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중앙칼럼] 페니 퇴출 조치가 남긴 질문

샌프란시스코 유학 시절, 거리 곳곳에 1센트짜리 동전들이 떨어져 있는 것을 보고 신기했던 기억이 있다. 당시 한국에선 IMF 사태로 환율이 두 배 이상 급등해 1센트는 20원 상당의 가치가 있었는데 아무도 줍지 않는 것이 이상하게 여겨졌기 때문이다.   호기심에 수업을 같이 듣던 타인종들에게 왜 아무도 동전을 안 줍느냐고 물었다. 돌아온 대답은 “줍는 데 드는 칼로리를 돈으로 환산하면 손해야” “여긴 언덕이 많아서 줍기 귀찮아” 등 제각각이었다.   하지만 최근 불경기 탓인지 동전을 줍겠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데이터 분석업체 유고브가 지난해 297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 10명 중 8명은 길에 떨어진 동전을 줍겠다고 답했다. 단돈 1센트를 줍기 위해 기꺼이 몸을 굽힐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50%나 됐다. 사람들이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그동안 무시했던 동전의 가치를 다시 바라보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페니(Penny)로 불리는 1센트 동전은 1793년 처음 발행된 이후, 230년 넘게 미국 경제의 일부로 자리 잡아 왔다. 특히 1909년 에이브러햄 링컨의 초상이 새겨진 이후에는 미국을 대표하는 화폐로 상징적인 존재가 됐다. 그러나 지금은 대다수가 페니를 거스름돈으로 받아도 잘 사용하지 않고, 주머니나 서랍 속에 방치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에 따르면 지난해 주조된 31억7200만 개를 포함해 약 1140억 개의 페니가 전국에 유통되고 있다. 조폐국은 2024 회계연도에 페니 하나를 생산, 유통하는데 약 3.69센트의 비용이 투입돼 853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만들어 낼수록 적자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제적 비효율성을 이유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재무부에 페니 생산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그의 결정은 경제학자들로부터 환영을 받았다.   벤틀리대 경제학과 데이비드 걸리 교수는 “페니 하나를 만드는 데 추정비용이 3센트로 경제적 부담이 되고 매년 수백만 개가 사라지기 때문에 조폐국은 지속해서 대체 동전을 공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이 1센트 동전을 폐지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였다고 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페니가 사라질 경우 소액 상품의 가격 증가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최소 화폐 기준이 5센트로 되면 9.96달러짜리 제품 가격이 10달러로 반올림돼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업체들이 가격을 반올림할지, 반내림할지는 불분명하지만, 비즈니스 목적이 이윤 추구에 있으므로 반올림될 가능성이 더 크다.   또한 페니 퇴출은 현금 의존도가 높은 저소득층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국내 현금 사용 비율은 20% 이하로 줄었지만, 여전히 은행 계좌가 없거나 카드 결제가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동전이 중요할 수 있다.   웨이크 포레스트대 경영대학원 아자이 파텔 교수는 디지털 결제가 보편화된 계층에게는 문제가 없지만, 현금 거래에 의존하는 계층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경제와 역사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페니의 주조 중단이 바로 사용 중지가 되는 것은 아니나 시대가 바뀌면서 그 역할이 점점 미미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번 조치를 계기로 5센트 동전인 ‘니클(Nickel)’의 주조 중단도 논의될 가능성이 커졌다. 현재 니클을 제조하는 데 11센트가 들기 때문에 페니와 마찬가지로 경제적 비효율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페니의 운명은 사실상 정해진 것처럼 보이지만 그 여파는 단순한 비용 절감 이상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소비자 물가 상승이 고착화되고 서민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점에서 작은 동전 하나가 주는 상징성과 경제적 여파를 고려할 때 페니 퇴출이 과연 현명한 결정인지 생각해볼 일이다.   언젠가 길바닥에 떨어진 동전을 줍겠느냐는 질문조차 사라질 날이 올 수도 있을 듯싶다. 박낙희/경제부장중앙칼럼 퇴출 조치 경제적 비효율성 경제적 불확실성 페니 1센트 니클 5센트 동전 주조 조폐국 폐지 #koreadailyus #California #Korean #한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2025-02-18

차 보험료 48% 폭등, 10명 중 8명 "감당 어렵다"

