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화마 휩쓴 마우이 초토화…사망자 53명·1700채 전소

1만여가구 정전·피해 확산
하와이제도 재난지역 선포

마우이 섬에서 발생한 산불은 하와이 주 역대 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특히 마우이 섬의 대표적 관광지인 라하이나는 80% 이상이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화마가 휩쓸고 간 라하이나 지역을 상공에서 찍은 모습. [로이터]

마우이 섬에서 발생한 산불은 하와이 주 역대 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특히 마우이 섬의 대표적 관광지인 라하이나는 80% 이상이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화마가 휩쓸고 간 라하이나 지역을 상공에서 찍은 모습. [로이터]

지난 8일 하와이 제도 마우이 섬에서 발생한 산불〈본지 8월 10일 자 A-1면〉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다.
 
하와이주 비상관리국(이하 HEM)에 따르면 10일 오후 5시 현재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53명으로 늘어났다. 또, 이번 산불로 주택 등 건물 1700채가 소실됐고 2000에이커 이상이 불에 탔다.
 
마우이카운티 당국은 성명에서 “현재 산불 진압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허리케인 ‘도라’의 영향으로 인한 강풍 때문에 불길을 잡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소방 당국이 계속해서 구조 활동을 진행 중이기 때문에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와 소실 면적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소방 당국 관계자는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정확한 피해 규모 등은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며, 현재로서는 산불 진압과 구조 활동에 집중하는 것만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피해가 가장 극심했던 라하이나 지역은 대부분 소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행히 불길은 잡히고 있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후 3시 브리핑을 통해 “라하이나 지역 산불 진화율은 80%, 풀레우 지역은 70%의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며 “현재 6개 지역에서 산불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산불 발생 지역인 쿨라(kula)의 접근이 어려운 협곡에서 불길이 번지고 있어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피해 지역 주민들의 어려움은 계속되고 있다. 〈관계기사 2면〉
 
HEM은 실시간 상황 보고를 통해 “현재 1만1000가구가 정전 상태에 있으며, 당국은 헬리콥터 등을 동원해 피해 지역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주민들을 계속 찾고 있다”고 전했다.
 
대피소도 24시간 가동 중이다. 마우이카운티 정부는 대형 버스 5대를 동원, 산불 피해 지역 주민들을 대피소로 이동시키는가 하면, 관광객들을 공항으로 옮기고 있다.
 
현재 마우이섬에 설치된 대피소 4곳에는 2000여 명의 주민 및 관광객이 머물고 있다. 하와이주 보건부는 “대피소마다 정신 건강 센터를 설치하고 피해자들을 위한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 중”이라고 밝혔다.
 
조시 그린 하와이주 주지사는 사망자가 계속 늘어나자 이날 애도 성명을 발표하고 주의회 등에 주기와 성조기를 반기(半旗)로 게양할 것을 지시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10일 하와이 제도를 대규모 재난 지역(major disaster)으로 선포했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피해자들을 위해 임시 주거 시설 제공, 주택 수리, 피해 복구 등을 위해 연방 자금이 지원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마우이섬 산불은 하와이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하와이주에서는 지난 1961년 하와이 제도 빅아일랜드 섬에서 발생한 쓰나미로 61명이 숨졌다.

장열 기자 jang.yeol@koreadaily.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