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잠망경] 자극 과잉시대

하루에도 몇 번씩 병원 곳곳 확성기에서 정신과 응급상황을 외치는 소리가 귀청을 때린다. 숨 가쁘게 “코드 그린!” 소리친 후 병동 번호를 알린다. 평온한 목소리로 전해주면 안 될까. 하기야 그러면 아무도 급히 반응하지 않을지도 몰라.   꽃을 뜯어먹으려는 사슴이 앞뜰을 침범하는 순간 “어이!” 하며 곱게 의사를 전달하면 싹 무시당한다. “야!” 하고 고함을 질러야 후다닥 도망간다. 사슴도 정신병원 의사들도 경미한 자극에는 외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세상이다.   ‘sensory overload’, 하면 얼른 귀에 들어오는 말을 놓고 사전은 감각과부하(感覺過負荷)라 묵직하게 해설한다. 참 뻑적지근한 한자어다. 자극이 지나치면 금세 접수할 수 있지만 낮은 목소리는 신경계통에 등록조차 되지 않는 것이다. 약물의 복용량도 마찬가지. 과량은 극심한 부작용을 일으키고 소량은 무효하다. 생물체는 사슴이건 사람이건 늘 예민한 상태를 넘나든다.   세포는 생존을 위하여 세포막으로 외부 물질을 차단한다. 우리 몸을 감싸고 보호하는 피부, 도둑의 접근을 사전에 방지하는 집의 담과 벽, 자외선을 막아내는 선글라스도 같은 이치. 또 있다. 심성이 비정상적으로 예민한 자폐증 환자의 심리적 폐쇄 상태, 나라와 나라 사이의 국경선, 기타 등등, 예를 들자면 부지기수다.   외부자극은 그렇다고 치자. 내부자극은 어쩔 것인가. 아무리 잠을 청해도 말똥말똥한 정신,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런저런 생각들은 어떤가. 환자들이 세션 도중에 고막을 울리는 환청 증세를 어떡하겠는가. 한 정당(政黨)을 밖에서 치고 들어오는 외부자극도 벅찬 실정에 내부적 갈등이 불철주야 일으키는 자극 과잉, 소위, 당의 내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무슨 수로 대처할 것이냐.   2024년 3월 16일 오하이오주 한 국제공항 선거유세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왈, “내가 낙선되면 나라가 피바다(bloodbath)가 될 것이다”라 했다는 기사를 읽는다. ‘피바다’는 북한이 남한을 향해서 곧잘 쓰던 말이라서 귀에 익숙해진 아주 자극적인 표현이다.   ‘몹시 슬프고 분하여 나는 눈물’이라고 사전이 풀이하는 ‘피눈물’도 있다. 한국 엄마들은 아이를 키울 때 ‘피땀’을 흘려 키운다. 핏빛 노을! 갓난아기를 ‘핏덩어리’라 일컫는 말 습관. 아무래도 우리는 피를 좋아하는 족속인 것 같다.   오랜 세월 동안 문명의 혜택이 잉태해 놓은 부작용, 이를테면, 과속으로 질주하는 컴퓨터의 작동 장애, 도로공사 굴착기의 소음, 낙엽 치우는 장비가 뇌를 뒤흔드는 굉음, 앰뷸런스의 경적, 와이파이 접속이 불량한 스마트폰을 입에 대고 목청을 높이기, 등등, 과잉자극에 시달리다가 21세기 지구촌 인류의 중추신경에 굳은살이 박힌 것은 아닌지 몰라요.   ‘Chinese water torture’이라는 말이 있다. ‘이마에 물을 떨어뜨려 정신이 돌게 하는 고문’이라는 뜻. 그 유래에 대하여 위키피디아에 소상하게 나와 있다.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카운티 오시닝(Ossining)의 ‘Sing Sing Prison’에서 1860년에 찍어 놓은 사진이 섬찟하다. 사람 이마에 차가운 물방울을 불규칙적으로 오래 떨어뜨려 환청, 망상, 현실감각 상실을 일으킨다는 기록이다.   이 그로테스크한 표현은 낙숫물이 돌을 뚫는다는 뜻의 사자성어, 수적천석(水滴穿石)과 연관을 맺고 있다. 돌은 뚫릴지언정 사람처럼 광기를 일으키지 않는다. 물방울 같은 경미한 자극에도 홀까닥 넋이 빠지는 호모사피엔스에게 달려드는 과잉자극의 끝은 어디인가.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과잉시대 자극 자극 과잉 사슴도 정신병원 정신과 응급상황