#최근 알함브라에서 LA한인타운으로 이사한 S씨는 자동차 보험료 고지서를 받고 깜짝 놀랐다. 지난 1년 동안 사고는 커녕 교통 법규를 위반하지도 않았는데 보험료가 두 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보험사에 문의하자 지역별로 위험도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씨는 예상치 못한 지출이 늘어나면서 다른 항목에서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었다.     #부에나파크에 거주하는 K씨는 신차를 사면서 보험에 10대 자녀를 운전자로 추가했다. 이 때문에 보험료는 60% 이상 올랐다. 다른 보험사로 옮기려 했지만, 보험료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결국 가족 외식을 좀 더 줄여서 보험료를 감당하기로 했다.     가주 자동차 보험료가 지난해 48% 급등하며 인상폭이 전국 3위를 기록한 가운데 보험료 상승이 운전자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 관련 앱 서비스업체 제리에서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운전자 10명 중 8명은 ‘일반 운전자가 자동차 보험료를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답했다. 지난 3년간 전국의 자동차 보험료가 50% 넘게 오르면서 많은 소비자가 보험료 인상에 불만을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     보험료가 크게 오른 가장 큰 원인으로는 자동차 관련 비용 급등이 꼽힌다. 지난해보다 물가 상승세는 다소 주춤했지만, 자동차 관련 비용의 인상폭은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중고차 가격은 코로나19 이전 대비 30%가량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신차 가격도 같은 기간 20% 정도 올랐다.     특히 수리비는 50% 이상 올라 운전자 재정을 압박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동차 수리비 청구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비 과다 청구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6%에 달했으며 불필요한 수리 비용을 지불한 적이 있다는 답변도 57%나 됐다.     이런 가운데 소비자들은 보험료를 줄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응답자의 27%는 디덕터블을 높였다고 답했으며 보험 커버리지 범위를 축소했다는 답변도 26%에 달했다. 범위를 축소했다고 답한 운전자 중 63%는 보험 커버리지가 충분하지 않다고 전했다. 심지어 10%에 가까운 운전자들은 아예 무보험 상태로 운행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보험료 인상을 상쇄하기 위해 일상 지출을 아끼는 사례도 늘었다. 가족여행(32%), 의류(30%), 식료품(26%) 등의 소비를 줄였다는 응답이 적지 않았다.     한편, 전문가들은 올해 자동차 보험료 인상률이 예년보다는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신차 가격이 안정되고 중고차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운전자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 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미 높은 보험료 수준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부담이 크게 줄어들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조사는 국내 운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와 최근 3년간의 자동차 보험·차량 유지비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다.   조원희 기자보험료 수리비 자동차 보험료 보험료 인상 박낙희 #koreadailyus #California #Korean #한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2025-02-14

Korean Beauty Brand 'The Blessed Moon' Secures Series A Funding

Company value reaches 22.5 billion won, growing over 3 times and strengthening its position in the global market The Blessed Moon (CEO Moon Eun-bin), a Korean beauty brand, announced on February 14 2024, that it has successfully secured Series A funding, raising a total of 2.5 billion won and achieving a company valuation of 22.5 billion won, marking more than triple growth in just a year and a half.   Three investment firms participated in this round: Korea Investment Partners, Seoul Investment Partners, and Dongmoon Partners.     Previously, in December 2022, The Blessed Moon secured initial funding of 1 billion won in a pre-Series A round, with a company valuation of 6 billion won. Since then, the brand has rapidly increased its value based on continuous growth and successful performance in the global market.   Differentiated Strategy and Global Influence The Blessed Moon has taken a distinctive approach compared to typical K-beauty brands. As a total beauty brand encompassing both color cosmetics and skincare, it has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in global markets including North America and Europe. The brand has established a strong digital content-based presence, amassing 670,000 followers on Instagram and 920,000 on TikTok.   The brand's uniqueness is also evident in its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ives, which form a core part of its identity. For instance, The Blessed Moon began philanthropic activities even before generating revenue, establishing schools in countries like India, Malawi, and Rwanda. While initially causing concern among investors, these efforts ultimately became a factor in attracting global interest, leading to exclusive contracts with major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Spain, Germany, Italy, and France   Focus on Sustainable Structure Rather Than Rapid Expansion The funds secured from this investment will be used for organizational reinforcement and structuring, rather than typical marketing or production costs. As part of this effort, The Blessed Moon has relocated its headquarters to a standalone office in Yeoksam and strengthened its executive team, including the recruitment of former Extreme CMO Park Se-hwan and professional manager Kim Sun-jung as CFO, focusing on building a systematic structure.   CEO Moon Eun-bin stated, "While rapid expansion is important, we determined that strengthening our internal structure was necessary for sustainable growth. This investment was not just about growth, but a preparation process to continue our explosive success".   Achievement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The Blessed Moon is expanding its presence in the global beauty market, simultaneously exporting to over 20 countries including Japan, Southeast Asia, Europe, and the Americas. Notably, during its entry into the Japanese market last year, the brand achieved remarkable success with placement in over 4,000 stores and dominating the Scramble Egg billboard.   In the domestic market, The Blessed Moon recently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through its pop-up store at Lotte World Tower, reaching an average of 150,000 to 250,000 customers daily. Over the approximately five-month pop-up period, the brand successfully expanded its contact with domestic fans, recording 25 million visitors    최지원 기자secures funding beauty brands korean beauty brands uniqueness

2025-02-13

K-POP CAMP: Debut on the Dream Stage in Korea

We invite you to the K-POP CAMP happening in April 2025 in Korea!   The K-POP CAMP is a special program designed to help talented individuals shine on the dream stage in Korea. Taking place in Incheon from April 10~12, the camp will run for three days and offers a comprehensive training program covering dance, vocal, modelling, performance, and styling—all the essential skills needed in the K-POP industry.   Through this foundational training, participants will build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and through specialized courses, they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debut on the prestigious Korean stage. On the final day, April 12, participants will celebrate their journey with a graduation ceremony, receive ambassador awards, and perform their individual runway presentations during the prestigious ‘Stage On Me’ global festival.   Additionally, on April 12, the ‘Stage on Me’ global Korean festival will host the camp completion ceremony and ambassador appointment ceremony. Participants will also have the opportunity to showcase their individual runway walks and performances on stage.   The host of this event, YM STAR, is a leading organization that promotes K-culture worldwide through cultural collaboration among global participating countries. As a key player in the industry, YM STAR collaborates with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creators, playing a pivotal role in domestic brand marketing and global expansion.   With the ongoing global K-wave, an increasing number of young talents aspire to become global artists like BTS. In response, YM STAR aims to provide specialized programs for participants visiting Korea, offering them opportunities to achieve their debut. Through this initiative, YM STAR seeks to foster greater interest in Korean pop culture and the music industry while contributing to its continued growth.   We eagerly await the participants of this camp, where they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shine on stage, showcase their unique talents and individuality, and fully unleash their potential in this unforgettable moment. For more information and to apply, visit the official Stage On Me Instagram    최지원 기자debut dream korean stage dream stage korean festival

