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수필] 양란이 봉오리를 맺다

꽃이 졌다. 야들한 꽃잎이 모두 떠나간 가지는 메마른 몸을 겨우 지탱하고 서 있다. 작년에 나는 골반 골절수술을 받았다. 그때 지인이 보내준 양란(Orchid)은 홀로 누운 나를 위로하기 위해 찾아온 친구였다. 연분홍, 진분홍, 하양, 노랑의 조화가 아프고 지친 마음을 밝게 해주었다. 희망을 좇는 나비 떼를 연상케 했다. 환한 에너지가 햇살과 어우러져 방안을 채웠다. 침대에 누워서 바라볼 때마다 고마운 분의 기도가 마음에 와닿은 것일까 치료의 효력이 생겼다.
 
병상에 누운 지 넉 달 만에 일어나 워커를 짚고 걷기 시작했다. 내 몸은 회복되었는데 마음을 만져주던 화분 속의 꽃잎은 시들기 시작했다. 화려한 영화도 시간의 흐름 속에서 쇠잔해지는 것처럼 어느 날 양란은 고개를 떨구고 흙 위에 주저앉았다.  
 
꽃이 없는 나뭇가지는 앙상했다. 막대에 불과한 볼품없는 모습에 잘라 버리고 싶었지만 다른 화분 틈에 두었다. ‘꽃 역시 영원할 수 없겠지.’ 혼자 중얼거리며 창가에 놓아두고 물을 주었다.
 
이민 생활에 정착하기 위해 젊은 시절을 치열하게 살았다. 건강을 잃고 모든 생활이 정지되고 보니 고향을 떠난 서러움이 한꺼번에 밀려왔다. 여고 시절엔 문학소녀의 꿈을 품은 작은 봉오리를 맺고 있었는데…. 잊었던 그 꽃봉오리가 병상에서 겨울을 보내는 가슴에 움을 틔웠다. 먼지 묻은 일기장을 찾아내어 글을 쓰기 시작했다. 병상일기를 쓰며 마음의 평안을 찾았다.
 


골반 골절수술과 팬데믹으로 갇힌 세상에서 글쓰기에 매진했다. 사람의 만남과 관계에서 에너지를 얻어 왔는데, 소통이 끊긴 적막을 이겨내기 위해 육체의 아픔을 견디며 가슴속에 맺힌 감정을 밖으로 끄집어냈다. 글이 그 작업의 매체가 된 셈이다. 깊은 생각과 성찰로 이끄는 기도가 되었다고 할까.
 
1년을 훌쩍 넘기는 시간이 지나간다. 추운 바람이 떠나간 하늘에서 따스한 온기가 느껴지기 시작한다. 죽음을 거쳐 생명을 생성하는 계절의 순환이다. 햇빛이 내리비치며 창 안 깊숙이 자리 잡는다. 커튼을 걷으며 작은 양란에 눈길을 준다. 다시 움이 돋고 연한 가지가 나온다. 초록 기운이 꿈틀거린다. 햇살 아래 물 기운만 있으면 다시 싹을 내는 것은 자연의 이치인가 보다. 놀랍게도 마른 가지에 꽃봉오리가 맺히는 게 아닌가. 새 생명이 움트는 신비한 힘을 느낀다. 봉오리가 꽃잎을 터뜨릴 때마다 살아있다는 함성이 들리는 듯하다.
 
꽃봉오리가 꽃을 피워내는 열정으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가리라. 무언가 목표를 위해 끊임없이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내가 도전하고 싶은 다음 푯대는 무엇일까를 생각한다. 긍정적인 스트레스는 발전을 가져온다는 대답을 얻었다. 수필 등단으로 작가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은 지 4년째, 좋은 글을 쓰기 위해 겸손히 밤을 지새우는 노력이 필요한 것도 알았다. 숨 죽이고 가라앉았던 깊은 곳에 불씨를 던진다. 설레는 마음을 애써 달래며 컴퓨터 앞에 앉아 수필집을 준비한다. 양란에 물을 준다. 봉오리가 꽃을 피우듯 내 무늬로 책이 엮어질 것이다.

이희숙 / 수필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