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환경관련 연방부처 모두 없앤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환경 보호 관련 부서를 전면 해체하는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연방환경보호청(EPA) 산하 환경정의국(OEJ)와 대외인권국(ECR)을 우선 폐쇄할 방침을 굳히고 소속 공무원에게 직위 배제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OEJ는 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이 지난 1992년 창설한 환경평등국(OEE)를 1994년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확대 개편된 부서로,  저소득층 및 유색인종 다수 거주 지역의 환경 오염 문제 해결에 주력해 왔다.   2022년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 부서를 더욱 키웠다.   연방공무원 노조 측은 이번 조치로 100여명이 해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이 인종적 정의를 바로세운다는 명분으로, 인종과 환경을 결부해 막대한 예산을 낭비했다고 주장하고, 관련 부서 폐기를 공약으로 내걸었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환경관련 보조금의 최소 40%를 소수계 집중 거주지역에 배당해왔다.   OEJ에서 10년 넘게 일했던 매튜 테자다는 “OEJ를 폐쇄하면 많은 소수계 커뮤니티에 각종 위험한 환경오염물질을 더욱 많이 불러들이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도움이 필요한 커뮤니티에 등을 돌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연방정부 감축 정책인 ‘프로젝트 2025’의 초안을 작성했던 보수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의  다이애나 퍼흐트고트-로스 환경-기후센터 소장은 “예기치 않게 일자리를 잃은 공무원들에게는 매우 유감스런 일이지만, 비용절감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면서  “이들이 매일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이었으나 정권이 바뀌고 정책 우선순위가 달라진 것이 그들의 잘못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하다”고 전했다.   EPA는 최근 저소득층과 소수계 인종 커뮤니티의 암 위험 및 오염 노출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던 온라인 검사 도구를 예고없이 삭제했다.   익명을 요구한 고위 관리는 연방법무부 산하 환경및자연자원과(ENRD) 소속 공무원 20여명도 해고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ENRD는연방정부가 송사에 휘말릴 경우 연방정부를 대변하는 역할을 담당해왔다. 5일 취임한 팸 본디 연방법무부 장관은 메릭 갈랜드 전 장관의 환경 관련 행정지침과 시행규칙 등을 모두 폐기하는 행정명령을 하달했다.   본디 장관은 또한 산하의 모든 연방지방검찰청을 대상으로 환경정의 관련 어젠다를 모두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명령장을 통해 “우리 법무부는 환경법을 포함한 모든 연방 민사 및 형사법을 공평하게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환경관련 연방부처 환경관련 보조금 트럼프 대통령 산하 환경정의국

2025-02-09

[종교와 트렌드] 종말론과 환경재앙

요즘 여기저기 들리는 환경관련 뉴스가 심상치 않다. 우리가 사는 캘리포니아만 해도 1200년만에 찾아온 가뭄이라는 뉴스를 보았다.     캘리포니아의 샤스타, 오로빌 저수지가 거의 바닥을 보이고 있다. LA시에서는 잔디에 물주기도 제한하고 있다. 요세미티에는 또 산불이 나서 절경들이 훼손되고 있다. 여기저기 빙하들이 녹아내리고 있고 알프스, 히말라야의 만년설마저 위기다.     한국 역시 가뭄으로 고생하고 있다.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릴때마다 죄책감이 든다. 이렇게 많은 쓰레기들이 썩으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 단테의 신곡에 지옥에 대해서 묘사한 것럼 인간이 자기가 평생동안 버린 쓰레기를 먹거나 짊어지고 다니게 하는게 지옥의 형벌이 아닐까 하는 상상을 하곤 한다.     한국에서 온라인 환경선교사 과정을 들은 적이 있다.기독교인들은 작은 실천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고 쓰레기를 줄이는 것, 그리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 탄소배출량 줄이는 탄소금식 등이 있다.     환경이나 생태는 너무나 큰 담론이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은 적다. 결국 공유지의 비극처럼 우리는 지구라는 공동재산을 마구잡이로 착취한다. 지구에 대한 착취는 인간의 탐욕적인 죄성에 기인한다.     기독교인들이 죽으면 심판을 받는다고 믿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죄 뿐만 아니라 불의와 소외자들에 행동하지 않은 소극적인 죄, 환경과 지구를 돌보지 않은 행위까지 포함될거라는 상상을 한다. 인류는 지구에 사는 한 지구에 대해 죄인이며 빚진 자이다.     우리에게는 개인 구원에만 집중된 신학보다 이웃과 환경, 생태 등을 아우르는 총체적인 신학이 필요하다.     지구의 온도상승을 1.5도 이하로 줄이는 것이 국제적으로 국가나 환경단체들이 추구하는 목표이다. 비관적인 환경론자들은 지금의 소비패턴을 유지하면 2040년이나 2050년에 돌이킬 수 없는 기후재앙이 와서 또 한번의 대멸종의 시대를 맞을 것이라 예측한다.     특히 기독교인들이 말하는 주님 오시는 날은 다름 아닌 기후재앙으로 더 이상 인간들이 지구에 살 수 없는 날이 될지도 모르겠다. 이종찬 / J&B 푸드 컨설팅 대표 [email protected]환경관련 뉴스 온라인 환경선교사 친환경 제품

2022-08-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