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잠망경] 꿈속의 대화

서량 정신과 의사

서량 정신과 의사

환자 열 대여섯을 앉혀 놓고 담론을 펼친다. 오늘은 ‘agitation, 동요(動搖)’에 대하여 얘기할까 하는데, 이 어려운 라틴어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아느냐. 이탈리아계 젊은이가 자신 있게 말한다. ‘acid indigestion, 위산과다’에서 왔습니다.
 
1980년대 뉴욕 이탈리아계 이민자들이 ‘agita’라는 슬랭을 쓰기 시작했다. 산(acid)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acido’의 사투리. 1990년 중반쯤 정신적 동요까지 포함해서 누구나 알아듣는 슬랭이 됐다 한다. 그러나 ‘agita’와 ‘agitation’는 스펠링이며 발음이 비슷하다는 데서 그치고 만다. ‘agitation’는 워낙 ‘흔들림’이라는 뜻이었단다.
 
‘agitation’의 뜻은 현대어에서 크게 셋으로 나뉜다. ①정신적으로 불안하거나 흥분한 상태 ②정치적으로 대중을 선동하는 행동 ③액체를 섞어서 심하게 흔드는 행동.
 
일단 ‘agitation’을 동요라고 했지만  요동(搖動) 혹은 요동질이라 번역하면 어떨까 싶기도 하다. 병동에서 환자와 직원이 겪는 요동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①육체적 요동 - 다른 환자나 직원을 때리거나, 이물질을 삼키거나, 팔목에 상처를 내고 벽에 머리를 부딪치는 자해행위, 기물파손 등 소란을 일으키는 경우.
 
②언어적 요동 - 질문이 있다며 손을 든 후 질문은 하지 않고 일장연설을 하는 행동. 그만하라고 종용하면 금방 끝내겠다 해 놓고 그러지 않는 작태. 다른 환자는 또 다른 수법을 쓴다. 기차 화통(火筒)을 삶아 먹었는지 견딜 수 없이 큰 목소리로 영화, ‘스타 워즈, 별들의 전쟁’에 나오는 짧은 대사를 주절댄다. 결과? 물리적 고통이 아닌 감각적 고통.
 
③두뇌적 요동 - 겉으로는 멀쩡하지만 속으로 두뇌가 부글부글 작동하는 상태. 직접 남을 괴롭히지는 않는다. 이 부류에 속하는 환자는 왕성한 환상과 환각 상태를 애써 감추면서 겉으로는 시치미를 뚝 떼고 처신하려 노력한다. 이들의 특징은 남들 앞에서 독백을 가끔 혹은 자주 하는 데 있다. 여차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상대와 심한 논쟁이 터지기도 한다.  
 
③은 ‘Internal world, 내면세계’와 ‘external reality, 외부현실’을 분간하지 못하는 것이 큰 이유라고 해석한다. 꿈속에서 누구와 격하게 대화를 나누다가 갑자기 큰 소리로 잠꼬대하는 것이 좋은 예라고 덧붙인다.
 
그룹테라피가 끝난 후 내게 두뇌적 요동현상이 일어난다. 우리의 모든 대화가 꿈속의 대화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은 아닐까. 나는 내 내면세계를 서술하는 독백을 삼가는 데 익숙할 뿐, 다른 사람 앞에서 잠꼬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당신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