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문화난장] 노희경의 “모두 행복하세요” 왜 통했나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계몽성 강해 예술성 후퇴”

순진·유치하면 또 어떤가
불안한 현실 위로 효과 커

노희경 작가의 ‘우리들의 블루스’(tvN)가 “과연 노희경”이란 격찬 속에 막을 내렸다. 7.3%(닐슨코리아 조사 결과)로 시작한 시청률도 마지막 회에 14.6%까지 올랐다. 올 tvN 주말 드라마 최고 수치다. 하지만 예술성 측면에서 퇴행이라고 보는 의견도 만만찮다. 계몽적·교훈적 요소를 내세워 시청자를 가르치려 한다는 문제 제기다.
 
옴니버스식으로 진행된 ‘우리들의 블루스’는 에피소드마다 주인공을 바꿔가며 갖가지 갈등 상황을 보여주고, 그 모든 상황을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지었다. 가족 부양의 무거운 짐을 진 채 청춘을 보내버린 두 중년을 “잘 자라줘서 고맙다”며 위로하고, 우울증으로 이혼당한 뒤 아들 양육권까지 잃은 첫사랑은 “답답하면 뒤를 봐, 이렇게 등만 돌리면 다른 세상이 있잖아”라고 다독인다. 상처받은 우정은 “이 세상에서 너 하나만은 만만하게 생각하면 안 되냐”는 고백에 회복되고, 장애인 언니를 둔 ‘억울함’은 “힘들었겠다, 네가 고생이 많았어”라며 이해받는다. 10대 고등학생의 임신 문제도 가족과 학교, 지역 사회의 지지와 축복으로 이어졌다.
 
드라마 제작발표회에서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고 못 박았던 작가는 이렇게 선명한 ‘행복 행진곡’도 부족하다 느꼈는지 마지막 장면에 이런 자막까지 적어 넣는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분명한 사명 하나. 우리는 이 땅에 괴롭기 위해 불행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오직 행복하기 위해 태어났다는 것. 모두 행복하세요!”
 
드라마 평론가인 윤석진 충남대 국문과 교수는 “작가의 목소리가 날것 그대로 노출된 작품”이라며 “도덕이나 윤리 교과서에 나올 법한 메시지에 시청자들이 눈물 흘리며 호응하는 현상”에 주목했다. 수용자 개개인이 자기 목소리를 내는 최근의 문화수용 양상에서 벗어난, 매우 이례적인 반응이란 것이다.
 
왜일까. 심리 전문가들의 분석은 대략 이렇다. 뭐가 뭔지 모르겠는 불안정한 사회다. 열심히 살면 성공한다? 거짓말이 돼버렸다. 입시 경쟁, 취업 경쟁의 악다구니 속에서 이긴다 한들 집 한 칸 마련이 요원하다. 긴장감과 피로감에 지쳤다. 미래가 안 보이는 데서 오는 무기력감이 드라마의 선하고 따뜻한 결말을 보며 풀린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일종의 대리만족”으로 해석했고, 윤대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아무도 믿지 않지만 너무나 믿고 싶은 얘기를 해주는 순간 느끼는 힐링 효과”를 꼽았다.
 
이는 영화관 내 팝콘 취식이 허용되자마자 가뿐히 천만 관객을 넘긴 ‘범죄도시2’ 열풍과도 맥이 같다. 악인의 속 시끄러운 서사 따위는 필요 없다. 대중이 원하는 건 통쾌한 권선징악이다. 정의의 형사 마석도(마동석)의 압도적 주먹이 주는 카타르시스에 취할 뿐이다.
 
사회 현안에 대한 해법을 암시한 것도 ‘우리들의 블루스’의 특징이다. 마지막 에피소드인 옥동(김혜자)과 동석(이병헌) 모자의 화해 장면은 세대 갈등의 해결 방안에 대한 모범 답안이자 희망 사항이다. 아들 동석의 입장에서 옥동은 잘못이 많은 엄마다. 옥동은 남편과 딸을 바다에서 잃은 뒤 동석 친구 아버지의 첩이 된다. 동석은 엄마가 친구 아버지와 한방에서 “이불 부스럭거리는 소리를 내며” 자는 모습을 지켜봐야만 했고. 본처 아들들의 폭력까지 감내해야 했다. 아들에게 미안해 고개도 못 들어야 할 것 같은 상황인데도 옥동은 시종일관 동석에게 차갑고 당당했다. 이들의 화해를 위해선 깜짝 놀랄 반전 사연이 있을 거란 전망이 많았다. 혹자는 그 친구 아버지가 실은 동석의 친부일 것이라는 출생의 비밀까지 제기했다. 하지만 드라마는 평생 한글조차 익히지 못한 옥동의 불우한 삶을 동석이 알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해하는 방식을 택했다.
 
지금 2030세대에게 ‘꼰대’ 취급을 받는 86세대에게도 이해 안 되는 ‘레드 콤플렉스’ 부모 세대가 있었다. 삶의 뿌리가 달라 가치관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들이 다른 세대 눈높이에 맞춰 대오각성, 미안하다 사과하는 날은 좀처럼 오지 않는다. 동석의 내레이션 “미안하단 말도 없이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이제서야 알았다. 난 평생 어머니를 미워했던 게 아니라 이렇게 안고 화해하고 싶어했단 걸”에서 드러나듯, 그저 그 시대의 삶으로 받아들이는 것만이 유일한 해법일 것이다.
 
순진하면 어떤가, 유치하면 어떤가. 해피엔딩 모범 답안에 기대 희망을 읽고 싶다. 이게 대중의 솔직한 속내일지 모른다. 창작자로선 이유 있는 퇴행, 어쩌면 영리한 퇴행이다. 

이지영 / 한국 문화팀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