2025-02-10

이튼 산불 진화 후 첫 부지 매매

최근 LA지역서 발생한 대형 산불 중 하나인 이튼 화재로 인해 초토화된 알타데나 지역에서 피해를 본 주택 부지의 첫 매매(에스크로 중)가 성사됐다.     LA이스트는 알타데나 지역 95 웨스트칼라버라스 스트리트의 부지가 44만 9000달러에 매물로 나와 수십 건의 문의 끝에 55만 달러의 현금 거래로 판매됐다고 지난 9일 보도했다.   매물은 9109스퀘어피트 규모 부지로 주택은 전소됐다.     진화 후 일주일 만에 이루어진 이번 부지 거래는 향후 재건축과 지역 주택 시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난 2023년 2개의 침실과 2개의 욕실을 갖춘 주택을 96만 달러에 매입 후 임대해오다 화재 피해를 본 이전 소유주는 재건축 감당이 어려워 부동산 회사를 통해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거래를 진행한 부동산 중개업자 브록해리스는 해리스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 주민들이 다시 정착할 수 있도록 주택을 신속하게 재건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누구도 불합리한 가격에 매각하도록 강요받아서는 안 되며, 패닉에 빠져 헐값에 팔아서는 안 된다”면서도 “도시가 회복되려면 주택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부지 소유주, 개발업자, 지역사회가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부지 매매 성사가 알타데나 지역의 재건과 주택 시장 회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낙희 기자이튼 산불 이튼 산불 이튼 화재 매매 성사 LA산불 화재 주택 전소 피해 복구 #koreadailyus #California #Korean #한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2025-02-10

Chairman Kim Byung-gap: "Challenges of K-Food Globalization, Hoolala's Vision for the World"

Hoolala Group, a franchise company specializing in food services, is once again pursuing aggressive overseas expans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Before the global health crisis, Hoolala had already made strides in international markets such as China, Southeast Asi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Now, the company is focusing on expanding its portfolio of authentic Korean food concepts, including Hoolala Charcoal BBQ and Hong Chun Cheon Cheese Dak Galbi. We spoke with Kim Byung-gap, Chairman of Hoolala Group, to learn more about the company’s global ambitions.   Q: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Hoolala's international expansion?   “Before the pandemic, our Hong Chun Cheon Cheese Dak Galbi locations in Tokyo and Manhattan performed very well, which sparked a lot of international interest in our brand. Recently, we've made our debut in the Philippines.   Hoolala Charcoal BBQ also opened stores in Vietnam and India last year, both of which have been well-received. Now that the pandemic is behind us, we're in the process of signing contracts for 10 additional locations in Vietnam and India.”   Q: What drives your passion for international expansion?   “Our ultimate goal is to establish Hoolala as a global brand. We've had challenges, including a setback in China.   But I remain committed to expanding internationally because I want to elevate K-food and Korean franchises to a competitive level on the global stage. Our mission isn’t just about making money, it’s about helping the Korean restaurant industry achieve global recognition and standards.”   Q: Could you elaborate on this vision?   “American brands like McDonald's and Starbuck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American culture worldwide. They’ve successfully enhanced the American lifestyle and competitiveness. I believe it’s time for Korean brands to do the same, using food to spread Korean culture. With the current rise of the Korean Wave, there's a renewed global interest in Korea, and this is an opportunity we must seize.   For the franchise industry to grow both in size and quality, many more Korean brands need to emerge and take on the global market.”   Q: Why is the growth of homegrown Korean franchise brands so important?   “Global food brands can become a major engine for national growth. The restaurant industry is a significant part of Korea's economy and has the potential to create millions of jobs.   Korea’s self-employment rate is among the highest in the OECD, and while some argue that the number is too high, the demand for dining out, particularly in the evening, is uniquely strong in Korea. This culture can drive job creation and economic growth.”   Q: Do you see the global expansion of Korean brands as a positive development?   “Absolutely. Experts in the restaurant industry are saying that with the global rise of K-pop and K-dramas, there’s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for Korean food brands to gain favor internationally. It’s crucial for local franchisees to seize this moment. The world is more receptive to Korean culture than ever, and this is the perfect time for Korean food brands to take their place in the global market.”   Q: What advice would you give to those looking to enter the franchising world?   “Franchise entrepreneurs need to have a strong conviction and a willingness to take risks if they want to build a global brand. Expanding overseas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franchising, as it’s essentially a 'cultural convergence product.' To succeed, you must integrate cultural elements into your brand or store, this is key to connecting with customers in diverse markets.   The Korean Wave offers incredible opportunities because it embodies the blend of horizontal communication from our love room culture and the deep, affectionate connection known as 'Jeong,' both of which resonate with people worldwide. I believe the government also needs to recognize the food service industry as a vital policy focus and provide active support for overseas franchise companies.   It’s also important to remember that global franchises are often built through failure. Global success doesn’t happen overnight, it requires hard work, persistence, and an unwavering commitment. Hoolala Group will continue to pursue these challenges without ever giving up.”    박원중 기자 ([email protected])globalization challenges korean food international expansion gap chairman

