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SD시정부 허리띠 졸라맨다

샌디에이고 시정부가 막대한 재정부족 사태 해결을 위해 과감한 긴축정책 방침을 밝혔다.     토드 글로리아 시장(사진)은 지난 18일 시정부 조직의 대대적인 개편 등을 골자로 한 예산삭감 계획을 발표했다.   샌디에이고 시정부는 현재 2억5000만 달러가 넘은 막대한 규모의 재정적자 상황에 직면해 있어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조만간 시정부의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리아 시장은 특히 본인이 시정부 운영을 직접 챙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현재 시정부 조직에서 최고 운영자인 COO(Chief Operating Officer) 직책이 사라질 것이라는 의미다.   글로리아 시장은 이날 2022년부터 COO로 일해 온 에릭 다간의 실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이번 조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행정 효율성은 높일 수 있는 시장 직할체제(Strong Mayor)의 전면적 실행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글로리아 시장은 "이로 인해 절감될 500만 달러 이상의 예산은  순찰 경관 인력 유지와 소방서 운영, 도로 보수, 노숙자 문제 해결 등에 사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번 개편으로 인해 시정부 내 31개 직책이 즉시 축소되며, 이로 인해 연간 약 5억3000만 달러의 예산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는 게 시장의 설명이다.   또 꼭 필요하지 않은 직책의 채용 동결을 유지하며 현재 공석중인 16개의 고위 관리직도 없앨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리아 시장은 "시민들은 지금 시정부가 어려운 결정을 내리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면서 "더 어려운 결정을 피하기 위해 미리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경찰, 소방, 응급 구조대 서비스는 여전히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하기도 한 글로리아 시장은 홈리스 문제 해결을 위해 샌디에이고 카운티 및 주교통국(Caltrans) 같은 기관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샌디에이고시는 지난해 11월 주민투표에서 판매세 1센트 인상안(Measure E)이 부결되면서 추가적인 재정 확보 방안을 즉각 마련해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김영민 기자허리띠 정부 샌디에이고 시정부 시정부 조직 현재 시정부

2025-02-20

물가 급등에 허리띠 졸라맨다

#. 한인 직장인 A씨는 최근 집주인으로부터 렌트를 월 300달러 올리겠다는 통보를 받았다. 현재 렌트는 2000달러였는데, 15% 인상을 통보한 것이다. 그는 “물가 오름세를 감안하면 15% 인상은 감사해야 할 수준이라 이사는 가지 않기로 했다”며 “이사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4인 가족인 J씨는 외식을 하지 않은 지 오래다. 평범한 메뉴를 먹어도 팁까지 합하면 200달러는 훌쩍 쓰게 되기 때문이다. 그는 “양도 적어진 데다 재료도 부실한 경우가 많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살인적인 물가에 뉴욕 일원 한인들도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고 있다. 특히 뉴욕 일원에서 높은 렌트는 피할 수 없는 만큼, 외식이나 각종 구독서비스 등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새어나가는 비용이 없는지 체크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비싼 스트리밍서비스는 하나만=20일 동영상 스트리밍업체 넷플릭스는 올해 2분기에 97만명이 구독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만 3개월간 구독을 중단한 사람이 130만명에 달했다. 최근 넷플릭스 구독을 중단한 A씨는 “넷플릭스 요금도 오른 데다 자주 이용하지 않는 것 같아 아까운 생각이 들었다”며 “자주 보는 서비스 하나만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푼도 아깝다는 생각에 스마트폰 플랜도 저렴한 플랜으로 바꿨고, 음악 스트리밍서비스도 지인들과 공유하기로 했다.     ◆배달·외식 당분간 안녕=배달 앱을 지우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K씨는 “팬데믹을 겪으면서 배달 주문이 습관이 됐는데, 배달 팁에도 돈이 많이 들고 건강에도 좋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배달을 줄이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외식도 절반 정도로 줄였다. 그는 “워낙 미디어에서 물가가 올랐다고 하니 팁도 적게 주면 죄책감이 드는 상황이 됐다”고 토로했다.   ◆직접 해 먹는 게 최선이지만…식료품도 고공행진=문제는 식료품 가격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농무부(USDA)에 따르면 올해 초 12개 평균 1달러60센트 수준이던 계란 가격은 7월 현재 3달러를 넘어섰다. 한인마트에서만 구할 수 있는 식재료 가격도 급등했다. 전업주부인 S씨는 깻잎·팽이버섯 등 한식용 채소 대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채소로 대체하고 있다. 그는 “지인들과 만나면 물가 얘기가 주된 대화 주제”라며 “당분간은 이렇게 버티는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쓴웃음을 지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허리띠 물가 물가 급등 물가 오름세 물가 얘기

2022-07-20

뉴욕시, 허리띠 졸라맨다

 안전과 공평한 경제회복에 초점을 맞춘 뉴욕시 2022~2023회계연도 예비 행정예산안이 공개됐다.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7월 1일부터 시작되는 새 회계연도를 위한 985억 달러 규모 예비 행정예산안을 발표했다. 이는 현 회계연도의 1065억달러 대비 약 7.5% 줄어든 것이다. 전체 예산은 줄었지만, 세수가 늘고 불필요한 지출은 대폭 줄이며 20억 달러 규모를 절약했다고 밝혔다. 아담스 시장은 “시 기관에 3%씩 예산 삭감을 요구하는 ‘간극제거프로그램(PEG)’으로 계획된 지출을 줄였다”고 밝혔다.   예비 행정예산안은 ▶범죄해결 등 공공안전 ▶공평한 경제회복 ▶낭비없는 지출 등에 초점을 뒀다. 최대 화두는 역시 ‘안전’이다.   그러나 아담스 시장은 뉴욕시경(NYPD) 예산 확대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그는 NYPD 예산 관련 질문에 “기본적으로 고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돈을 더 쓰는게 필요한 것은 아니고, 제대로 써야 한다”고도 했다. NYPD에는 54억 달러가 배정돼 현 회계연도(56억 달러) 대비 줄었다. 시 교육국(DOE·약 311억 달러) 등 대부분 기관 예산도 감소했다.   대신 일하는 젊은 뉴요커를 위한 예산을 배정했다. 근로소득세액공제를 2억5000만 달러로 확대해 세금부담을 덜고, 저소득층 교통비를 할인하는 ‘페어 페어스’(Fair Fares)에 7500만 달러를 지원한다.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엔 세금공제를 하는 등 양육 부담 때문에 일자리로 복귀하지 못하는 이들을 고려한 예산도 책정했다. 김은별 기자허리띠 뉴욕 뉴욕시 허리띠 예비 행정예산안 2023회계연도 예비

2022-02-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