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름다운 우리말] 잣 가지 높아 서리 모르실 님

‘잣 가지 높아 서리 모르실 님이시여!’는 신라 향가 ‘찬기파랑가’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헌화가에서는 붉게 핀 꽃이 나옵니다만, 남아있는 향가 중에서 나무의 종류가 나오는 것은 잣나무가 유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잣나무가 어쩌면 기록 속에 남아있는 순우리말로서는 가장 오랜 나무 이름일 수 있겠습니다.     잘 자란 잣나무는 매우 큰 키를 자랑합니다. 40m 이상 자라기도 합니다. 잣나무는 키가 크고 열매가 위쪽에 열려서 잣을 따기에 매우 고생한다고 합니다. 그러기에 서리 정도의 고통은 모른다고 이야기했을 것입니다. 고고함을 비유하기에는 잣나무만 한 것이 없습니다. 잣나무는 우리의 기상을 나타냅니다. 요즘에는 잣나무보다는 소나무를 주로 기상을 나타내는 비유로 쓰는데, 우리 시가인 향가에서는 최초의 비유로 잣나무를 사용한 겁니다.   잣나무는 어떤 나무일까요? 잣나무를 소나무와는 완전히 다른 것처럼 생각하지만 잣나무와 소나무는 그다지 다르지 않습니다. 구별이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바늘 모양 잎이 다섯 개씩 뭉쳐나는 것이 잣나무, 두세 개가 달린 것을 소나무로 구별합니다. 참고로 최근에 알게 된 것입니다만, 우리가 알고 있는 ‘홍송(紅松)’은 소나무가 아니라 잣나무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합니다. 놀라운 일이지요. 중국에서는 잣나무를 홍송이라고 합니다.   잣나무에는 더 놀라운 비밀이 있습니다. 잣나무는 바로 우리나라의 나무라는 점입니다. 잣나무의 학명인 ‘Pinuskoraiensis’ 자체가 한국 소나무라는 뜻입니다. 즉 ‘Korean Pine’이 바로 잣나무입니다. 중국에서는 예전에 잣나무를 ‘신라송(新羅松)’이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일본어로 하면 ‘조선송(朝鮮松)’입니다. 어떤 학명에 Korean이 들어가면 반갑습니다. 이 땅을 원산지로 하는 식물이니 우리를 닮았고 우리가 닮은 식물입니다. 동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땅에서 살고 발견되는 동물은 우리보다 더 오래 이곳을 지켜왔을 겁니다.   잣나무는 건축이나 가구에 널리 쓰이는 나무입니다. 잣나무의 잣은 열매의 이름입니다. 소나무, 전나무 등과는 달리 열매도 우리에게 익숙합니다. 잣기름으로 사용하거나 팥죽이나 식혜 등에 넣어서 먹기도 합니다. 또한 잣나무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 피넨이라는 물질을 내뿜습니다. 잣나무 숲이 치유에 도움이 되는 겁니다. 잣나무는 나무의 모든 부분이 우리와 가까운 고마운 나무인 셈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평이 잣나무로 유명합니다. 특히 축령산(祝靈山)에는 하늘을 향해 쭉쭉 뻗은 잣나무가 감탄을 자아냅니다. 그곳에 ‘잣 향기 푸른 숲’이라는 치유의 숲이 있습니다. 약 1시간 반 정도의 멋진 숲길이 이어집니다. 잣나무가 뿜은 피톤치드로 말 그대로 치유가 이루어지는 숲입니다. 최근에는 입구 쪽으로 ‘무장애 나눔 길’이 생겨서 몸이 불편한 분들도 잣나무 숲 향기를 즐길 수 있습니다.   축령산은 이름 그대로 신령한 산이고 제사를 지내던 산이라는 점에서 서리 모르는 잣나무 숲이 참으로 어울립니다. 축령산을 오르다 보면 고려말 이성계가 사냥하며 쉬었다는 수리바위와 남이(南怡)장군이 수련을 하였다는 남이바위가 나옵니다. 쩌렁쩌렁한 기개가 느껴지는 곳입니다. 잣나무 숲에 잘 어울리는 이야기들입니다. 한편 축령산을 오르는 사람들은 바로 가까이 있는 서리산을 함께 오릅니다. 연계산행이라고 하는데, 산 이름이 서리산인 게 왠지 흥미롭습니다. 찬기파랑가에서 서리를 모르는 잣나무라고 하였는데 말입니다. 잣나무 숲을 지나면 서리산이 나오니 재미있습니다.       왠지 걷고 싶을 때, 힘들 때, 외로울 때 잣나무 숲을 걸어보기 바랍니다. 우리의 뿌리를 느끼며, 오랜 세월 이 땅을 지켜온 힘을 느끼며 걸음을 옮겨 보세요. 새로운 향기를 맡으실 수 있을 겁니다. 잣 향기에 세속의 때를 떨구고 서리마저 이겨내는 기(氣)를 받아 보세요.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서리 소나무 전나무 서리 정도 신라 향가

