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사회적 ‘공존지수’를 높여라
언젠가 TV에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직장의 신’이라는 드라마가 있었다. 그 내용 중 한 장면에 가까스로 권고사직 위기에서 벗어난 만년 과장이 자신을 도와 준 여직원에게 이렇게 고마움을 전하는 대사가 있다.“혼자서는 못 가. 시계가 어떻게 혼자서 가? 작은 바늘, 큰 바늘이 다 함께 가야 나 같은 고물도 돌아가는 거야.”
주역에 ‘이인동심 기리단금(二人同心 其利斷金)’이란 말이 있다. ‘두 사람이 한마음이면 단단한 쇠도 자른다’는 뜻이다. 이는 함께 사는 사람들과의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비유를 얘기하는 것이다. 이를 일컬어 학자들은 ‘공존지수’ 혹은 ‘NQ지수(Network Quotient)’라고 부른다.
이 개념은 지능지수(IQ), 감성지수(EQ)와는 별도로 근간에 새로이 생겨난 일종의 신종지수라고 한다. 즉 공존지수(NQ)란 직장이든 조직이든 필요할 때는 사보타지(sabotage)가 아닌 긍정적으로 ‘함께 나누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다. 물론 각자 개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이 바로 ‘공존’의 실체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 예를 들어 물 속을 들여다보면 작은 물고기들은 자신의 안전을 위해 떼를 지어 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작은 물고기 하나만 보면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여럿이 한데 모여 움직이면 그 거대한 모습에 큰 고기들이 쉽게 근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자신이 하는 업무를 팀원들과 공유하기를 꺼려하며 그저 불평만 일삼고 남에게 ‘너나 잘하라’며 앞에서 면박을 준다든가 쓸데없이 뒤에서 헐뜯기나 하는 사람들은 성공도 어려울 뿐, 후일 꼭 본인도 ‘헐뜯음’을 당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공존지수는 그 수치가 높을수록 사회에서 다른 사람과 소통하기 쉽고 또 그 소통으로 인해 얻은 것을 자원으로 해서 더 성공하기 쉽다는 개념이다. 물론 내가 속한 집단은 잘 되고 다른 집단은 소외시킨다는 ‘패거리’ 개념이 아니라 서로 잘 살도록 도와야 한다는 ‘이타적(利他的)’ 개념에 가깝다고 할 것이다.
근간 고국의 혼란스러운 정국 사태를 거의 실시간으로 지켜보며 밤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아졌다. 정치에 큰 관심을 가졌기보다는 솔직히 그동안의 코로나 비상에 의해 바깥출입이 제한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른바 ‘방콕’이 길어지니 자연히 거의 온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흘러간 영화나 괜찮은 유튜브의 전문 역사물 보기로 시간을 죽인다.
그런데 웃기는 것은 웬만한 영화보다는 대선후보들의 치고받기와 그 배후들의 모략과 음모, 배신, 편짜기와 뒤통수 때리는 실제의 장면들이 훨씬 흥미를 끄니 참 헷갈린다.
그런가 하면 내가 사는 미국 사회도 대동소이하다. 늘 함께 살아가야 할 우리 사회가 어쩌다 시정잡배들보다 훨씬 더러운 정치판 모리배들의 죽기 살기 투견장이 되고 있으니 역겨운 마음이 생기지 않을 수가 없다.
얼마 후면 해가 바뀐다. 싫든 좋든 ‘새해’라는 의미 있는 새 날을 앞두고, 우리는 비록 이국에 살더라도 이웃과 더불어 잘 살기 위해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
나보다는 남을 먼저 생각해 주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주며 칭찬해주는 자세를 갖는다면 사회적 공존지수(NQ)는 자연히 높아질 것이다. 왜냐하면 이 개념은 ‘개인에 집착하기보다는 이웃을 도우며 함께 성공을 이끄는 것이 더 큰 행복의 지름길이 된다’는 ‘윈윈’의 이치고, 바로 우리네 삶의 지혜이기 때문이다.
손용상 / 소설가·한솔문학 대표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