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베링해에서의 킹크랩 잡이 중단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은 7년 주기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2040년 이후부터는 3년으로 짧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특히, 북극종인 킹크랩에 닥친 재난을 ‘북방화 (borealization )’라고 정의했다. 이는 북극 남쪽에 서식하던 생물이 점점 북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동해를 생각해 보자. 동해에서는 20~30년 전만 해도 국민 생선이자 한류성 생선인 명태가 매년 풍어였다. 하지만 최근엔 명태에 현상금이 걸릴 정도로 귀해졌다. 해양 생태계의 급변이 원인이다.
동해에는 남쪽에서 오는 난류성 해류(동한난류)와 북쪽에서 내려오는 한류성 해류 (북한 한류)가 존재한다. 두 해류는 울릉도 부근 해역에서 부딪히며 풍요로운 어장을 만든다. 그러나 십수 년 전부터 이러한 어장은 형성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있다.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해수 온도 또한 상승하기 때문이다. 난류성 해류가 더 강해져 북한 한류를 더 북쪽으로 밀어낸다.
어류는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명태나 대구는 더는 동해에서 잡히지 않는 해양 환경이 되었다. 동해는 이제 아열대 기후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대표적인 아열대성 어류가 참치, 전갱이 등 등푸른생선과 오징어 등이다.
동해의 봄철 평균 해수면 온도는 1980년대 7.7도에서 2010년대 8.3도로 30년간 0.6도 상승한 반면, 2023년에는 10.0도로 2.3도나 상승했다. 특히, 2021년 9.0도, 2022년 9.4도로 최근 3년간 해수면 온도 상승이 뚜렷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육상 생태계 변화는 물론, 어류의 종조성 변화도 뚜렷한 상황이다. 이러한 복잡한 현상은 한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소산이다.
알래스카는 기후변화 및 온난화에 가장 민감한 곳 중 하나이다. 최근 3년간 한국의 해수면 온도 변화가 1.0도인 것에 비해, 알래스카는 4.0도로 거의 4배나 된다. 알래스카는 지구 온난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인 셈이다.
미국 해양대기청 (NOAA) 알래스카 코디악(Kodiak)지부의 책임자는 베링해의 빠른 온난화로 남쪽 서식지에 있었던 북극 동물이 점점 북상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즉, 북극 생태계가 따뜻하게 되면 킹크랩과 같은 북극 생물자원이 아북극 생물자원으로 대체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사실, 킹크랩의 활동은 겨울철 해빙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추운 환경에 의존한다. 킹크랩은 베링해에 널리 분포되어 있지만, 상업적인 수확을 위한 최적 장소는 베링해 남동쪽으로 섭씨 2도 이상의 해역이다. 베링해는 북극해의 입구에 해당하는 수역으로, 최근 겨울에 해빙 형성이 되지 않고 수년간 해수면 온도가 많이 상승했다. 킹크랩은 생육조건이 맞는 북쪽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지난 50년간의 기록을 보면 킹크랩 어획량이 최저를 기록한 것은 2018년도였다. 이때부터 해양 환경의 급격한 온난화가 진행된 것을 고려하면 킹크랩 개체 수의 급감과 연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해수 온도의 상승과 개체 수의 증가는 킹크랩의 활동량 증가로 이어져 칼로리 소비량이 4배나 늘어 대량기아로 이어진다고 한다.
이러한 알래스카의 기후변화 및 온난화는 가까운 미래의 대한민국 상황을 보여주고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신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김용원 / 알래스카주립대 페어뱅크스 교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