을 제일 먼저 한다고 한다. 일어나면 커피를 들고 운동복 차림으로 나왔다. 미국 동네는 공원 같다면서, 아침 기운을 받아 생생해진 꽃나무들을 구경하면서 걸었다. 동네 길을 구석구석 돌고 오면 한 시간 정도 걸린다. 나는 평소에 걸어도 20분 정도가 고작이다. 걷는 흉내만 내는 나와는 달리, 동생은 진지하게 걸었다. 그만 걷자고 하면 안 될 것 같았다. 나도 따라서 열심히 걸었다. 동생은 걷기가 끝나면 스트레칭을 했다.   그녀는 두 다리를 살짝 어긋나게 겹쳤다. 팔을 위로 뻗치고 허리를 굽혀서 손을 땅에 댄다. 하늘을 향해 기원이라도 하는 듯 동작이 엄숙하다. 온몸에서 땀을 줄줄 흘리는 동생이 신기했다.     “언니 등이 굽었어.”     그녀의 움직임을 멍청히 보고 있는 나에게 말했다. 그냥 서 있기도 멋쩍었다. 나도 스트레칭을 따라 했다. 두 팔을 앞으로 펴서 돌리고, 뒤로 깍지를 껴서 어깨를 펴 주고… 처음에는 중심을 잡지 못했다. 흔들리고 쓰러졌다. 엉성한 동작으로 며칠을 따라 했다. 그랬더니 뭐랄까? 허리께에 고무줄이라도 두른 것처럼 몸체가 늘어나는 것 같았다. 어깻죽지를 펴고 가슴을 세우니 숨이 잘 쉬어졌다.     내 안에서 어떤 소리가 들려왔다. ‘운동 열심히 하는구나.’ ‘잘했어! 내가 기분 좋게 해 줄게.’     이 소리가 어디에서 나는 것일까? 심장일까? 뇌일까? 아니다. 이 둘은 따로가 아니다. 몸이 신호를 보내면 머리가 반응한다. 몸을 움직이면, 심장이 뛰고, 뇌까지 올라간다. 뇌에서 널브러져 있던 물질이 출렁임을 받아서 게으름에서 깨어난다. 서로 같은 물질을 찾아 헤매면서 연결고리가 탄탄해진다. 뇌세포 시냅스가 두꺼워질 때, 뇌는 기운이 넘친다.     이 물질은 도파민, 세로토닌 혹은 엔도르핀이라고 불리는 호르몬이다. 기분을 좋게 만드는 물질이다. 도파민은 뇌 속에 점점이 흩어져 있다. 따로 떨어져 있는 도파민은 소량이라서 별로 기분을 좌우하지 못한다. 뇌는 혼자서는 절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가만히 두면 게으르기 그지없다. 원시 동굴인들은 사냥을 위해서는 쉴 틈이 없었다. 온종일 뛰어다니고 나면, 뇌에서 도파민이 땀처럼 솟았다. 뇌는 생존에 필요한 행동을 하면 기분을 좋게 만드는 메커니즘이 있다. 기분이 좋아야 사람들이 계속할 테니까 말이다.   또한 뇌는 그렇게 빨리 진화하지 않는다. 현대인의 뇌는 2만 년 전 원시인의 뇌와 비슷하다. 동굴인은 누가 나타나면 일단 먼저 활을 쏘았다. 적인지 친구인지 생각하다가는 죽을 수도 있으므로 일단 저지르고 보았다. 그리고 나중에 생각했다. 내가 적을 죽였는가? 우리 편을 죽였는가? 실수였는가? 반성이라는 생각은 항상 나중에 따라온다. 뇌는 행동이 먼저고 생각에 더디다. 만약 우울하다면, 머리 싸매고 생각해 봤자 소용없다. 벌떡 일어나서 밖으로 나가서 걸으시라!     동생이 왜 그렇게 운동에 집중하는지 알 것 같다. 햇빛을 받으며 운동으로 하루를 시작하면 행복 호르몬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낮에 쓰다 남은 세로토닌은 저녁에 멜라토닌으로 변하여 잠까지 잘 오게 한다니. ‘별것’ 아닌 걷기와 ‘별것’ 아닌 스트레칭을 첫 새벽부터 하는 모습에서 나는 감동을 받았다. 마치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일을 하는 것처럼. 그런데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일 맞다. 나를 잘 돌보는 것….   동생은 잠깐 다니러 온 사이에 나에게 무엇인가를 남기고 돌아갔다. 선한 에너지는 전파력이 강하다.     청바지를 입고 트렁크를 끄는 동생의 뒷모습이 날씬해 보였다. 김미연 / 수필가살며 생각하며 도파민 세로토닌 운동복 차림 운동 루틴

