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마켓 나우] 미국은 2008년처럼 경기침체로 가는가

자본주의 경제는 경기 사이클의 정점과 바닥을 오간다. 사이클이 정점을 지나면 경기는 침체의 터널에 진입한다. 실업자가 늘어나고 주가는 폭락한다. 정부는 경기 침체를 피하려 몸부림친다. 하지만 때가 되면 경기 침체는 반드시 온다.
 
지난 64년간 미국 경제는 9번의 경기 침체를 경험했다. 코로나19 침체를 제외하면 8년에 한 번꼴로 경기 침체가 왔다. 실업률이 10%를 넘는 금융위기급 침체도 두 차례 있었다.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21%로 올렸던 1980년대 초와 부동산 버블이 터진 후 발생한 2008년 금융위기 때였다.
 
경기 침체가 일어나기 전 공통으로 발생하는 현상은 급격한 금리 인상이다. 연준이 고강도로 금리를 올렸다는 것은 경기 과열이 심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매우 커졌다는 의미다. 물가 상승은 그 자체로 경기의 발목을 잡는다.
 
호경기 속에 어느 정도의 물가 오름세를 수용하던 소비자도 티핑 포인트가 지나면 강한 거부감을 보인다. 불요불급한 품목 이외에는 지출을 줄인다. 기업의 매출에도 치명적인 타격이 가해진다. 주가와 부동산도 직격탄을 맞는다.
 


경기 침체의 경로가 전형적으로 나타난 것이 2008년 금융위기 직전이다. 2000년대 초 저금리 환경 속에 경기는 회복되고 자산시장에 거품이 일었다. 물가 오름세가 4%를 넘어서자 연준은 금리 인상을 가속화했다. 2004년 1%였던 기준금리를 2006년 5.25%까지 올렸다.
 
2007년 들어 경제가 안정 성장세를 보이자 연준은 고금리 기조를 유지했다. 물가가 여전히 불안정하다는 구실로 금리 인하를 미뤘다. 그해 9월이 되어서야 비로소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내렸다. 부동산 가격의 내림세가 가팔라져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금리 인하 전인 8월에 비공개회의를 열어 시중 유동성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연준은 이미 늦었다. 2008년 초 경기침체 신호인 ‘삼의 준칙(Sahm rule)’이 발효했다. 3개월 평균 실업률이 12개월 저점보다 0.5% 포인트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난 7월 미국의 실업률이 4.3%를 넘어섰다. 삼의 준칙이 또 한 번 실현되었다. 그 직후부터 주가가 급락하고 있다. 미국 경제가 조만간 침체의 터널에 진입할 것이라는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이번에도 연준은 금리 인하 타이밍을 놓쳤다.
 
2007년 연준은 삼의 준칙이 발효되기 4개월 전에 금리를 내렸지만, 침체를 막지 못했다. 오히려 금융위기가 닥쳐 주가는 고점 대비 60% 가까이 하락했다. 연준은 금리를 올릴 때 확실히 올려 물가를 잡고 내릴 때는 빠르게 내려 침체를 막아야 했다.

김성재 / 미국 퍼먼대 경영학 교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