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열린광장] 한국말은 까다로운가?

윤경중 연세목회자회 증경회장

윤경중 연세목회자회 증경회장

“교수님!  한글은 이 세상에서 가장 으뜸가는 글인 것 같은데 왜 한국말은 까다로운지 잘 모르겠어요.” “글쎄다.”  
 
연세대학교에 다닐 때, 한글 맞춤법의 권위자였던 고 최현배 교수에게 한 질문과 그에 대한 최 교수님의 답이 어렴풋하게 떠오른다.  
 
한글은 두말할 것 없이 세계 최고의 글자다. 웬만한 소리는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우수한 글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는 한글에 대한 자부심이 별로 높지 않은 것 같다. 아마도 글자 때문이 아니라 까다로운 한국말 때문이 아닐까 싶다.    
 
 첫째, 한국말은 말 자체가 무척 까다롭다. 높임말이 있고, 받침이 있는 낱말과 없는 낱말이 있고, 같은 글자도 띄어 쓰거나 붙여 쓰는 경우가 있다.  
 
둘째, 한국말을 연구하는 학자들 탓도 있다고 생각한다.  오래전 최 교수님의 “글쎄다”란 답변의 의미가 무엇이었는지 짐작이 간다. 한국어 학자들은 낱말을 더 쉽게 쓸 수 있도록 연구하는 것보다 낱말의 ‘유래나 과학적 구조’ 분석에 더 집중하는 것 같다. 그러다 보니 한국어 낱말의 말본이 너무 까다로워 낱말의 옳고 그름이나 맞춤법에 대해서 일반 사람들은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나는 장교로 복무하며 군 교육기관에서 대한민국 헌법을 강의했고, 예편한 뒤에는 신학교에서 교회사를 강의했다. 20여 년 동안 목회를 하며 설교문을 썼고 책도 두 권 펴냈다. 그리고 요즘도 글을 쓰고 있지만  “어! 이게 맞는 말인가?” 할 때가 종종 있다. 맞춤법에 맞는 것인지 헷갈리기도 하고 과거 공부했던 것과 달라진 것도 있기 때문이다.
 
 얼마 전 한국 기사의 제목을 보고 깜짝 놀랐다.  ‘英 프 獨’ 이란 낱말이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 이게 무슨 소린가 하고 내용을 읽어 봤더니 ‘영국과 프랑스, 독일’ 세 나라를 줄여 이렇게 쓴 것이었다. 우리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프랑스라고 쓰지만 과거 프랑스 친구가 내게 한 말이 생각났다. 그 친구는 “불어에는 프랑스란 낱말이 없다”는 것이었다.  
 
 한인들 모임에 가면 자주 듣는 것이 ‘파이팅’이라는 말이다. 아마 영어의 ‘fight’에서 유래한 말인 것 같다. 하지만 왜 하필이면 이런 말을 빌려다가 용기를 북돋워 준다는 말인가!  
 
우리 한국말엔 훌륭한 격려의 말이 있지 않은가. 그것은 바로 “아자!”다. 파이팅에 비할 수 없는 아주 멋진 말이다.
 
끝으로 우리말로만 된 재미있는 글을 하나 소개한다. ‘넓은 들에 있는 콩밭의 콩들을 잘 훑은 뒤 집에 따 놓은 팥과 버무려 죽을 쑤어 핥아보니 그 맛이 기막히다. 이게 콩죽이냐 팥죽이냐?’           

윤경중 / 목회학박사·연목회 창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