2024-09-16

[손원임의 마주보기] 도파민 중독과 중용

대학의 많은 수업은 문답법으로 이루어진다. 나 또한 교수 시절에 학생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수업시간 중에 여러 가지 질문을 하곤 했다. 그 중 한 가지는 바로 “당신은 건강과, 학업, 아르바이트, 친구나 가족 등과의 일상 생활 속에서 오는 수많은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소합니까?”였다. 그 때 학생들이 답했던 것 중에 가장 자주 언급되었던 것들을 들자면, 친구를 만나 속상한 점을 털어놓고 이야기하거나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듣거나 밖에 나가서 산책, 조깅을 하거나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고 잔다는 것들이었다. 나도 물론 학생들에게 스트레스가 쌓여 힘든 날이면, “사무실에서 초콜릿을 왕창(!) 먹는다”고 말해 주곤 했었다.     우리 모두는 스트레스가 만연한 시대에 살고 있으며, 다들 그 스트레스와 삶의 고통스러운 면들을 이겨내거나 잊기 위해서 여러 가지 수단들을 동원한다. 그래야 우리 뇌의 쾌락과 고통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피곤하면 자야 하고, 배고프면 먹어야 하듯이, 스트레스 받은 우리 뇌는 “탈출구”가 필요한 것이다. 어떤 이는 연인과 헤어진 슬픔을 침대에 얼굴을 파묻고 울어서 달래고, 어떤 이는 주먹으로 있는 힘껏 샌드백을 치면서 울분과 화의 감정을 가라앉힌다. 그리고 성행위나 가벼운 신체적 접촉도 우울감과 걱정, 스트레스를 덜어준다.     인간이 스트레스가 쌓이면 생기는 변화 중의 하나가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 상태다. 날마다 계속되는 그리고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세로토닌’과 ‘도파민’ 같은 아주 중요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의 경감을 가져온다. 이러한 화학물질이 부족해지면 사람들은 더욱 우울해지고 갖가지 중독성의 경향 또한 증가하게 된다. 말하자면 과도한 스트레스는 도파민 충동을 일으키고, 이는 도파민 과잉, 도파민 중독을 낳는다. 결국 “고통을 피하다 보니 쾌락의 노예로 전락해 버리는 것이다.” 이는 인간 뇌의 보상회로의 ‘악순환’이다.     문제는 현대사회가 도파민 충동을 아주 쉽게 만족시키는 도구와 수단이 넘쳐난다는 것이다. 즉, 스마트폰, 악성 댓글/리플, 가짜 뉴스, 도박과 게임, 온라인 쇼핑, 음란사이트,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마약, 담배, 알코올, 설탕과 갖가지의 시럽을 탄 달달한 커피(내가 무척 좋아한다!)와 케익과 초콜릿 등등 말이다.     현대인의 도파민 중독문제를 신랄하게 파헤친, 애나 렘키의 『도파민네이션(2022)』(Dopamine Nation, 2021)에는 쥐를 대상으로 한 매우 흥미로운 실험결과가 나온다. 그것은 바로 “초콜릿은 뇌의 기본 도파민 생산량을 55퍼센트 늘리고, 섹스는 100퍼센트, 니코틴은 150퍼센트, 코카인은 225퍼센트 늘린다”고 하며, 또한 “애더럴이나 길거리 약물에 들어있는 암페타민 성분은 도파민 분비량을 1,000퍼센트까지 늘린다”는 것이다. 게다가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는 2022년 낸 책인,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Don’t Trust Your Gut: Using Data to Get What You Really Want in Life)에서 실제 활동별 행복 점수에 관한 순위조사의 결과를 소개하는데, 38가지 항목 중에서 ‘친밀한 접촉/섹스’가 단연 1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이렇게 우리 주변에는 도파민 수치를 높일 수 있는 수단들이 널려 있다. 행복해지기가 부자 되기보다 훨씬 쉽다고 하는데, 안타깝게도 도파민 중독 요인들 또한 부자 되기 요인들보다 훨씬 차고 넘친다. 사람들은 저마다 유혹을 느끼고 쾌락을 얻는 수단과 그 정도가 다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우리가 과유불급을 이해하고, 짜릿한 자극과 유혹, 전율이 넘쳐나는 사회에서 도파민 추를 바로잡아 세워서 ‘중용과 균형’을 지켜야 한다는 데에 있다. 나도 사실 요즈음 나에게 있어 쾌락 호르몬 도파민을 어김없이 활성화시키는, 그 “달콤씁쓸”한 초콜릿의 풍미를 즐기되, 또한 자제하기 위해서 무척이나 노력 중이다. (전 위스콘신대 교육학과 교수, 교육학 박사)     손원임손원임의 마주보기 도파민 중독 도파민 중독문제 도파민 분비량 도파민 충동

