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UC 파업사태와 대학 교육
한인들에게 캘리포니아 대학 시스템(UC)의 의미는 각별하다. UC 계열 캠퍼스들은 우수한 교육을 자랑하며, 한인 학생은 물론 한국 유학생도 많다. 한국에서는 UC 캠퍼스 중 하나인 UCLA를 ‘우클라대학’ 이라는 별칭으로 부를 정도고 UCLA 로고가 새겨진 옷들도 인기가 높다.그러나 최근 UC의 명성에 상처를 입히는 사건이 여러건 있었다. 먼저 2019년 터져 나온 대학 입시 부정 사건에 UCLA가 연루된 것이다. UCLA 대학축구 코치가 입시 브로커와 짜고 뇌물을 받고 학생을 부정 입학시킨 것이다. 법원은 최근 코치에게 징역 8개월, 브로커에게는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다.
또 다른 문제는 지난해 UC 교직원 파업 사태였다. 지난해 11월 UCLA, UC 어바인 등 UC 계열 10개 캠퍼스의 UAW(전미자동차노조연합) 소속 박사후과정, 대학원생, 교직원 4만8000명은 더 나은 급여와 혜택을 요구하며 한 달간 파업을 벌였다. 이로 인해 한 달간 수업 및 운영에 차질이 빚어졌으며, 교직원들은 임금인상과 처우 개선을 약속받고 파업을 종료했다.
학문의 전당인 명문대 교직원의 파업은 전례 없는 일이다. 이번 파업사태는 미국의 최대 공립대학 시스템인 UC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드러냈다고 UC버클리 출신으로 교육전문매체 에듀소스(EdSource)의 편집장을 역임한 루이스 프리드버그는 지적한다.
그에 따르면 첫번째 문제점은 주 정부의 UC 예산 삭감이다. 최근 50년간 대학 예산 전반을 연방정부의 지원에 의존하고 있지만, 캘리포니아 주 정부의 예산은 오히려 줄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1980년 UC 예산의 87%가 주 정부 부담이었으나, 40년이 지난 현재 주 정부 부담은 39%에 불과하다. UC버클리 전 총장 로버트 버게노는 “우리는 주립대가 아니라 연방 대학”이라고 자조할 정도였다.
두번째 문제점은 UC 재학생 숫자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늘었다는 사실이다. UC는 고등교육 마스터플랜을 통해 고등학생 톱 12.5%를 입학시킨다는 방침을 고수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인구가 3배 가까이 불어나면서 해당하는 학생들의 숫자도 늘어나고 있다. 반면 UC가 최근 50년간 새로 연 캠퍼스는 UC 머세드 밖에 없어 학생 숫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학부생이 늘어나는 만큼 대학원생이 줄어들고, 유능한 대학원생을 타주 또는 사립대에 빼앗긴다고 프리드버그는 주장한다.
세번째 문제점은 폭등하는 캘리포니아의 물가와 생활비를 학생과 교직원들이 감당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노조에 따르면 현재 UC에서 공부하는 석사 과정 학생들은 연평균 2만4000달러를 받고 학교에서 조교 및 튜터 등으로 일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가파르게 상승한 주거 비용으로 인해 캠퍼스 주변 거주지 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임금과 보너스 인상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UC 봉급 체계를 실패한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미국 내 최대 공립대학 시스템인 UC 교직원의 파업사태는 조지아 등 타주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다. 필자가 거주하는 조지아주의 주립대인 UGA, GSU 등은 주내 학생 80% 이상에게 호프 장학금을 제공하며 수준 높은 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애틀랜타 한인 학부모들도 대학의 명성보다 자녀 학비 부담을 고려해 ‘조지아 주립대 진학’이라는 경제적으로 현명한 선택을 내리는 추세다. 우리 자녀가 다니는 주립대의 상황에 대해 학부모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다.
이종원 / 변호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