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긴축의 시기…코로나로 불어난 빚의 ‘역습’
인플레에 금리 인상 탄력
저소득층·취약기업 타격
경기 회복세도 둔화 우려
이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불가피한 행보이지만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크게 불어난 가계와 기업 등의 부채가 금리 상승으로 부실화하고 자금 조달의 문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2년여간 세계 각국의 재정 지출 확대와 기준금리 인하 등은 코로나19로 타격받은 경제가 살아나는 데 밑거름이 됐으나 국제 공급망 차질과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더 해져 물가가 치솟자 각국이 시중 유동성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 부닥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커진 민간 부채 문제가 금리 상승과 맞물려 소비와 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경기 회복세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8일 ‘IMF 블로그’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급증한 민간부채가 경기 회복을 둔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민간부채는 코로나19 대유행 첫해인 2020년에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3%만큼 늘어났다. 이런 증가 속도는 2008년 국제 금융위기 때보다 빠르다는 것이 IMF의 평가다.
IMF는 민간부채가 향후 3년간 선진국 경제성장률을 0.9%, 신흥국 경제성장률을 1.3% 낮출 것으로 추정했다.
IMF는 “저소득 가계와 취약 기업은 많은 빚을 감당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소비와 투자를 급격히 줄일 것 같다”며 “선진국 가운데 미국, 독일, 영국 등의 저소득 가구에서 부채 증가율이 프랑스, 이탈리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설명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집계 결과 지난해 미국의 가계 부채는 1조200억 달러 늘어나 14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모기지)과 자동차 대출 증가 영향이 컸다.
최근 모기지 금리는 3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5%를 넘어서는 등 시중금리가 오름세를 타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데 이어 ‘빅스텝’으로 불리는 0.5%포인트 추가 인상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
앨비언금융그룹의 제이슨 웨어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로이터통신에 “금리가 높아지면 은행들에 긍정적이지만 대출자들이 커진 대출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면 그 효과는 상쇄된다”며 “금리가 너무 많이 오르면 역풍이 불 수 있다”고 말했다.
빅스텝을 밟은 캐나다에서도 대출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캐나다는 기준금리를 지난달 0.25%포인트에 이어 이달 13일 0.5%포인트 인상했다.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가 캐나다 파산관리 전문회사인 MNP LTD의 의뢰로 3월 9~15일 성인 20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39%가 금리 상승으로 파산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작년 12월 조사 때보다 4%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또 57%는 채무 상환 능력에 대한 걱정이 커졌다고 답했다.
그랜트 바지안 MNP LTD 대표는 “많은 사람이 생활비와 금리 상승 때문에 더 많은 빚을 져야 할 수 있다”며 “금리가 오르면 부채 변제 비용도 커져 상환을 더 어렵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