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점점 좁아지는 지구촌
세계가 시공간적으로 매우 가깝게 다가오는 시대를 살고 있다. 더욱이 코로나는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줬다. 그야말로 지구촌이다.미국 이민 붐이 불었던 70년대 말 히트한 ‘나성에 가면’ 이란 노래에는 이런 가사가 있다. ‘나성에 가면 편지를 띄우세요/ 사랑의 이야기 듬뿍 담은 편지/ 나성에 가면 소식을 전해줘요/ 하늘이 푸른지 마음이 밝은지/ 즐거운 날도 외로운 날도 생각해 주세요 /…. /안녕 안녕 내사랑’.
한번 가면 다시는 볼 수 없을지 모를 사람을 떠나보내는 아쉬움이 흠뻑 묻어난다. 그땐 사랑하는 사람이 펜으로 꾹꾹 눌러쓴 편지를 읽으며 울고 웃으며 그리움을 달랬던 시절이었다. 이 시기 대한민국 국민 소득은 세계 하위권이었다. 매년 수만 명이 자녀 교육을 위해, 또는 ‘아메리칸 드림’을 찾아 미국 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지금은 지구촌 어디에 있든 원하는 시간에 영상통화나 메신저로 대화가 가능한 시대다. 요즘 세대가 들으면 ‘나성은 무엇이고, 편지는 또 뭐지?’ 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이민 간 친지나 친구들이 그리웠지만, 얼굴을 보거나 목소리를 듣는 건 언감생심이었다. 국제전화 요금은 웬만한 이는 감당하기 힘들었고, 8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엔 유선전화 한 대 없는 집이 많았다. 국제우편으로 편지나 엽서를 보내 소식을 주고받았다.
봄이 끝난다는 지난 5월의 마지막 날, 호암미술관에 ‘김환기 회고전’을 보러 갔다. 김 화백은 한국 미술사에 ‘추상 미술’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연 선구자이다. 일본서 공부한 후 서울대, 홍익대의 미술대학 교수가 됐고, 파리에서 3년 활동하다 귀국해 다시 홍대 교수로 임직했다. 그 후 뉴욕에 정착해서 11년간 활동하다가 그곳에서 세상을 떴다. 초대 예술원 회원, 한국 미술협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그 유명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라는 작품은 뉴욕에서 탄생했다.
호암미술관은 경기도 용인의 깊은 산속에 있다. 차가 없으면 방문이 불가한 곳인 줄 알면서도 김 화백의 모든 작품을 거의 다 볼 수 있기에 꼭 보고 싶은 마음에 에버랜드에서 무조건 택시를 잡아타고 갔다. 그런데 올 때가 문제였다. 인적이 드문 산속에 택시가 올 때까지 무작정 기다려야 하나? 고민 중이었다. 마침 그때 미술관에서 나와 차를 타려는 젊은 부부가 있었다. 차를 탈 수 있는데 까지만 같이 갈 수 있겠냐고 물으니 흔쾌히 타라고 했다.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 보니 LA 한인타운 근처에 산다고 했다. 부인이 김환기 화백의 그림을 너무 좋아해서 서울에 있는 ‘환기미술관’에도 갔었고 이번 회고전에도 왔다고 했다. LA 집에 김환기 화백의 복제품 그림이 있는데 이번에도 하나 샀다며 뒷좌석에 있는 그림이 들어 있는 원통을 가리켰다.
지난 7월 1일 토요일 아침, 한 신문에 눈에 번쩍 띄는 글이 있었다. 여배우 윤소정의 6주기 추모 글이었다. 윤씨는 한국 영화계 원로인 윤봉춘 영화감독의 딸이고 남편은 유명한 배우이자 탤런트 오현경씨다. 그 글을 읽으며 윤씨와의 짧은 인연을 돌아봤다.
남편이 서울에 있을 때 윤씨와 또 다른 방송인과 셋이서 함께 식사할 기회가 있었다고 한다. 이야기 중에 윤씨가 LA에 집이 있다고 했단다. 남편이 우리도 거기 집이 있는데 LA 어느 곳이냐고 물었다고 한다. “한인들이 많이 사는 곳 타운하우스다, 우리도 그곳에 산다. 몇 번지냐?” 이야기가 그렇게 흐르다 보니 세상에나! 작은 공터를 사이에 둔 우리 집 바로 다음 번지였다고 한다. 그때 윤씨는 LA에 있는 식당을 남에게 맡겨 운영하고 있었다. 얼마 후 윤씨 부부와 우리 부부가 함께 LA에서 만나 밤새도록 이야기보따리를 풀어 놓았던 적이 있다. 그 후 그녀를 만난 적이 없는데 타계했다는 소식이 들렸다.
올봄에 큰아들이 한국에 다녀갔다. 가을에 동생과 함께 또 오겠다고 해서 내가 갈 테니 내년에 오라고 했다. 전에는 부모인 우리가 애들 보러 LA로 가곤 했는데 요즘은 거꾸로 됐다. 한국에 사는 주위 사람들 얘기를 들어보니 미국에 사는 자녀들이 전에 없이 한국에 자주 온다고 했다. 그만큼 한국이 잘사는 나라가 됐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미국에 처음 갔던 30여년 전만 해도 미국에서 한국으로 오는 사람은 드물었다. 반면 LA는 휴가철이면 한국에서 오는 손님들로 몸살을 앓았다. 요즈음은 한국이 미국에서 오는 손님들로 북적인다.
며칠 전, LA의 같은 교회 다니는 이 권사와 통화를 했다. 나도 잘 아는 권사 가족이 한국으로 아주 떠났다는 소식을 전해줬다. 이제는 말도 잘 통하는 고국에 가서 편히 쉬고 싶다고 했단다. 이 권사는 최근 한국으로의 역이민이 늘고 있다며 한국의 급격한 발전으로 오히려 더 좋은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인 듯하다고 했다.
한국은 현재 세계 10위 경제 대국이 되었다. 도움을 받던 나라에서 도움을 주는 나라로 성장했다. 코리안 드림을 찾아 세계 곳곳에서 한국으로 모여든다. 이번 한국방문서 놀란 것은 외국인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는 거다. 특히 TV 예능프로 등에 출연하는 사람들의 한국어가 너무 유창해 감탄했다.
거기에는 아마 한류열풍을 불러일으킨 BTS의 인기도 한몫 한 것 같다. 그들의 엄청난 영향력 덕분에 한국을 향한 관심과 호감도가 높아졌다. 지난 6월 열렸던 BTS 10주년 행사에는 전 세계의 ‘아미’ 수만 명이 서울에 몰려들었다.
세상 참 많이 변했다.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통신의 발달로 종래의 거리 개념이 없어졌다. 국가 간의 경계도 무너졌다. 서울에 앉아서 세계 도처의 뉴스를 보고 들으며, 지구 반대편 나라 거리의 골목까지 나온 세계지도를 볼 수 있는 세상이다. 세계화라는 말 그대로 지구촌이 하나의 생활단위가 되었다. ‘나성에 가면 편지를 보내세요’는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이야기다.
배광자 / 수필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