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세월 견딘 비석엔 절절한 한글 "아부지"

[한인 이민 선조의 비명<碑銘>을 찾아서]
<2>후대 손길 기다리는 묘지

인적 끊긴 대숲 묘비 ‘조선 경북 고령군 출생’
하와이주·한국 정부 외면한 묘 아직 곳곳에
웹사이트라도 열어야 한인 이민사 뿌리 보존

김교문 목사가 나뭇가지를 들고 덮개석의 낙엽과 진흙 등을 치우고 있다. 그러자 ‘경성 애오개(현 서울의 아현동)’ 지역에서 온 ‘박(朴) 씨 성을 가진 한인의 무덤이 모습을 드러냈다.

김교문 목사가 나뭇가지를 들고 덮개석의 낙엽과 진흙 등을 치우고 있다. 그러자 ‘경성 애오개(현 서울의 아현동)’ 지역에서 온 ‘박(朴) 씨 성을 가진 한인의 무덤이 모습을 드러냈다.

조상 대대로 살던 땅을 떠난다는 건 뿌리를 들추어내는 일이었다. 그들은 이역만리 땅에서도 뿌리를 채 내리지 못하고 눈을 감아야 했다.
 
11일 오전 10시, 하와이 열도 최남단 빅아일랜드 섬의 서쪽 홀루알로아 지역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코나 커피를 생산하는 농장이 즐비해 ‘코나 커피 벨트’로도 불리는 곳이다.
 
커피 농장들을 가르는 180번 도로를 지나는 중이다. 동행한 김교문 목사(전 코나한인선교교회)가 잠시 차를 세우라고 했다. 한 커피 농장 옆으로 길인지 아닌지 모를 협소한 샛길이 보인다.
 
대나무와 수풀이 우거진 저 길로 걸어 들어가면 방치돼 있는 한인들의 무덤 터가 있다.

대나무와 수풀이 우거진 저 길로 걸어 들어가면 방치돼 있는 한인들의 무덤 터가 있다.

저 멀리 대나무 수풀이 우거져 있다. 사람의 발길이 끊긴 지 오래된 듯한 그 길을 김 목사를 따라 150피트 정도 걸어 들어갔다. 대숲이 햇살을 가려버린 어둑한 그곳에서 이끼 가득한 묘비들이 두서없이 모습을 드러냈다.
 
김 목사가 나뭇가지를 들어 그중 묘비 하나를 가리키며 한자를 읽어내려갔다.
 
'고 조승운 묘' '조선 경북 고령군 출생'
 
1875년생인 조씨는 58세(1933년 4월 22일)에 사망했다. 하와이에 도착한 날은 1904년 6월 25일이다. 대한제국의 지배권을 두고 러일전쟁이 벌어졌던 시기였다. 유추하면 조씨는 난세 가운데 스물아홉 살에 고향 땅을 떠났다. 가족도 없었다. 이곳 커피 농장 어딘가에서 수십 년간 노동자로 일하다 묘비 하나만 남겼다.
 
수풀이 우거진 대나무 숲 사이에 ‘Chung Bok Soo(정복수‘)라고 적힌 한인 무덤이 있다.

수풀이 우거진 대나무 숲 사이에 ‘Chung Bok Soo(정복수‘)라고 적힌 한인 무덤이 있다.

김 목사는 “묘비 없는 돌무덤까지 합하면 한인 초기 이민자 20여명이 이곳에 묻혀 있다”며 “당시 유교 문화에서 조상 대대로 살던 땅을 떠난다는 건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텐데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여기에 묻힌 것”이라고 말했다.
 
습기 가득한 이곳엔 수십 년의 세월까지 젖어있다. 무성한 수풀은 묘소가 오랜 시간 방치돼 있었음을 방증한다.
 
이끼와 낙엽 사이로 묘비에 새겨진 망자들의 신상을 살펴봤다. 황해도 수안군, 부산 연제구, 경성 애오개(서울 아현동), 경남 동래군 등 곳곳에서 왔다. 대부분 20~30대 젊은 나이에 나고 자란 곳을 떠난 이들이다.
 
대나무숲 안으로 걸어 들어가면 숨겨져 있던 한인들의 무덤이 두서없이 나타난다.

