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일자리보다 고물가 책임 더 커”
영국 이코노미스트 지적
“인플레가 경제 위협해”
11일(현지시간) 영국 경제매체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바이든 대통령은 자신의 임기 동안 역사상 어느 때보다 많은 월평균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자랑하지만, 높은 인플레이션은 계속 경제를 위태롭게 한다고 이같이 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맥락에서 보면 그가 풍부한 일자리보다 물가 급등에 더 큰 책임이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 일자리 회복이 예외적으로 빨랐다는 점은 사실이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노동시장이 회복되는 데는 13년이 넘게 걸린 반면, 팬데믹 이후에는 3년이 조금 넘게 걸린 수준이기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취임 직후 1조9000억 달러의 부양책이 고용 급증의 원인이라고 자랑했으나 같은 시기 미국뿐만 아니라 캐나다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의 고용률도 팬데믹 이전 최고치를 넘어섰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는 미국의 일자리 회복이 막대한 부양책보다는 팬데믹으로 인한 거리두기와 경기 침체라는 비정상적인 특성과 더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며 “반면 바이든의 부양책은 인플레이션에 로켓을 장착했다”고 말했다.
4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바이든 대통령 취임 당시보다 13.4% 높다. 이는 다른 주요 7개국(G7) 국가보다 더 많이 상승했으며 부양책 도입과 함께 가속했다.
또한, 이코노미스트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부양책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제때 금리 인상을 못 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역시 문제를 악화시켰다”면서도 “그럼에도 인플레이션에 불을 붙인 것은 바이든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그의 대표 정책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은 예상보다 높은 청정에너지 세액 공제율로 인해 실제로는 적자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성장률은 예외적으로 호조를 보이는 부분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미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019년보다 4.6%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이는 G7 국가 중 가장 큰 증가율이다.
매체는 “그러나 이는 바이든 대통령과는 관련이 없다”며 “성장은 빠른 고용 반등이 아니라 생산성의 더 나은 성장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전임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경제를 더 잘 처리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이 오래 지속될수록 연준은 아마도 다음 대선 전까지 미국을 침체로 몰아넣은 만큼 높은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