2022-09-18

[이 아침에] 향가를 다시 읽다

우리나라는 역사가 깊은 만큼 주옥 같은 문학작품들도 많이 전해지고 있다. 신라시대 한자의 음과 뜻을 빌린 향찰로 표기한 향가가 14편 전하고 있다. 먼 옛날에 쓰여진 향가들이 오늘까지 깊은 공감을 갖게 하는 내용이 있는가 하면 어쩐지 의아한 느낌을 갖게 하는 글도 있다.     먼저 경덕왕 때 월명사가 지은 ‘제망매가’는 일찍 죽은 누이를 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에 비유하고 있다. ‘생사로는/ 여기 있으매 두렵고/ 나는 간다 말도 못다 이르고 갔느냐/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여기저기 떨어지는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는구나.’ 1300여년이 지난 지금 읽어도 죽은 누이에 대한 슬픔이 극진하게 전달 되고 있다. 또한 경덕왕 때, 충담사가 화랑 기파랑(耆婆郞)을 추모하여 지은 ‘찬기파랑가’도  기파랑의 고결한 마음을 냇물에 비친 달의 모습과 서리에 굽히지 않는 잣나무에 빗대어 찬양하는데 뛰어난 수사법 사용으로 문학적 가치가 높다.     그러나 ‘헌화가’는 읽을수록 다르게 느껴진다. 그 전문은 ‘자줏빛 바윗가에/ 잡고 있는 암소를 놓게 하시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신다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이다. 이는 신라 성덕왕 때에 순정공이 강릉태수로 부임해 가는 길에 일행이 바닷가에서 점심을 먹을 때였다. 그의 아내 수로부인이 천길 바위 봉우리 위에 핀 철쭉꽃을 갖고 싶다고 말했으나 주위에 있던 시종자들은 위험하다 하여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그 때 암소를 몰고 지나가던 노인이 이 말을 듣고 꽃을 꺾어 바치며 불렀다는 노래이다.   그런데 이 설화를 좀 더 확장해서 구체화해 본다면, 이 노인이 꽃을 꺾으러 바위를 오르는 모습은 주위 사람들의 손에 땀을 쥐게 했을 것이다. 이때 들에서 일하고 돌아오는 견우노옹의 뒤에는 부인이 따라가고 있었다. 앞서 가던 영감이 소를 놓고 갑자기 천길 벼랑에 붙어서 기어올라가고 있었다면 부인은 어떤 눈길로 바라보았을까?     이 시의 중심 사상은 대체적으로 ‘신라인의 낭만적 사랑과 미의식 또는 수로부인의 아름다움 예찬’으로 정리되었는데 좀 허전한 느낌이 든다. 생업에 필수적인 소를 놓아버리고 왜 낭떠러지에 기를 쓰고 올라갔는가? 그 자발적인 행동의 원동력은 어디에 있는가? 당시 고관대작 부인이라는 사회적 권력을 향한 맹목적인 복종의 관념 때문인가? 아니면 천둥 같은 남편 순정공이 옆에 있건 말건 아름다운 여인에게 꽃을 바치고 싶은 순수한 사랑 때문인가? 현실적인 주변 관계를 저버린 이런 돌발적인 행동이 지고지순함이라는 이유 때문에 존중받아야만 하는가? 처음 본 절세미인을 위해 위험천만의 결정을 감행하는 용기도 낭만으로 미화되어야 하는가?     문학을 통해 그 당시 상황을 상상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저렇듯 무모하게 행동하는 남편에게 할머니는 어떠한 말을 할 수 있었을까? 어쨌든 이런 소중한 작품을 남긴 작가에게 찬사를 보내며, 고려 충렬왕 때 ‘삼국유사’를 쓴 일연 선사에게 감사해 마지 않는다. 삼국의 야사와 불교적인 내용과 더불어 구전되어 사라지기 쉬운 고전문학을 기록으로 남겨 놓은 업적이 지대하다. 가끔씩 고전 문학을 다시 꺼내서 천편일률적인 주제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에서 살펴보는 일은 흥미롭다.   권정순 / 전직 교사이 아침에 향가 아내 수로부인 남편 순정공 신라시대 한자

2022-07-0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