2025-01-07

Chef Soojin Shines in New York, From Jean-Georges to Oiji Mi Lead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Chef Soojin has recently returned to Korea after building a stellar career at Michelin-starred restaurants in New York. Known for hi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Soojin is a rising star in the culinary world.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Chef Soojin gained experience at the Imperial Palace Hotel and pursued his dreams by studying English diligently during his military service. His hard work paid off when he was admitted to the Culinary Institute of America (CIA), a prestigious culinary school in New York, where he further honed his skills with passion and dedication.   Upon graduation, Chef Soojin earned an opportunity to work at Jean-Georges, a Michelin two-star restaurant operated by the world-renowned chef Jean-Georges Vongerichten. Starting his training at Nougatine at Jean-Georges, Soojin's diligence and talent caught the attention of Mark Lapico, the restaurant’s executive chef. Within just a year, Soojin was promoted to a full-time chef at the Michelin two-star Jean-Georges.   Reflecting on his time there, Chef Soojin recalls experiencing the precision and perfection of New York's fine dining scene, where even a one-gram deviation was unacceptable. For him, Jean-Georges was his "dream job" and the first Michelin-starred restaurant where he gained invaluable experience.   After three years at Jean-Georges, Chef Soojin embraced a new challenge by joining the Korean restaurant Oiji Mi in New York. Located in the Flatiron District of Manhattan, Oiji Mi is a Michelin-starred restaurant that reinterprets traditional Korean cuisine into modern five-course meals, gaining widespread acclaim for both its dishes and interior design.   As the chef of Oiji Mi, Chef Soojin played a pivotal role in promoting Korean cuisine globally. Oiji Mi is also a hotspot for celebrities, including Hollywood actress Lucy Liu and Korean stars Son Tae-young and Kwon Sang-woo. During a YouTube filming with model Hong Jin-kyung and Son Tae-young, Chef Soojin prepared an exquisite course menu, starting with scallop mulhoe and beef tartare with caviar donuts, followed by oyster bossam, striped mackerel, lobster bibim-guksu, sea urchin rice, aged duck, and wagyu. The dishes were praised for their refined reinterpretation of Korean cuisine, with Hong Jin-kyung commenting, "This food isn’t just about presentation; it truly tastes incredible."   Last year, SK Group Chairman Chey Tae-won hosted a "Korean Night" event at Oiji Mi, inviting United Nations (UN) ambassadors to experience Korean cuisine. Under Chef Soojin's direction, the event featured signature dishes such as beef tartare, flower galbi with sea urchin rice, and glutinous rice donuts, which received rave reviews.   Despite his success in French cuisine at Jean-Georges, Chef Soojin chose to pursue Korean cuisine. He explained, “Although I have never formally studied Korean food, it’s what I do best. Having spent 25 years in Korea, eating the food and experiencing the culture, I wanted to use the techniques I learned at Jean-Georges to present Korean cuisine in diverse and innovative ways.”   After a successful tenure at Oiji Mi, Chef Soojin has now returned to Korea. With his experience from Michelin-starred restaurants like Jean-Georges and Oiji Mi, expectations are high for his next chapter. The culinary world eagerly awaits how Chef Soojin‘s dream of promoting Korean cuisine globally will continue to unfold.    박원중 기자 ([email protected])globalization georges korean cuisine chef jean new yorks

2024-12-23

PR Firm LIKE BAHA Expands Tourism and Leisure Business with Key Industry Veterans

November 26, 2024 - Strategic PR firm LIKE BAHA(바다와하늘처럼) announced the appointment of two industry experts as partners to strengthen its tourism and leisure business division.   LIKE BAHA has consistently demonstrated success in the travel and leisure sector, having executed successful PR campaigns for Vietnam's leading property and resort company Sun Group and Korea's prominent accommodation booking app Coolstay.   New partner Dong-gyoo Ham brings over 20 years of expertise in the travel and tourism industry. As a former travel industry journalist, Ham served as the publisher of Travel Post and online travel newspaper Trafl, and held positions as media relations director at Club Rich Travel and honeymoon specialist Palm Tour. He also brings extensive international experience, having served as the external relations director for Royal Air Philippines.   "I aim to discover and promote lesser-known international destinations and hotel-resorts to Korean travelers, making their travel experiences both unique and cost-effective," Ham stated.   Crystal Lee, joining as another partner, is a global influencer marketing specialist in the travel sector. As a NAVER official influencer, she has managed marketing operations across major Southeast Asian resort destinations. Her expertise includes hands-on experience with Alma Resort's marketing team and participation in numerous international tourism board familiarization trips. Recently, she contributed to launching 'Travelers' Free Playground' (Yeoyuteo) community, fostering connections between travelers and global travel businesses as well as local businesses to create new travel experiences.   "As a travel influencer, I will strive to introduce valuable destinations to more people," Crystal said, adding, "I want to inspire people through diverse travel experiences and help make their dream travels a reality."   Through these strategic appointments, LIKE BAHA plans to offer integrated travel and leisure marketing services encompassing traditional media relations and digital marketing including social media. The firm plans to expand its specialized PR services for major domestic travel agencies, international tourism boards, and airlines.   "With Dong-gyoo Ham and Crystal Lee joining our team, LIKE BAHA's competitiveness in the travel and leisure sector will be significantly enhanced," said CEO Woo-ram Lee. "We will support our clients' successful marketing through differentiated services that bridge traditional and new media."   LIKE BAHA, operated by BAHA Inc., plans to leverage its expertise in startup and entertainment PR to establish a global travel network across major Southeast Asian tourism hubs, while accelerating its expansion into the Asian PR market across existing business categories.    박원중 기자 ([email protected])veterans industry tourism industry korean travelers leisure sector

