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새 시대 열린다
최근 오미크론 확산에도 팬데믹 종식 신호 해석 우세
백신 접종률 증가와 함께 정부도 방역 정책 완화 추세
화이자·머크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잇단 승인, 새 국면
감염에 대한 위협은 물론 온갖 방역 정책으로 지칠 대로 지쳐버린 많은 사람들이 일상으로의 완전한 복귀를 염원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종식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도래할 수 있을까.
◆ 오미크론 확산, 코로나19 종식 신호일까
강력한 전염성으로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는 기존 지배종이였던 델타 변이에 비해 중증도가 낮다는 연구 결과가 이어지면서 종식의 신호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영국 유력지 가디언은 지난달 26일 ‘오미크론: 암울한 새해인가 팬데믹 종식의 시작인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오미크론 변이는 바이러스가 힘을 잃는 신호라는 조심스러운 낙관론이 제기된다고 전했다.
백신을 접종했을 경우 오미크론 감염자들이 경미한 증상에 그치는 점도 고무적으로 분석됐다. 컬럼비아대 메디컬센터 응급실 의사인 크레이그 스펜서 박사는 “산소 포화 치료를 받는 입원자 대부분이 백신 접종을 받지 않았다”고 전했다.
존 벨 옥스퍼드대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오미크론에 대해 “1년 전 우리가 봤던 것과 같은 질병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근 몇 주 동안 코로나19 입원자 수가 증가한 반면 산소 포화 치료를 필요로 하는 중환자가 줄었고 평균 입원 기간도 3일에 그친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오미크론 감염 폭증으로 의료 체계가 마비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지만, 이런 우려는 ‘이제 코로나가 엔데믹(Endemic·주기적 유행)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일 때’라는 일각의 주장과 상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물론 낙관은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방심은 금물”이라며 “만약 중증도가 덜하더라도 감염자가 아주 많이 늘어난다면 중증도가 낮은 이점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정부도 방역 정책 완화, 백신 접종률 증가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달 27일 무증상 감염자의 격리 기간을 종전의 10일에서 5일로 단축하는 새 조치를 내렸다. 또 부스터샷 접종자는 확진자와 밀접 접촉해도 격리를 면제했다. 격리 면제·축소 대상자에겐 마스크 사용을 권고하기로 했다.
CDC는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의 코로나19 전염이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 1~2일과 그 후 2-3일에 발병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이 같은 방역 완화는 연말연시에 격리자 증가로 의료·항공·철도 등 국가 기간산업에 일손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감염자의 증상이 비교적 가볍다는 점이 결국 이런 결정을 뒷받침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지난 겨울 델타 변이의 확산으로 하루 평균 사망자가 3400명을 넘겼던 것과 다르게 올겨울에는 평균 사망자가 1000명 대에 머물고 있다.
CDC는 지난달 28일 미국 내 확진자의 59%가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로 추정됐다고 발표했다. 델타 변이는 41%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백신 접종률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CDC(12월29일 기준)에 따르면 미국 전체 인구 중 73.9%가 최소 1회 접종, 61.9%가 2차 접종을 완료했으며, 부스터샷 접종률은 33.1%에 달한다.
◆ 경구용 치료제도 등장
한편, 연방 식품의약청(FDA)이 화이자, 머크 등 먹는 치료제의 긴급사용을 잇달아 승인하면서 또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FDA는 지난달 22일 화이자가 개발한 경구용 항바이러스 알약 ‘팍스로비드’를 가정용으로 긴급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23일에는 연이어 머크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인 ‘몰누피라비르’를 긴급사용승인했다.
화이자에 따르면 당뇨병·심장병 등 고위험군인 코로나 환자 1219명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한 결과 실제 팍스로비드를 복용한 775명은 위약을 먹은 다른 환자군에 비해 입원·사망이 89% 감소했다.
화이자에 따르면 올해 1월 첫째 주까지 6만5000코스(1코스 당 30알)공급이 가능하고, 2022년말까지 1억2000만 코스를 공급할 수 있을 거라고 전했다.
심종민 기자 shim.jongmin@koreadailyny.com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