대나무숲 안으로 걸어 들어가면 숨겨져 있던 한인들의 무덤이 두서없이 나타난다.

하와이역사재단(HHF)에 따르면 이곳은 1917년 홀루알로아 지역 한인협회가 한인 노동자를 매장하기 위한 묘지 터로 매입한 부지다. 여기에 묻힌 이들도 역사의 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하와이 주정부는 물론이고 한국 정부조차 이 땅을 돌보지 않고 있다.  
 
하와이이민연구소 이덕희 소장은 “죽으면 묻힐 곳이 없던 한인 노동자들은 십시일반 돈을 모아 묫자리 명목으로 이 땅을 샀다”며 “이곳에 처음 묻힌 사람은 1922년, 55세 나이로 죽은 경북 안동 출신의 윤계상이란 인물인데 남아있는 이들이 장례를 치르고 묘비도 세워준 것”이라고 말했다.
 
남쪽으로 불과 0.2마일 떨어진 곳에는 ‘코나 이민 센터(Kona Imin Center)’가 있다. 1900년대 초반 이민자들의 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한인들은 도착하자마자 이곳에서 신상 확인 절차를 거친 뒤 각 농장에 배치됐다. 지금은 주민 회관으로 쓰이고 있다. ‘이민(移民)’이란 한자 명칭을 아직도 영문 발음 그대로 사용 중이다.
 
1900년대 초반 이민자들의 관문 역할을 했던 ‘코나 이민 센터(Kona Imin Center)’다. 지금은 주민 회관으로 쓰이고 있다. 입구에는 당시 이민 센터의 역할을 기록한 표석 동판도 있다

1900년대 초반 이민자들의 관문 역할을 했던 ‘코나 이민 센터(Kona Imin Center)’다. 지금은 주민 회관으로 쓰이고 있다. 입구에는 당시 이민 센터의 역할을 기록한 표석 동판도 있다

김 목사는 “당시 1500명 정도가 이곳에 왔는데 빅아일랜드는 하와이 열도에서 가장 많은 한인 노동자가 일했던 섬”이라며 “유입 규모를 고려하면 아직도 발견되지 않은 한인들의 무덤이 많을 것”이라고 전했다.
 
코나 이민 센터에서 북쪽으로 60여 마일 떨어진 카파우 지역으로 차를 몰았다. 낡은 사진 한장이 흔적으로 남아있는 곳이다. 노스 코할라 시빅센터의 벽면 앞이다. 아이들을 무릎에 앉힌 한복 입은 아낙네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흑백 사진 밑에는 이렇게 쓰여있다.
 
'Korean Immigration Family-1905'
 
노스 코할라 시빅센터 벽면에는 1900년대 초반 이민자들의 사진이 붙어있다. 그중 가운데가 한국 전통 의상인 ‘한복’을 입은 여성들이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 찍은 사진이다. 사진 밑에는 ‘Korean Immigration Family-1905’이라고 쓰여있다

노스 코할라 시빅센터 벽면에는 1900년대 초반 이민자들의 사진이 붙어있다. 그중 가운데가 한국 전통 의상인 ‘한복’을 입은 여성들이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 찍은 사진이다. 사진 밑에는 ‘Korean Immigration Family-1905’이라고 쓰여있다

한인들이 하와이 땅에 첫발을 내디딘 건 1903년 1월 13일이었다. 하와이이민연구소가 선박부에 기록된 이민자 명단을 조사한 결과, 한인 이민이 일시 중단된 1905년 11월까지 총 64회에 걸쳐 한인 이민단을 실은 배가 하와이를 오갔다. 사진 속 아낙네들은 그들 중 하나일 터다.
 
한인 초기 이민자들은 맨 처음 오아후 섬 호놀룰루에 도착했다. 그중 커피 농장과 계약한 이들은 또다시 배를 타고 빅아일랜드 힐로 지역의 항구로 들어왔다.
 
빅아일랜드 초기 이민자들의 발자취를 역으로 좇았다. 홀루알로아 지역에서 동쪽으로 80여 마일 떨어진 힐로로 향했다. 자동차로 한참을 달려 알라에 공동묘지에 이르렀다. ‘코리안 섹션(Korean Section)’ 표지판이 한인 묘역임을 알린다. 이곳엔 150여 명의 한인 초기 이민자가 묻혀있다.
 
