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톱 액션, 그 아래 한국 현대사 30년이 흐른다
헌트(Hunt)
분단 건너편 저쪽에도 독재는 마찬가지일 터인데 북한 스파이 조유정은 80년대 초 한국 군사정권의 독재자와 그 주변에 기생하는 하수인들을 싸잡아 비난한다.
남과 북의 분단 상황, 그리고 신군부의 독재 정권하에서 전개되는 영화 ‘헌트’에는 두 명의 중심인물 박평호(이정재)와 김정도(정우성)가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은 남과 북, 또는 선악의 대립 구도에 있지 않다. 박평호는 평화와 반전을 추구하는 듯 보이지만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타인의 희생도 마다치 않는다. 그는 냉정하고 잔악하게 임무 완성을 위해 질주한다. 군 출신의 김정도는 반독재를 상징하는 이상주의자연하지만잔악함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다. 그가 추구하는 이상을 위해서는 살인과 고문을 스스럼없이 자행한다.
냉전체제 하에 불우한 삶을 살아야 했던 두 남자는 자신들의 이상을 관철시키기 위해 발버둥 쳤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이들은 민주주의와 공산주의로 갈린 한 민족 두 나라가 각기의 체제 유지를 위해 필요로 했던 희생물에 불과했다. 한쪽은 지구상에서 가장 추한 형태의 민주주의라는 제도하에, 또 다른 한쪽은 가장 기이한 모습의 공산주의 체제로, 남과 북에 존재했던 독재 권력을 지키기 위해 이들을 희생양으로 삼았다.
독재자는 분단 상황을 이용해 자국민에게 고통을 안겨주고 심지어 고문을 일삼는다. 영화는 군사정권 당시 안기부의 수사와 고문을 이렇게 표현한다.
“고문은 정체를 숨기는 간첩이 비밀을 불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생사람을 잡아다가 자기가 간첩이나 범죄자라고 말할 때까지 조지는 수준”이라고. 일제는 고등 경찰을 조직해 독립운동을 탄압했다. 군사정권의 안기부는 국가보안법, 종북몰이로 자국민들을 고문했다. 부당하게 쟁취한 권력 유지의 수단이었을 뿐, 그 어디에도 정의는 없었다.
‘헌트’는 10·26사태, 5·18 광주민주화운동, 아웅산 테러, 이웅평 월남, 전경환 사기 사건 등 분단 체제하에서 일어났던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을 복선으로 깔고 진행된다. 거기에 재해석과 상상력이 더해져 전체 플롯 라인을 구성한다. 영화에는 군부 독재 하에서도 최고 권력자를 암살하려는 소신파들, 한때 일본에서 득세하던 조총련계 재일동포, 그리고 남한으로 귀순하려는 북측의 고위 인사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 그 시대의 혼란과 혼돈, 증오와 분열을 상징하는 모습들을 그려낸다. 다만 국가와 개인의 극적인 붕괴들이 몰려 있는 후반부는 80년대를 살지 않았던 세대들, 또는 외국 관객들을 배려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헌트’는 한국 사회의 지난 30여년을 뒤돌아보게 한다. 그리고 오늘의 한국 사회에 여전히 존재하는 대립과 갈등, 선동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며 오늘을 사는 한국인들이, 우리 민족을 분단시켰고 한국 사회를 분열시켰던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응시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게 한다. 지난 시대의 낡은 사상, 또는 이념이 우리의 신념이 되어 오늘을 사는 우리들의 ‘생각’을 지배하고 있는 건 아닌지.
김정 영화평론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