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배가 땡길까? 땅길까?

얼마 전 급히 먹은 음식이 잘못됐는지배가 뭉치고 잡아당기는 듯한 복통이 일어났다. 포털 사이트에서 증상에 대해 검색해 보니 ‘복통’과 더불어 ‘배 땡김’이란 주제어가 많이 나왔다.   이렇듯 “저녁 먹은 뒤부터 배가 살살 땡기고 아프다” “너무 웃어서 배가 땡긴다” 등처럼 배가 단단하게 되거나 팽창하게 될 때 ‘땡기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그러나 ‘땡기다’라는 단어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아예 나와 있지도 않다. 왜 그럴까? ‘땡기다’가 아니라 ‘땅기다’가 바른 표현이기 때문이다. ‘땅기다’는 몹시 단단하고 팽팽하게 된다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다.  따라서 ‘배가 땅기고 아프다’ ‘배 땅김’ 등으로 고쳐 써야 맞는 표현이 된다.   “피부가 건조한지 얼굴이 너무 땡긴다” “다리 상처가 땡긴다”에서의 ‘땡기다’ 역시 ‘땅기다’로 바꾸어야 한다.   그럼 “요즘 영 입맛이 땡기지를 않는다”에서의 ‘땡기다’는 어떻게 고쳐야 할까? 여기서의 ‘땡기다’는 ‘땅기다’로 바꾸어서는 안 된다. 좋아하는 마음이 일어나 저절로 끌리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은 ‘당기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즘 영 입맛이 당기지를 않는다”고 해야 한다. ‘당기다’는 물건이나 시간 등을  앞으로 옮길 때도 쓰인다. “방아쇠를 땡겼다” “귀가 시간을 땡겼다”에서의 ‘땡겼다’도 ‘당겼다’로 고쳐야 한다.우리말 바루기 귀가 시간 다리 상처 포털 사이트

2023-10-26

[우리말 바루기] ‘귓볼’일까, ‘귓불’일까

부처님을 형상화한 석가모니상은 만든 이에 따라 모양이 각기 다르다. 그런데 석가모니의 모습을 떠올릴 때 대부분의 사람이 마음속으로 그리는 신체 부위가 하나 있다. 바로 귀다. 두툼하고 길게 늘어진 귀가 석가모니상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제 하나. 귓바퀴 아래에 붙어 있는 살을 뭐라 불러야 할까?   ‘귓볼’이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 ‘뺨’을 의미하는 ‘볼’을 연상해서인지 ‘귀’와 ‘볼’이 만나 ‘귓볼’이 되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귓볼’이 아니라 ‘귓불’이 바른말이다. “귓불이 참으로 복스럽게 생겼다”처럼 ‘귓불’이라고 해야 한다.   귀와 관련해서는 ‘귓밥’도 잘못 쓰기 쉬운 단어다. 귓구멍 속에 낀 때인 ‘귀지’를 일반적으로 ‘귓밥’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귓밥’은 귓바퀴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을 가리킨다. 즉 ‘귓밥’과 ‘귓불’은 의미가 같은 동의어라 할 수 있다. 강원·전남·제주 등에서는 ‘귀지’를 ‘귓밥’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사투리일 뿐이다.   그럼 귀지를 파내는 도구는 뭐라 불러야 할까. ‘귀지개·귀쑤시개·귀후비개’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그러나 ‘귀이개’가 바른 표현이다. 귀이개는 ‘우비다·후비다’의 옛말인 ‘우의다’가 붙은 ‘귀우개(귀+우의+개)’가 변한 말이다. 따라서 “귀이개로 귀를 팠다” 등과 같이 표현해야 한다.우리말 바루기 귓볼 귓불 귀가 석가모니상의 귓바퀴 아래쪽 신체 부위

2023-09-18

[우리말 바루기] 식욕이 땡긴다고요?