힐로 지역 알라에 공동묘지에는 한인 묘역을 알리는 표지판도 있다.

힐로 지역 알라에 공동묘지에는 한인 묘역을 알리는 표지판도 있다.

50년째 힐로에서 의사로 활동 중인 박훈 박사(84·힐로한인기독교회)는 “힐로의 한인들은 1980년대까지 힘을 모아 곳곳에 묻혀있던 초기 이민자를 이곳으로 한 명씩 이장했다”며 “이제는 후손들도 대부분 본토로 떠나 없기 때문에 묘비 관리가 거의 안 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화강암으로 된 거무스름한 한 비석에 절절한 한글 단어 하나가 눈에 띈다.
 
'아부지'. 
 
힐로 알라에 공동묘지에 있는 박춘하 씨의 묘. ‘아부지’라고 쓰여진 한글이 새겨져 있다.

힐로 알라에 공동묘지에 있는 박춘하 씨의 묘. ‘아부지’라고 쓰여진 한글이 새겨져 있다.

한인 초기 이민자 박춘하(1880~1956·인천 영종도) 씨의 묘다. 선박부 기록에 따르면 박씨는 스물다섯 살인 1905년에 힐로에 왔다.
 
주민 마틴 김씨는 “방치된 역사를 보존하고 기록해야 하는 건 후세의 몫”이라며 “이민자의 삶을 정리한 역사 웹사이트나 사이버 추모관이라도 생긴다면 한인 이민사의 기록이 끊기지 않고 여러 세대에 걸쳐 계속 적립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알라에 공동묘지에서도 묘비에 붙어있는 초기 한인 이민자들의 사진을 찾아볼 수 있다.

알라에 공동묘지에서도 묘비에 붙어있는 초기 한인 이민자들의 사진을 찾아볼 수 있다.

비명(碑銘)은 거기까지만 말하고 있다. 듣고 싶어도 더는 들을 수 없다. 그들이 채 못다 한 이야기는 자취로만 남아있다. 귀 기울이지 않는다면 곧 사라질 흔적들이다.
 
빅아일랜드 코나 지역의 캡틴쿡 공동묘지다. 마말라호아 하이웨이 도로변에 그대로 방치된채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는 한인 초기 이민자 등 60기 이상의 무덤이 있다.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아 일부 무덤을 제외하면 비석 등이 부셔져 있거나 잡초가 무성하다. 묘지의 전경을 드론으로 촬영했다.

빅아일랜드 코나 지역의 캡틴쿡 공동묘지다. 마말라호아 하이웨이 도로변에 그대로 방치된채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는 한인 초기 이민자 등 60기 이상의 무덤이 있다.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아 일부 무덤을 제외하면 비석 등이 부셔져 있거나 잡초가 무성하다. 묘지의 전경을 드론으로 촬영했다.

캡틴 쿡 공동묘지에 있는 한인 ‘LEE CHOO DAI(이주대)’씨의 묘비다. 후손으로 추정되는 한 커플이 자신의 조상을 기리며 사진을 놓고 간것으로 추정된다. 김교문 목사는 초기 이민자의 후손들을 만나 직접 이야기를 듣고 싶어한다. 김 목사는 사진 속 커플이 다시 이 묘비를 찾을 것을 대비해 1년전 연락처를 적어둔 코팅 메모를 남겨두었다. 아직 연락을 받지는 못했다

캡틴 쿡 공동묘지에 있는 한인 ‘LEE CHOO DAI(이주대)’씨의 묘비다. 후손으로 추정되는 한 커플이 자신의 조상을 기리며 사진을 놓고 간것으로 추정된다. 김교문 목사는 초기 이민자의 후손들을 만나 직접 이야기를 듣고 싶어한다. 김 목사는 사진 속 커플이 다시 이 묘비를 찾을 것을 대비해 1년전 연락처를 적어둔 코팅 메모를 남겨두었다. 아직 연락을 받지는 못했다

관련기사


빅아일랜드=장열 기자·사진 김상진 기자 jang.yeol@koreadaily.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