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증시 브리핑] 7월 금리 인하 시나리오
지난주 4.4%를 폭등하며 4개월 만에 최고의 주를 기록했던 나스닥과 S&P 500은 각각 1.6%와 1.4% 상승했다. 간발의 차이로 지난주 나홀로 약세로 마감했던 다우지수는 1.1% 올랐다. 3대 지수가 어느 하나 뒤처지거나 튀지 않고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오른 보기 드문 현상이다.수요일 예상했던 베이비스텝(0.25%포인트 인상)에도 불구하고 추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며 올해 안에 금리 인하가 없을 거라고 단언한 파월 의장의 발언은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그동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서에는 줄곧 명시돼왔던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 하다는 문구가 빠지고 “추가적인 정책 굳히기가 적절” 하다는 문구가 등장했다. 성명서는 비둘기파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파월 의장의 기자 회견 발언은 매파적이었다. 이에 더해 모든 은행 예금을 보호하는 포괄적 보험(blanket insurance)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은 옐런 재무장관의 발언은 매도심리에 불을 붙였다.
그리고 장은 수요일 2주 만에 가장 크게 폭락했다.
금요일에는 5년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이 치솟은도이치뱅크(DB)가 또 다른뱅크런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5월 금리동결 가능성이 90%에 육박하고 7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65%에 달했다. 5월 금리동결, 7월 금리인하 시나리오가 순식간에 급부상한 것이다. 무슨 상황일까?
연준에 대한 낮은 믿음속에서 투자자들이 금리 인하에 베팅하고 있는 상황이다. 파월 의장의 발언을 믿지 못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연준에 대한 신뢰도는 이미 3년 전에 무너졌다.
지난 2021년3월부터 본격적으로 고개를 들기 시작한 인플레이션에 대해 파월 의장은 일시적으로 스쳐 지나가는 “transitory”라고 주장하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일축했다.
9개월만인 12월에야 마침내 일시적인 게 아니라고 인정했다. 이후 3개월 뒤부터 뒤늦게 올리기 시작한 금리는 전례없는 3연속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인상)으로 이어졌다. 1년 동안 9차례 연속 올린 기준금리는 4.75-5.00%로 치솟았다. 역대급 가장 빠른 속도다. 동시에 2007년 이후 16 년만에 최고 수준이다.
고금리 시대로 인해 소비자들의 부채 부담은 늘어났고 뱅크런 사태에 대한 불확실성은 패닉 셀링을 유발했다. 실리콘밸리 은행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는 중소은행들이 여전히 186개에 달한다는 사실은 공포심을 자아냈다.
중소은행들의 피해가 대출감소로 이어지며 경기침체를 피할 수없을 거라는 두려움은 7월 금리 인하 시나리오를 연출했다.
김재환 아티스 캐피탈 대표 info@atiscapital.com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