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모퉁이로 내밀린 아시안(3)] 공감대 있어야 이민역사 보존…한인사회도 숙제

주민, 비영리 단체도 협업
개발 막고 15년 후 결실
정부는 역사 재정리 작업

블록 14의 역사 보존은 인종과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함께 이뤄낸 결과다. (사진 상단 왼쪽부터 시계방향) 공청회에서 만난 닐 리(오리건중국인통합자선협회), 마이클 연(조경가), 크리스 넛슨(고고학자), 한나 에릭슨(메트로), 헬렌 잉(중국계미국인시민연합), 마커스 리(포틀랜드리패밀리협회), 아니타 옙(다문화협회), 던컨 황(메트로 의원).

블록 14의 역사 보존은 인종과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함께 이뤄낸 결과다. (사진 상단 왼쪽부터 시계방향) 공청회에서 만난 닐 리(오리건중국인통합자선협회), 마이클 연(조경가), 크리스 넛슨(고고학자), 한나 에릭슨(메트로), 헬렌 잉(중국계미국인시민연합), 마커스 리(포틀랜드리패밀리협회), 아니타 옙(다문화협회), 던컨 황(메트로 의원).

희미해진 이민사의 흔적을 보존하는 일은 지난한 투쟁이다.
 
두 번이나 지워질 뻔했던 포틀랜드 론 퍼 묘지의 ‘블록 14’를 지켜낸 건 보존의 공감대가 다방면에 걸쳐 형성됐기에 가능했다.
 
포틀랜드에 뿌리내린 중국계 이민자들은 이미 그들의 언어를 잃은 지 오래다. 단, 정체성을 지키려는 의지는 그대로다. 이는 한인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마커스 리(포틀랜드리패밀리협회)

마커스 리(포틀랜드리패밀리협회)

중국계 혼혈로 4세대인 마커스 리(70·포틀랜드리패밀리협회) 이사는 “초기 이민자가 겪어야 했던 희생을 한번 생각해보라"고 했다.
 


그는 “우리보다 먼저 온 이민자들이 많은 것을 가능케 했기 때문에 우리는 지금 그들이 이룬 것을 누리고 있다”며 “공로는 시간이 지나면 점점 잊히기 때문에 그 기억을 살려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역사 보존의 투쟁은 중국계만 홀로 나선 게 아니다. 묘지가 속한 버크먼 지역 주민들, 묘지 관리 봉사 단체인 ‘론 퍼 묘지의 친구들’, 정부 기관 등이 모두 역사를 지켜야 한다는 당위성을 인지했다.
 
묘지는 지역 사회의 역사다. 론 퍼 묘지도 포틀랜드를 세웠던 아사 러브조이, 오리건 정신병원을 개원해 정신 질환자를 돌봤던 제임스 호손 박사 등 유명인의 무덤이 많다. 
 
블록 14에 묻혔던 2892명의 중국계 이민자 역시 이들과 함께 역사의 한 부분이었다. ‘블록 14’만 없애는 것은 이민자를 미국 역사에서 배제하는 일이었다.
 
이 때문에 2004년 멀트노마 카운티가 블록 14 개발 계획을 발표했을 당시에도 중국 커뮤니티가 아닌 지역 주민들이 먼저 움직였다.
 
 한나 에릭슨(메트로)

한나 에릭슨(메트로)

정부 기관인 메트로의 한나 에릭슨 마케팅 담당자는 “그때 지역 주민들도 블록 14에 얽힌 이야기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개발을 반대했었다”며 “반대 여론보다는 오히려 블록 14를 추모 공간으로 만드는 시간이 너무 길어져 좌절감을 느낀 사람이 많았다"고 전했다.
 
개발은 막았지만, 추모 정원 추진은 또 다른 싸움이었다. 자금이 없었다. 중국계 커뮤니티는 자체적으로 기금을 모으려 했지만 쉽지 않았다.
 
헬렌 잉(중국계미국인시민연합)

헬렌 잉(중국계미국인시민연합)

중국계미국인시민연합(CACA) 헬렌 잉 회장은 “선출직은 임기가 있어 정치인이 바뀔 때마다 그들이 맥락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며 “그래서 우리는 공무원을 계속 만났고 설득하며 교육했다”고 말했다.
 
결국 2019년 유권자들은 공원 및 자연 보존을 위해 4억7500만 달러의 채권 발행을 승인하면서 추모 정원 설립이 가시화됐다. 개발을 막은 후 15년의 세월이 흘러 맺은 결실이었다.
 
메트로는 추모 정원 조성이 시작되자마자 역사 조사 기관(Dudek)부터 고용했다. 블록 14의 역사를 재정리하기 위해서다. 
 
당초 블록 14에 묻힌 중국인이 1113명이 아닌 2892명이었다는 점, 과거 철도 회사가 블록 14의 소유주라는 것은 잘못 알려진 역사라는 점 등을 밝혀냈다.
 
에릭슨 마케팅 담당자는 “곧 블록 14의 역사적 사실을 담은 보고서가 나올 것”이라며 “연구팀이 매장 기록을 모두 검토하고 오래된 중국어 필체 기록을 해석하고 정리하느라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추모 정원 조성의 기대는 중국계에 국한되지 않는다. 포틀랜드 주민 모두가 염원하는 프로젝트가 됐다. 블록 14에서는 지난해부터 무덤 청소를 위한 중국 청명절 행사도 진행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이 함께 나서 묘지를 가꾼다.
 
마이클 연(조경가)

마이클 연(조경가)

추모 정원 디자인을 맡은 넛 스튜디오(Knot Studio)의 마이클 연 대표는 중국계 혼혈이다. 그는 “디자인에 이민 역사의 이야기를 담았다”고 했다.
 
연 대표는 “우리 할머니의 경우 상하이를 떠날 때 다시는 형제자매를 못 볼 거라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이민자가 살던 땅을 떠날 때 그리고 동시에 반대편 나라에서 경험하는 정신적 외상에 대한 현실을 보여주고 그것을 치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늘졌던 곳에 볕이 들자 지워진 역사가 다시 싹트고 있다.
 
포틀랜드=장열 기자ㆍ사진 김상진 기자
jang.yeol@koreadaily.com
 

관련기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