2024-11-25

Korean Painter Suh Jeong-min brings hanji masterpieces to Art Miami 2024

Renowned South Korean painter Suh Jeong-min is set to display seven extraordinary paintings at Art Miami 2024, which will be held in the United States next month.     Known for his innovativ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art forms, Suh is a celebrated figure in the global art community.   Ahead of the event, Suh met media outlets to show his signature style that features large-scale works, some spanning over 10 meters.     Crafted using hanji—traditional Korean paper often utilized in calligraphy—his pieces embody the seamless integration of tradition and innovation.   Tireless artist in pursuit of “Korean Line”   The 63-year-old continues to maintain an intense work schedule, dedicating up to 15 hours a day to his craft without taking holidays.     His artistic process involves a meticulous 10-step preparation for creating his materials made of hanji used for calligraphy practice. He is in charge of every stage of production, reflecting his disciplined approach to his art.   “My artistic philosophy revolves around the intrinsic value of labor,” Suh explained. “I strive to elevate it from a means of survival to a profound source of inspiration and meaning.”   “By preserving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while embracing contemporary themes, I aim to position modern Korean art within the global art history narrative.”   A hallmark of Suh’s work is his exploration of the “Korean line,” a concept deeply rooted in Taoist and Buddhist philosophies.     Unlike the sharpness of Chinese art or the rigidity of Japanese aesthetics, the Korean line, Suh explains, is “soft, unassuming, and elegant—an embodiment of understated beauty.”   At the heart of this pursuit lies hanji, a material he describes as “prized for its resilience, texture, and timeless quality, outlasting conventional canvases by several centuries.”     By combining Eastern aesthetics with modern artistic inquiries, Suh’s use of hanji exemplifies his commitment to honoring Korean heritage while innovating within its framework.   “The Korean line and hanji reflect my effort to bridge tradition and modernity,” Suh said. “They allow me to preserve conventional materials and methods while embracing the challenges of contemporary expression.”   Watchers often highlight how Suh’s work achieves a harmonious coexistence of old and new, creating a timeless dialogue between culture, philosophy, and the human spirit.   A Global Stage: From Europe to Miami   Suh has long sought to captivate global audiences, particularly in Europe, often regarded as the heart of the art world. Hi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art fairs has been instrumental in sharing his unique vision and philosophy.   “My work seems to resonate deeply with collectors and critics in Europe and beyond,” Suh said. “Exhibitions in Germany, France, and Italy have garnered praise for blending Eastern and Western sensibilities, offering a refreshing perspective in global art dialogues.”   Suh’s next major showcase, Art Miami 2024, will run from December 3 to December 8 at One Herald Plaza, a prestigious waterfront venue in downtown Miami.     As one of the most attended contemporary art fairs globally, Art Miami serves as a leading destination for acquiring significant works from the 20th and 21st centuries.   Looking ahead, Suh plans to continue his international journey, with exhibitions scheduled in the United States and Hong Kong next year.     “I hope to solidify a place for modern Korean art on the world stage,” Suh shared.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 painter korean art korean line south korean

2024-11-24

“한인회 영문 명칭 The Korean Association of Dallas로 변경”

