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관련 조지아 투자, 잇달아 '없던 일로'
트럼프의 보조금 폐지 후폭풍

아스펜 에어로젤의 블록 카운티 공장 조감도. 아스펜 에어로젤 제공
단열재 생산 아스펜 에어로젤도 취소
전기차 부품 업체가 조지아주 공장 투자 계획을 포기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보조금 지급에 힘입어 구축된 배터리 공급사슬이 위축되고 있다.
전기차 화재 방지용 배터리 단열재 제조사 아스펜 에어로젤은 지난 2022년 발표한 블록 카운티 공장 건설을 중단한다고 13일 밝혔다.
애초 회사는 3억 2500만 달러를 들여 2027년까지 연 200만대의 전기차 부품 공급이 가능한 50만 스퀘어피트(sqft) 규모 공장을 지으려 했다. 이를 위해 연방 에너지부 산하 대출 프로그램 사무국(LPO)으로부터 6억 7100만 달러를 조건부 지원받았다.
아스펜 에어로젤의 리카르도 로드리게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전기차 수요 전망에 따라 공장 개장 계획을 조정해왔지만, 로드아일랜드주의 1공장에 투자를 집중하기로 최근 결정했다"고 전했다. 회사는 제너럴모터스(GM), 토요타,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등의 제조사와 납품 계약을 맺고 있다.
지난 6일 노르웨이의 배터리셀 생산업체 프레이어가 26억 달러 규모 공장 계획을 철회한 데 이어 올해 두번째 투자 무산 사례가 전해지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전기차 지원금 철회 기조가 벌써 자동차 업계에 영향을 끼친다는 분석이 나온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전기차 판매 둔화로 최근 투자 계획을 중단하거나 철회하는 기업은 모두 주정부가 수년간 구애해온 친환경 제조업체들"이라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