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주민 41% 남부 국경장벽 지지

민주당 우세 지역인 뉴욕주에서도 10명 중 4명은 남부 국경장벽 건설을 지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작년부터 텍사스주 등 공화당 성향의 주에서 망명신청자를 뉴욕시로 보내 부담이 커지자, 급기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산물인 국경장벽 옹호 비율이 40%를 기록한 것이다.   12일 시에나칼리지 여론조사에 따르면, 뉴욕주 응답자 중 41%가 국경장벽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여전히 남부 국경장벽 반대 비율은 50%에 달하지만, 뉴욕주가 민주당 성향이 강한 주라는 점을 고려하면 41%의 국경장벽 지지는 높은 비율로 파악된다. 이민자 비율이 높은 뉴욕시에서도 응답자의 38%가 국경장벽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심지어 라틴계 뉴요커 중에서도 35%가 국경장벽에 찬성했다.     뉴욕시에는 지난해 봄부터 10만명에 육박하는 망명신청자가 도착했고, 최근에도 매달 1만명씩 유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2년 후 망명신청자 지원에 필요한 예산이 12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하고, 각 시정부 부처에 내년 1월까지 지출을 15% 줄일 것을 명령했다. 이로 인해 뉴욕시경(NYPD), 교육국, 청소국 등 삶의 질과 직결되는 부처들이 제 역할을 못 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한편 응답자의 59%는 이미 넘어온 망명신청자들에게는 취업허가를 빨리 줘야 한다고 답했는데, 셸터에만 머무르는 이들이 일할 수 있게 해줘야 예산 부담이 줄어들 것이란 판단에 따른 대답으로 해석된다. 또 응답자의 56%는 "연방정부 소유의 토지와 건물을 사용해 망명신청자들이 머무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답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주민 국경장벽 남부 국경장벽 국경장벽 옹호 뉴욕주 응답자

2023-09-12

"드리머 구제-국경장벽 먼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제시한 이민법 개혁안에 대해 의회에서 거센 반발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중도성향의 양당 이민협상파 상원의원 30여 명이 일단 ‘드리머(dreamer)’ 구제와 국경장벽 건설에 대해서만 합의하는 타협책을 제시해 관심을 끌고 있다. 백악관의 이민법 개혁안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은 250억 달러의 국경 안보 강화 예산 배정과 국토안보부 요원 증원 등 이민 단속 강화다. 대통령은 이 조건 하에서 불법 체류 청년 추방유예(DACA) 수혜자 69만 명과 미등록한 자격자들을 포함한 약 180만 명의 드리머들이 10~12년 대기 후에 시민권까지 취득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또 가족이민 초청 대상을 시민권자와 영주권자의 배우자와 미성년 자녀로만 제한해 가족이민을 통한 연쇄이민을 차단하고 추첨영주권도 폐지해 그 쿼터를 현재의 가족·취업 이민 적체 해소에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문제는 개혁안 가운데 드리머 관련 부분과 국경 안보 강화 방안에 대해서는 협상 타결 가능성이 높지만 대통령의 제안대로 시행할 경우 합법이민이 40%가량 축소될 수 있어 민주당이 강하게 거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오는 2월 8일인 임시 예산안의 만료 시한까지 이민법 개혁안이 타결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짐에 따라 양당 상원의원 30여 명이 드리머 구제안과 국경 장벽 건설만 먼저 처리하고 나머지는 다음 단계로 넘기는 타협책을 제시하고 나섰다. 초당적 이민협상 그룹은 민주당의 조 맨친(웨스트버지니아) 의원과 공화당의 수전 콜린스(메인) 의원이 주도하고 있으며 35명의 의원들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존 슌(사우스다코타) 의원총회 의장과 제프 플레이크(애리조나) 의원 등 상원 공화당의 영향력 있는 중진들도 다수 동참했다. 이들은 상원에서 60표 이상의 찬성을 받는 동시에 하원에서도 공화당 의원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타협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의회에서 취임 후 첫 신년 국정연설을 할 예정이다. 올해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기조를 밝히게 될 이 연설에서 이민정책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대통령이 의회의 초당적 타협안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일지 아니면 기존의 입장을 고수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기수 기자 [email protected]

2018-01-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