 제39대 달라스 한인회(회장 김성한) 이사회(이사장 황철현)가 제1차 이사회를 개최했다. 지난 1일(금) 오후 5시 달라스 한인회 사무실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회칙 수정안이 발표됐고 이사회 참석 이사들의 논의가 있었다. 이날 인사회는 총 재적 인원 44명 중 23명이 참석해 성원을 이뤘다. 이사회는 먼저 그 동안 Korean Society of Dallas(KSD)로 표기됐던 달라스 한인회의 영문 명칭을 The Korean Association of Dallas(KAD)로 변경했다. 영문 명칭 변경과 함께 비영리 단체 법인 등록 자체를 새로 할 것인지, 아니면 명칭만 변경하게 되는지 이사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황철현 이사장과 김성한 회장은 담당 회계사에 문의해 보겠다고 답했다.   이번 회칙 수정안에서는 달라스 한인회의 활동 목적을 “미주 한인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적 지위를 발전시키기 위함”이라고 정비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 달라스 지역에서 미주 한인들과 미주 한인단체들과의 화합과 단결로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 달라스 한인들이 현재 살고 있는 미국 그리고, 한인들의 조국 대한민국의 영원한 우방 관계에 기여한다 ▲ 모든 달라스 한인 단체들과 만나 유대관계를 맺고 좋은 정보를 교환하고 상호 협력관계를 구축한다 ▲ 미국 내 타민족 단체와의 유대를 강화한다 등을 채택했다. 회칙 제4조에서는 ‘달라스 한인회의 해당 지역’이 ‘달라스 시와 그 주변 및 교외 지역의 한인 거주지역’으로 규정됐다. 이사회는 달라스 한인회 회원의 자격도 새롭게 규정했다. 먼저 정회원은 한국계 미국인 또는 한국인으로, 만 18세 이상에 제4조의 달라스 한인회 해당 지역에 거주하며 회원 등록서를 제출해야 한다. 준회원은 한국계 미국인 또는 한국인으로, 만 18세 이상 달라스 한인회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자로 규정했다. 회장 선출 및 임기에 관한 조항도 수정됐다. 먼저 회장 선거 출마 자격은 ▲ 정회원으로 선거일 기준 만 40세 이상인 자 ▲ 미국 시민권 또는 영주권 소지자 ▲ 전과 또는 금치산자, 정신 이상 또는 질병으로 인한 비정상 상태 등의 결격 사유가 없는 자 ▲ 달라스 한인회 임원, 이사회 이사 또는 각종 한인 단체에서 4년 이상 봉사한 자 등이다. 회장 선거 등록에 있어 그 동안 부회장도 등록비를 내도록 했던 조항을 없애고 회장 후보자만 등록비를 2만 달러 내는 것으로 수정했다. 등록비는 입후보 신청서를 제출할 때 함께 제출해야 한다. 또 회장 후보자는 달라스 지역 거주 한인 100인 이상의 추천서를 제출해야 한다. 만약 선거 등록비에서 잔액이 발생할 경우 달라스 한인회의 다음 회계연도 예산으로 이월한다. 이번 회칙 수정안에는 회장 선거를 해당 연도 12월5일 이전에 실시한다고 명시했다. 단독 입후보의 경우 무투표 당선의 원칙을 그대로 지켰고, 경선일 경우 선거에서 가장 많은 유효표를 얻은 후보자가 회장에 당선된다고 명시했다. 이번 회칙 수정안에는 제9장에 회장에 대한 탄핵 및 해임에 대한 조항도 정비됐다. 탄핵 및 해임의 이유로 ▲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을 경우 ▲ 금치산 선고를 받을 경우 ▲ 심각한 육체적, 정식적 장애로 인해 업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 금전 비리 또는 범죄 행위에 연관된 경우 등이다. 회장 탄핵을 위한 이사회 소집은 이사장이 공지하고 달라스 한인회는 이사회가 열리는 날 5일 전까지 2개 이상의 언론사를 통해 이사회 소집을 알리도록 했다. 달라스 한인회장을 탄핵하기 위해 소집된 이사회의 의결 정족수는 참석한 이사의 2/3 찬성으로 의결한다. 황철현 이사장은 이사회 진행에 앞서 2011년 9월 임시총회에서 마지막으로 회칙이 개정됐다고 밝히고 진작에 이사회를 개최하려 했지만 여러 번 연기됐다고 밝혔다.                     〈토니 채 기자〉association 한인회 달라스 한인회 korean association 이사회 참석

2024-11-05

"ASTERN 55," a Super Penthouse Redefining Absolute Luxury Living

Recent survey findings indicate a faltering growth momentum in the global real estate market; nevertheless, the world's wealthiest individuals persist in investing in ultra-luxury residences.   Knight Frank, a real estate consulting company, reports a total of 417 transactions involving properties valued at over $10 million (approximately 131 billion Korean won) in the global housing market during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This reflects an 11% increase from the previous quarter, representing the largest scale since the second quarter of 2022.   Notably, the Azabudai Hills Penthouse by Mori Building in Tokyo, Japan, fetched $150 million (200 billion Korean won) in auction this year, and other residences exceeding $50 million have entered the market.   In Korea, there is a rising interest in the high-end real estate market. According to Credit Suisse's '2022 Global Wealth Report,' Korea ranked 11th globally in terms of the scale of ultra-high-net-worth individuals (with a net worth of $50 million) as of the end of last year.   Real estate developer “Aster Development” introduces the nation's first super penthouse, “ASTERN 55” set to be supplied in the first half of next year, positioned along the luxurious Han River residences with duplex and triplex designs.   ASTERN 55 boasts an unparalleled location, providing residents with the enduring value of the "Han River view," a privilege enjoyed by only a select few in the country. Differentiated product design, maximizing panoramic views of the Han River for every unit, sets ASTERN 55 apart. The building faces the Han River, with a length of 128m, and features approximately 30m wide layouts for each unit, ensuring a stunning river view from the deepest points within the residences. Additionally, a sky garage is incorporated for all units, allowing residents to enjoy views of the Han River.   Particularly noteworthy are the triplex units, where the combined length of the sides facing the Han River totals an impressive 121m, providing an exclusive and unobstructed view of the Han River.   The transformation of a private standalone mansion into a collective housing complex with 26 units is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Astern55' project. Spanning a total floor area of 37,674 square meters, Astern55 incorporates innovative design concepts not previously attempted in the domestic market. This allows each household to exist as a perfectly private standalone mansion while collectively forming an entire residential complex.   Exclusively for the 26 households residing in Astern55, the project boasts approximately 60 elevators and an average of 9 parking spaces per household (up to a maximum of 20), providing residents with an unparalleled luxury living experience. Furthermore, every homeowner has the option to install a swimming pool within their residence.   The development embodies Aster's philosophy of luxury living, starting with the realization of a perfect private realm, featuring exclusive amenities such as a private elevator, drop-off zone, parking, and more, designed for the sole enjoyment of the residents.   Taking inspiration from London's "Iceberg Homes," Aster maximizes underground space utilization. Modeled after the luxury lifestyle of the super-rich, the design includes underground facilities like a swimming pool, private cinema, gallery, fitness center, and even an underground parking facility.   Setting itself apart from conventional high-end residences, Astern 55 introduces a unique interior design and operational system. The "Tailor-made System," a first in Korea, involves direct consultations with five world-renowned luxury artists, including Vincenzo de cotiis Architects and jouin manku allowing residents to customize their home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not just limited to simple customization of walls or furniture.   Residents of ASTERN 55 will have access to approximately 3,300 square meters of amenity facilities, including a spa, fitness center, chef's dining table, and a cinema. The amenities are designed to be used through independent pathways, ensuring privacy. Operations and concierge services for amenities will be overseen by the upcoming super-luxury membership club, 'DYAD CHEONGDAM1,' in the heart of Cheongdam-dong, offering a prospect of 6-star hotel-level services.   Residents will automatically become members of the society club 'DYAD CHEONGDAM1.' The club, situated in the center of Cheongdam-dong, spans from the 4th underground floor to the 16th above ground, featuring a sky lounge, infinity pool, indoor pool, pub, business rooms, global fine dining, multi-rooms, and other exclusive community facilities. Services such as chef catering, security consultation, legal advice, and accounting and tax consulting are also available.   As the first super penthouse supplied in Korea, ASTERN 55 is poised to set new standards for ultra-luxury homes in the country. With a record-breaking expected price and the unique feature of a permanent Han River view, ASTERN 55 is positioned to become an irreplaceable ultra-luxury residence in Korea.   Aster Development, spearheading the project, collaborated with top expert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three years. The project involved collaborations with world-renowned artists and brands such as Dominique Perrault, Yabu Pushelberg, Vincenzo de Cotiis, Jouin Manku, Officine Gullo.   Located near Dosan Intersection in Sinsa-dong, Gangnam-gu, ASTERN 55 operates on an exclusive pre-reservation basis, catering solely to thoroughly vetted clients. The project is associated with the Aster Gallery, known for its authenticity and operates as a haven for the discerning few who appreciate the pinnacle of luxury living.    김진우 기자 ([email protected])redefining penthouse luxury residences hills penthouse billion korean