2024-03-19

[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역치를 낮춰라

마약을 해본 사람들이 가장 커다란 흥분을 느끼는 것은 첫번째 경험이라고 한다. 그 황홀한 경험을 다시 하고 싶어서 계속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중독이 된다. 하지만, 처음에 느꼈던 그 희열을 다시 맛보기는 힘들다. 그래서 복용량을 늘리다가 결국에는 더 심한 중독으로 가는 것이다.     다음은 마약을 경험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자신이 마약을 복용하기 전, 평소에 경험해보던 흥분의 최대치가 숫자로 10이였다고 하자. 이 사람은 평소에 7이나 8정도의 기쁨이나 흥분에도 쉽게 반응하고 기뻐했다. 하지만 이 사람의 인생에서 첫번째 마약의 경험은 그 사람의 흥분 정도를 1,000까지 끌어올려버렸단다. 1,000을 한번 경험한 사람에게는 7이나 8따위의 일반적인 기쁨이나 자극은 이제 더 이상 관심을 끌지 못하게 된다.   이런 사람에게 ‘소소한 일상의 즐거움’은 더 이상 자극을 주지 못한다. 생물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역치’라는 말로 설명한다. ‘역치’란 세포에 자극이 작용해서 흥분이 유발되는 경우, 이러한 흥분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의 세기를 말한다. 이것을 다른 말로는 ‘최소자극’이라고도 한다.     세포에 최소자극보다 낮은 자극을 주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다가 점점 자극의 세기를 늘리면 어느 단계에 가서 반응을 시작하는데, 반응이 일어나는 자극을 ‘최소자극’ 또는 ‘역치’라고 부른다. 역치보다 자극을 더 늘리게 되면 이에 따라 흥분이 점점 증가하다가 일정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반응이 최대가 되는데, 이 때의 자극을 최대자극이라고 한다. 세포는 일단 최대자극을 느낀 이후에는 더 큰 자극을 주어봤자 아무런 변화가 없다.   이런 세포나 생명체에 자극이 반복되면, 내성이 생긴다. 웬만한 자극에는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런 상태를 ‘역치가 늘어난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작은 자극에도 반응을 보이던 생명체가 자극이 반복됨에 따라 점점 더 큰 자극을 가해야만 반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인터넷과 유투브, 그리고 각종 자극적인 영화와 게임이 만연한 세상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의 도파민 중독을 우려한다. 애나 렘키(Anna Lembke)라는 스탠포드 대학의 중독의료전문가가 ‘도파민네이션’이라는 책을 발표했다.     그녀는 ‘쾌락은 늘 고통을 동반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뇌는 쾌락과 고통이라는 두개의 추를 저울의 양쪽에 놓는단다. 그리고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무거워지면 반드시 다시 균형을 맞추려고 한단다. 과잉의 쾌락을 경험했다면, 그만큼의 고통을 느껴서 저울이 평형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평형저울은 마약으로 최대의 쾌락을 경험한 사람들이 마약을 경험한 후에 극도의 고통을 느끼는 것을 잘 설명한다. 다양한 자극에 노출된 현대인들은 도파민에 중독되고 있다. 그리고 도파민에 내성이 생긴다. 웬만해서는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울이 평형을 찾으려고 할 때 혼자서 고통을 느낀다.       도파민 과잉시대의 해결책은 무엇일까? 저자는 먼저 우리가 무엇에 의존하는지를 찾으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구체적인 기간을 정하고 그 동안 ’절제’하라고 한다. 자극에 노출되는 시간과 빈도를 줄이던지 멈추라는 것이다. 처음에는 고통스럽고 힘들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저울은 다시 평형을 찾고 우리 몸은 다시 항상성을 찾게 된다는 주장이다. ‘절제’로 역치를 다시 줄이라는 말이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이상 자극 도파민 중독 도파민 과잉시대

2023-11-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