“요즘 입맛이 땡겨서 뭐든 맛있게 느껴진다” “뭘 봐도 식욕이 땡기니 다이어트 하기가 너무 힘들다” 등과 같은 이야기를 주변에서 들을 수 있다. 이처럼 입맛이 돋우어진다고 표현하고 싶을 때 ‘땡기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땡기다’는 잘못된 표현으로 ‘당기다’가 바른말이다. “입맛이 당긴다” “식욕이 당긴다” 등처럼 써야 한다.   ‘당기다’는 입맛이 돋우어진다는 의미 외에 좋아하는 마음이 일어나 저절로 끌린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호기심이 당기는 이야기” “어딘지 그 사람에게 마음이 당긴다”가 그런 경우다.   ‘당기다’는 “숨을 죽이고 방아쇠를 당겼다”에서와 같이 물건을 어떤 방향으로 오게 한다는 의미로도 쓸 수 있다. “이달부터 귀가 시간을 당겼다”에서처럼 시간이나 기간을 앞으로 옮기다는 뜻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가을이 되니 건조해서 얼굴이 땡긴다”에서와 같이 몹시 단단하고 팽팽해진다는 의미를 나타낼 때도 ‘땡기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하지만 이 역시 잘못된 표현이다. 이때는 ‘땡기다’가 아니라 ‘땅기다’가 맞는 말이다. “한참을 웃었더니 수술한 자리가 땅겼다”와 같이 쓰인다.   그렇다면 여기서 문제 하나. “그의 초라한 모습이 내 호기심에 불을 ○○○”의 빈칸에는 ‘당기다/댕기다/땅기다/땡기다’ 중 어떤 낱말을 넣어야 할까.   정답은 ‘댕기다’. 불이 옮아 붙는다는 의미의 단어는 ‘댕기다’이다. 정리하면  사물이나 마음, 입맛 등을 끌어당긴다는 의미를 나타낼 땐 ‘당기다’, 팽팽해지다는 ‘땅기다’, 불과 관련된 표현엔 ‘댕기다’를 쓰면 된다. ‘땡기다’는 사전에 아예 없는 말이다.우리말 바루기 식욕 마음 입맛 요즘 입맛 귀가 시간

2023-06-23

[우리말 바루기] 배가 땡길까? 땅길까?

얼마 전 급히 먹은 음식이 잘못됐는지 복통이 일어났다. 포털 사이트에서 증상에 대해 검색해 보니 ‘복통’과 더불어 ‘배 땡김’이란 주제어가 많이 나왔다.   이렇듯 “저녁 먹은 뒤부터 배가 살살 땡기고 아프다” “너무 웃어서 배가 땡긴다” 등처럼 배가 단단하게 되거나 팽창하게 될 때 ‘땡기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그러나 ‘땡기다’라는 단어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아예 나와 있지도 않다. 왜 그럴까? ‘땡기다’가 아니라 ‘땅기다’가 바른 표현이기 때문이다. ‘땅기다’는 몹시 단단하고 팽팽하게 된다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다.  따라서 ‘배가 땅기고 아프다’ ‘배 땅김’ 등으로 고쳐 써야 맞는 표현이 된다.   “피부가 건조한지 얼굴이 너무 땡긴다” “다리 상처가 땡긴다”에서의 ‘땡기다’ 역시 ‘땅기다’로 바꾸어야 한다.   그럼 “요즘 영 입맛이 땡기지를 않는다”에서의 ‘땡기다’는 어떻게 고쳐야 할까? 여기서의 ‘땡기다’는 ‘땅기다’로 바꾸어서는 안 된다. 좋아하는 마음이 일어나 저절로 끌리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은 ‘당기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즘 영 입맛이 당기지를 않는다”고 해야 한다. ‘당기다’는 물건이나 시간 등을  앞으로 옮길 때도 쓰인다. “방아쇠를 땡겼다” “귀가 시간을 땡겼다”에서의 ‘땡겼다’도 ‘당겼다’로 고쳐야 한다. 그렇다면 “그의 마음에 불을 땡겼다”에서의 ‘땡기다’는 어떻게 고쳐야 할까? 불이 옮아 붙는다는 의미를 나타낼 때는 ‘댕기다’가 맞는 표현이다. 따라서 “그의 마음에 불을 댕겼다”로 고쳐야 한다.우리말 바루기 귀가 시간 다리 상처 포털 사이트

2022-09-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