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 한국 딸기, 유리병에 담겨 미국 이민
미국 농림부에는 수입허가 받고
경남에 10년간 1억원 지불계약
품종보호 위해 종자보호권 등록
팬데믹탓 1년만에 미국에 반입
2020년 7월 배양묘 10주 도착/
미국에서도 가장 한인이 많은 LA, 특히 한인타운에서는 여기가 한국인지 미국인지 모를 정도로 한인들이 많다. 잘못건 전화를 한인이 받아 "전화 잘못 거셨습니다"고 할 정도다.
이렇게나 많은 한인들이 살고 있지만 각자 미국에 오기까지는 무수한 사연이 있었을 것이고, 그 과정 또한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금실(한국 신품종 딸기)'이의 미국 이민도 이에 못지 않았다. 미국의 딸기육묘업체를 무작정 찾아가 금실 딸기 품종의 수입과 육묘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기로 하고 한국에 들어가 본격적인 딸기 수출 절차를 밟아 나갔다.
딸기 모종을 미국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우선 미국 농림부(USDA)로부터 수입허가를 받아야 했고, 품종 개발권자인 한국의 경상남도농업기술원과 종묘수출계약을 체결해야 했다. 이렇게 얘기하면 간단한 절차로 들릴 수 있으나, 이는 미국으로 이민이나 유학을 가려면 영주권이나 비자를 받고 비행기표를 끊어서 가야 한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북가주 레딩 지역 라센 캐년 너서리의 리즈 부사장은 필자와의 미팅 이후 종자를 수입하는 방법을 다각도로 알아보고 정보를 공유했다.
종자를 수입하기 위해서는 원산지 증명, 검역 증명서 등 기본적인 서류 외에 미국의 어디에서 어느 기관 혹은 업체와 증식을 하고 육묘를 할 것인가를 정하고 미국 농림부의 검역과 승인을 받아야 수입허가를 받을 수 있다. 리즈 부사장은 북가주의 종자 시험기관을 연결해 주려고 했지만, 그쪽 대응이 적극적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생각한 것이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의 산학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그 프로그램과 연계하려면 한 해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결국 라센 캐년 너서리가 자체적으로 시설을 갖추고 미국 농림부의 검역을 받아 수입과 육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리즈 부사장과 나는 수개월 동안 장문의 이메일을 하루에도 몇 차례씩 주고 받았다. 지금 와서 당시 주고 받았던 이메일을 보면 어떻게 저렇게 할 수 있었을까 스스로 대견하기도 하고, 당시 돈이 되지도 않고 가능성도 불확실한 일을 적극적으로 도와준 리즈 부사장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그리고 한국에서 가지고 가는 금실 품종을 미국에서 어떻게 보호받을 것인가를 검토했다.
딸기는 어미묘의 관부에서 발생하는 포복지(러너) 끝에 달리는 자묘로 번식하는 영양번식 체계를 가지고 있다. 쉽게 말해 줄기로 번식하는 식물이기에 모종이 유출되면 무한 번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국의 과학자들이 오랜 기간 힘들게 개발했고, 한국 정부에 로열티를 지급하는 금실 딸기가 미국에서 무단으로 확산하는 일은 없어야 하기에 품종 보호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었다.
미국의 종자 보호 관련법과 제도를 검토한 결과, 금실은 상업재배된 지 4년이 되지 않아 신규성을 인정받아 종자보호권을 등록할 수 있는 조건이 됐다.
미국 수입절차와 품종보호 등록 절차를 진행하면서 경상남도농업기술원과 금실 딸기 라이선스 및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금실 딸기는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품종이고 권리권자는 경상남도지사이다. 그리고 수출계약은 전라북도 익산에 있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현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담당했다.
계약을 위해서 경상남도 진주와 전라북도 익산을 오가면서 절차와 계약 조건들을 협의했다. 딸기는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 농산물이며, 한국의 딸기 농가들은 수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래서 미국에서 재배한 딸기의 생과는 한국으로 역수출하지 않고, 한국 농가들이 수출하는 동남아 국가들에는 판매하지 않으며, 10년간 최소 1억원의 로열티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미국 등 해외 실시권과 수출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미국 육묘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기로 하고 한국에 들어갈 때까지만 해도 한두 달이면 끝날 것으로 예상되었던 절차들이 예상치 못 한 팬데믹 상황과 전례없는 일들을 진행하는 과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7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됐다.
한국 딸기를 미국으로 가지고 간다고 했을 때, '쉽지가 않을 것이다'. '과거에도 시도한 분들이 있었는데, 다들 포기하였다', '글쎄 해보려면 한번 해보세요'와 같은 반등들이 이해가 됐다.
마침내 2020년7월 8일, 라구나 비치에서 왜 미국 딸기는 맛이 없지라는 이야기를 한 지 약 11개월, 거의 1년 만에 경상남도농업기술원과 수출계약을 체결하고 금실 딸기를 미국으로 보내게 됐다. 계약 체결식을 할 때 개발자이신 윤혜숙 박사께서 눈시울을 붉히면서 감격해 하던 모습을 보면서, 정말 금실을 자식처럼 생각하시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 우수한 품종을 미국에서 꼭 성공시키겠다고 약속했다.
귀하신 배양묘들
미국으로 가는 금실 딸기는 모종이 아니라 조직배양묘의 형태로 보내져야 했고, 보내는 묘의 수도 10주밖에 되지 못했다.
필자의 조상이신 문익점 할아버지께서 600년 전 붓두껍에 목화씨를 넣어와 한반도 전역에 목화를 전파시킨 것처럼 이 10주를 잘 키워 미국 전역에서 맛있는 금실 딸기를 맛보게 해야 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에서도 가장 상태가 좋은 묘들로 준비하여 10주를 특수포장을 하여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보냈다. 그 과정에서 서류에 이상은 없는지, 수입허가서는 제대로 되었는지, 도착 후 검역과정과 검역 후 격리(Quarantine)과정 등에 대해 몇번씩 검토했다.
2020년 7월28일 미국행 비행기를 탄 귀하신 몸들은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검역을 마치고 7월31일 야간에 이동하여 보금자리인 라센 캐년 너서리에 도착했다.
금실의 도착 일정에 맞춰 미국에 온 필자도 라센을 찾아가 한국에서 보낸 귀하신 몸들을 살펴봤다. 한편으로는 뿌듯하고 한편으로는 저 작은 유리병 10개를 보내는데 무슨 생고생을 그렇게 했나 하는 허탈함도 들었다. 하지만 이렇게 힘들게 온 귀하신 몸들에게는 더 힘든 미국 생활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문종범
보스턴대학을 나와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1년간 건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 한국의 IT 업체 '와이즈와이
어즈' 글로벌사업본부장으로 미국에와서 딸기 농부가 됐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