2024-03-19

[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역치를 낮춰라

마약을 해본 사람들이 가장 커다란 흥분을 느끼는 것은 첫번째 경험이라고 한다. 그 황홀한 경험을 다시 하고 싶어서 계속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중독이 된다. 하지만, 처음에 느꼈던 그 희열을 다시 맛보기는 힘들다. 그래서 복용량을 늘리다가 결국에는 더 심한 중독으로 가는 것이다.     다음은 마약을 경험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자신이 마약을 복용하기 전, 평소에 경험해보던 흥분의 최대치가 숫자로 10이였다고 하자. 이 사람은 평소에 7이나 8정도의 기쁨이나 흥분에도 쉽게 반응하고 기뻐했다. 하지만 이 사람의 인생에서 첫번째 마약의 경험은 그 사람의 흥분 정도를 1,000까지 끌어올려버렸단다. 1,000을 한번 경험한 사람에게는 7이나 8따위의 일반적인 기쁨이나 자극은 이제 더 이상 관심을 끌지 못하게 된다.   이런 사람에게 ‘소소한 일상의 즐거움’은 더 이상 자극을 주지 못한다. 생물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역치’라는 말로 설명한다. ‘역치’란 세포에 자극이 작용해서 흥분이 유발되는 경우, 이러한 흥분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의 세기를 말한다. 이것을 다른 말로는 ‘최소자극’이라고도 한다.     세포에 최소자극보다 낮은 자극을 주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다가 점점 자극의 세기를 늘리면 어느 단계에 가서 반응을 시작하는데, 반응이 일어나는 자극을 ‘최소자극’ 또는 ‘역치’라고 부른다. 역치보다 자극을 더 늘리게 되면 이에 따라 흥분이 점점 증가하다가 일정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반응이 최대가 되는데, 이 때의 자극을 최대자극이라고 한다. 세포는 일단 최대자극을 느낀 이후에는 더 큰 자극을 주어봤자 아무런 변화가 없다.   이런 세포나 생명체에 자극이 반복되면, 내성이 생긴다. 웬만한 자극에는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런 상태를 ‘역치가 늘어난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작은 자극에도 반응을 보이던 생명체가 자극이 반복됨에 따라 점점 더 큰 자극을 가해야만 반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인터넷과 유투브, 그리고 각종 자극적인 영화와 게임이 만연한 세상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의 도파민 중독을 우려한다. 애나 렘키(Anna Lembke)라는 스탠포드 대학의 중독의료전문가가 ‘도파민네이션’이라는 책을 발표했다.     그녀는 ‘쾌락은 늘 고통을 동반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뇌는 쾌락과 고통이라는 두개의 추를 저울의 양쪽에 놓는단다. 그리고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무거워지면 반드시 다시 균형을 맞추려고 한단다. 과잉의 쾌락을 경험했다면, 그만큼의 고통을 느껴서 저울이 평형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평형저울은 마약으로 최대의 쾌락을 경험한 사람들이 마약을 경험한 후에 극도의 고통을 느끼는 것을 잘 설명한다. 다양한 자극에 노출된 현대인들은 도파민에 중독되고 있다. 그리고 도파민에 내성이 생긴다. 웬만해서는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울이 평형을 찾으려고 할 때 혼자서 고통을 느낀다.       도파민 과잉시대의 해결책은 무엇일까? 저자는 먼저 우리가 무엇에 의존하는지를 찾으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구체적인 기간을 정하고 그 동안 ’절제’하라고 한다. 자극에 노출되는 시간과 빈도를 줄이던지 멈추라는 것이다. 처음에는 고통스럽고 힘들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저울은 다시 평형을 찾고 우리 몸은 다시 항상성을 찾게 된다는 주장이다. ‘절제’로 역치를 다시 줄이라는 말이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이상 자극 도파민 중독 도파민 과잉시대

2023-11-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