2023-11-27

노스로드 한인타운에서 펼쳐지는 풍성한 추석행사

 한인들의 최대 명절 중의 하나인 추석 행사가 올해 밴쿠버 한인사회에서 거의 유일하게 이번달 말 한인타운 중심지에서 4년 만에 열릴 예정이다.   Korea Town Center와 ALS Property Management는 오는 9월 30일(토) 한국 전통 명절인 추석을 맞이하여 'Korean Community Day' 행사가 버나비 Korea Town Center에서 성황리에 개최될 예정이다.     처음 시작된 2014년부터 매년 지역 교민 및 다문화 사회의 이웃들과 함께 추석의 정취를 나누며 큰 사랑을 받아왔다. 지난 3년 간 팬데믹으로 인하여 온라인으로만 진행되었다. 올해는 2019년 이후로 현장에서 행사가 재개되는 큰 의미를 담고 있다.   지난 2019년까지는 Burnaby North Road BIA, Korea Town Center, 그리고 ALS Property Management의 공동 주최로 이루어졌다. Burnaby North Road BIA가 단독으로 Korean Community Day를 The North Road Festival로 이름을 바꾸고 Lougheed Mall에서 지역 행사로 확장하기로 결정하면서, Korea Town Center와 ALS Property Management는 그 동안의 전통과 명맥을 이어 교민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이번 Korean Community Day특별하게 준비했다고 밝혔다.     올해 행사는 Korea Town Center 내 많은 비즈니스들의 적극적인 후원과 참여로 경품이 푸짐하게 준비되었다. 특히 총 1000달러 상당의 식당 상품권에서 쌀, 라면, 과일, 전통과자, 전통음료, 김, 건강식품, 냄비, 도마 등 생활용품, 전동칫솔, 칫솔셋트, 화장품, 마스크, 책, 꽃&식물, 식당상품권, 여행권까지 다양한 경품이 참석자에게 제공된다.   행사일에 상가내 많은 비즈니스가 참여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며 또한 다양한 외부 벤더들도 참여하여 행사를 더욱 풍성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또 다양한 문화 이벤트도 열리는데 포트 무디 청소년 오케스트라단의 공연을 시작으로, 김용래 테너의 추석 노래와 향이 플롯 스튜디오 모니카 조의 플룻 연주가 오전에 펼쳐진다. 오후에는 댄스 & 코어 밸라 댄스팀의 댄스 공연과 이번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특별 이벤트 '추석 노래 자랑’이 준비된다. 1, 2, 3 등상, 인기상, 아차상 등 푸짐한 상품이 제공된다.   행사장에서는 Kim's 붕어빵과 호떡, 천사푸드 by Zip-Bop의 다양한 김밥, Mr Paris 베이커리의 크림도너츠와 빵, miss scone의 K-style 스콘, 그리고 깐봉의 전통 음료 식혜등의 다양한 한국 음식이 방문객들을 맞이하게 된다.   행사의 주최자인 ALS Property Management의 공동대표인 미셀 김은 "앞으로도 Korean Community Day가 캐나다에서 추석의 추억을 기억하는 시간, 새로운 추억을 만드는 시간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며, "Korean Community Day 행사가 한인 사회, 그리고 다문화 사회의 모든 이들에게 추석의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 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또 김 대표는 "앞으로도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인 사회의 발전과 문화 전파에 힘쓸 것"이라며, "Korean Communidy Day에 애정과 기대를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버나비와 코퀴틀람에 걸쳐 있는 North Road 지역은 Korea Town Center와 Hanin Village로 대표되는 한인 상가의 중심지로, 주변의 신규 부동산 개발로 인한 활성화가 기대된다. 두 한인 상가들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발맞춰 주차장 재포장, 조명 공사, 건물 외벽 페인팅 공사 등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계획하고 진행한다.   한편 다문화사회인 캐나다에서 동아시아인의 최대 명절인 추석을 맞아 중국계 위주로 대규모 행사가 9월초부터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지만, 한인사회에서는 특별히 추석을 위한 행사가 딱히 없어 추석을 통해 주류사회와 연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질 못했다.         표영태 기자추석행사 한인타운 korean community 한인타운 중심지 추석 행사

