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시론]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경고가 2월 초부터 꾸준히 보도됐었다. 하지만 그저 위협에 그치고, 전쟁으로까지 확대 되지 않기를 바랐다. 그 바람을 비웃듯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현실화해 현재까지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파괴하는 참상이 연일 보도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나의 지식은 러시아 근처에 위치하고 소비에트 연방에 속한 국가였다는 것 정도였다. 전쟁이 터졌다는 뉴스를 보면서 대체 우크라이나는 어떤 나라이고 러시아와 어떤 관계에 있었나 하는 호기심에서 인터넷으로 찾아보았다.  
 
대략 알아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영토의 크기는 미국의 텍사스주보다 약간 작아, 러시아 국토의 28분의 1 정도라는 것이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나와 독립국가가 됐다. 현재 인구는 4400만이다. 러시아의 침공에  용감하게 대항해 결사 항쟁을 이끌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배우 출신 정치가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44세)가 대통령이다.    
 
한편 인구 1억4000만이 넘는 러시아의 대통령 푸틴(70세)은 2012년에 대통령이 되어 지금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하고 있다. 이전에 수상, 대통령 대행과 같은 직함으로 실권을 쥐고 있어서, 실제로는 20년 넘게 장기 집권하고 있다.      
 


러시아 침공 소식을 듣고 처음으로 떠오른 의문은 “왜”였다. 옛날 학창시절에 배운 이론이 떠올랐다. 국가의 통치자가, 백성들이 불만에 차 있어 반란의 위험이 있다는 느낌이나 정보가 있으면 외침을 단행한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정치 현실과 국민의 여론을 잘 모르는 입장에서 이 이론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동기를 설명할 수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현재 지배적인 견해는 2차 세계 대전 후 옛 소련의 세력 확장을 막기 위해 유럽 여러 나라와 미국, 캐나다가 함께 결성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우크라이나가 가입할 가능성을 예방 내지 차단하기 위해 선제 공격을 했다는 해석이다.    
 
영토의 크기, 인구, 국력에서 상대가 될 수 없는 두 나라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의 참상을 보고 또 한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개인의 입장에서도 그렇지만 국가의 입장에서도, 자체의 능력과 의지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환경이라는, 주어진 조건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마치 한반도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한국이 수천년 동안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과 비슷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본, 영국과 같은 섬나라는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장점이 되어 외침을 받았던 예가 없었다. 이는 지리적 위치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예이다.  
 
유감스럽게도 우크라이나는 지리적인 면에서 결코 유리한 입장에 있지 않다. 러시아라는 거대한 땅 덩어리와 붙어 있어서, 누가 러시아의 통치자가 되느냐에 따라 항상 평화와 전쟁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생존을 유지해야 하는 운명이다.                
 
러시아는 내가 특히 좋아하는 문호 도스토옙스키와 위대한 작곡가인 차이콥스키를 비롯해 수많은 천재들을 배출한 예술의 나라이다. 현재 진행 중인 전쟁을 보면서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라는 명언을 모방해서 “총칼은 잠시이고 문화는 영원하다”라는 말을 만들어 보았다. 러시아가 끔직한 살상과 파괴를 조속히 중단해 종전이 오기를 간절히 바란다. 

김순진 / 교육학 박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