2023-09-21

[열린광장] 아름다운 나라 이름 ‘코리아’

모든 달마다 그 달에 일어난 좋거나 나쁜 일들이 있기 마련이다. 역사적으로 8월에도 일들이 많았다. 그 중 하나가 최초로 원자탄이 떨어진 일이다.  1945년 8월6일 미국의 B29 폭격기가 일본 히로시마에 원자탄을 투하했고 이로 인해 1945년 8월15일 일왕은 항복을 선언했으며 한국은 광복의 기쁨을 누렸다.     그런데 광복의 가쁨도 참시 1950년 6월25일 북한군의 침략으로 전쟁이 발발했고 1953년 7월27일 휴전협정이 맺어졌다. 그리고 한국에 미군이 주둔하기 시작했다. 그무렵 나는 서울  낙산 위에 주둔하고 있던 미군부대에서 이른바 ‘하우스 보이’로 일했다.  하루는 미군 상사가 이런 질문을 했다.  “Hey yoon!  What is the Korean name of your country?”  난데없는 질문에 어리둥절했다. 이게 무슨 물음일까?  ‘코리안 네임?’ 이라니 참 엉뚱하다. 그래서 이번엔 내가 물었다.  “Korean name?  What do you mean by that?”  그랬더니 한국 사람들은 국적을 말할 때 모두 ‘코리아’ 라고 말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낱말은 영어지 한국말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그래서 나는 ‘한국’이라고 말했다.  그랬더니 북쪽에 있는 사람들도 다 ‘한국’이라고 하느냐고 되물었다. 북쪽에서는 ‘조선’ 이라고 부른다고 했더니 그것 참 재미있는 나라 이름이라고 말하면서 웃었다.     우리나라의 국호는 ‘대한민국’ 이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코리아’ 라고 부른다. 코라아는 고려에서 유래된 것이라 흥미롭다.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는 성정이 안정되지 못하고 일관된 철학이 없어  국호와 도읍을 자주 바궜다. 영토가 넓어지자 건국 당시 국호인 후고구려와 도읍인 송도를 버리고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도읍도 철원으로 옮겼다. 정치가 안정되자 국호는 다시 태봉으로 바꿨다.   이 때 후삼국의 새 지도자가 탄생했다.  태조 왕건이다. 왕건은 궁예를 물리치고  나라를 세웠는데 국호를 고려(高麗)라고 지었다. 일설에 의하면 왕건의 부친 왕융이 국호로 고구려를 권유하자 왕건은 나라 이름을 뜻하는 구(句)자를 빼고 고려로 했다고 한다.   ‘대한민국’이란 이름은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고려’는 참으로 아름다운 이름이다.  유능한 지도자들과 성실한 국민이 있는 나라 ‘고려 (Korea)’, 곧 대한민국이다.  윤경중 / 연세목회자회 증경목사열린광장 코리아 나라 나라 이름 도읍도 철원 korean name

2023-08-21

‘내셔널 시니어 탈렌트 쇼’ 개최

뉴욕시 퀸즈 베이사이드에 위치한 뉴욕한인봉사센타(KCS)에서 지난 4일 뉴욕시 노인부서(NYC Department for the Aging) 주최로 ‘내셔널 시니어 탈렌트 쇼’ 퀸즈 지역 선발전이 열렸다.     이 행사는 퀸즈 지역에서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행사로, 올더 어덜트 센터(Older Adult Center)의 시니어 팀들이 참가해 무대 위에서 다양한 재능을 펼치는 자리다.   이번 퀸즈 지역 선발전에는 지난 7월에 열린 1차 예선전에서 선발된 총 9개 팀이 각각의 특색과 재능을 드러내며 경쟁을 펼쳤는데, 최종 선발된 3개 팀은 다음 단계로 맨해튼에서 열리는 선발전에 퀸즈 지역을 대표해 참가한다.   뉴욕한인봉사센터는 “이번 행사에서 최종적으로 선발된 3개 팀은 ▶뉴욕한인봉사센타 Older Adult Center의 Korean Dance Team ▶Selfhelp Latimer Gardens Older Adult Center의 Belly Dance Fan Veil Team ▶CPC Nan Shan Older Adult Center의 Yue Opera Team으로, 이들 팀들은 다양한 예술과 문화를 담아내는 공연으로 퀸즈 지역의 자부심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시니어 탈렌트 쇼는 퀸즈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다음 단계에서 열리는 맨해튼 선발전에서도 퀸즈 지역 팀들의 활약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이들←은 퀸즈 지역에서 오랜 기간 동안 문화와 예술을 함께 키워온 팀들이어서, 뉴욕 전역의 시니어들과 함께하는 무대에서 환상적인 활약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뉴욕한인봉사센터는 “이번 선발전은 지역 사회의 문화 교류와 다양성 존중을 장려하는 소중한 행사로서, 퀸즈 지역 주민들에게 유쾌하고 감동적인 시간을 선사했다”며 “앞으로도 뉴욕한인봉사센타와 뉴욕시 노인부서는 지역 주민들의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발전시키는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내셔널 시니어 탈렌트 쇼 뉴욕한인봉사센타 KCS Korean Dance Team

2023-08-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