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수필] 산사자 P-22의 교통사고

‘이젠 P-22 이야기는 그만하시지!’라고 남편이 말했다. 그러고 보니, 나는 지난해 12월부터 P-22에 관한 기사를 접할 때마다 그 내용을 남편에게 알린 것 같다. 산사자(山獅子) P-22에게 자꾸 신경이 쓰였기 때문이다.     P-22는 LA 도심에서 살았던 마운틴 라이언(mountain lion)의 이름이다. 작년 12월 안락사할 때까지, 약 12년을 샌타모니카 산 동쪽 끄트머리에 있는 그리피스파크(Griffith Park)를 거처로 삼고 살았다. 샌타모니카 산은 서쪽 태평양에서 시작하여, 약 40마일가량 동쪽으로 펼쳐져 있는 산맥이다. 서쪽 부분의 산은 넓고, 산림이 풍성하다.     서쪽에서 태어난 것으로 믿어지는 P-22가 남북으로 이어지는 405 프리웨이의 차선 10개를 건너고, 세계에서 가장 번잡하다고 알려진 북서-남동쪽 방향으로 통하는 101 고속도로를 가로질러서 어떻게 그리피스파크까지  도달했는지, 왜 그곳을 떠나지 않고 살았는지 알려진 것이 없다.     시라소니, 사자, 호랑이, 표범, 산사자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동물들이다. P-22라는 이름은 2002년 국립공원 서비스국(National Park Service)이 산사자 생태 연구를 시작하면서 퓨마(puma)에서 첫 글자 ‘P’를 가져온 것이다.     ‘P’에 이어 붙여진 숫자는 포획된 순서대로 붙인 것으로, 001에서 시작했고, 2021년 11월에 100번째의 ‘P’에 도달했다. 그러니까 녀석은 22번째로 잡힌 산사자였다. 첫 번째인 P-001은 P-22의 아버지라고 한다.     녀석이 차에 치였다는 제보가 들어 온 것은 사건이 발생한 지 이틀이나 지난 후였다고 한다. P-22는 차에 치인 후, 그리피스파크 인근 지역인 로스펠리츠 지역의 어느 주택 뒷마당에 들어가 이틀을 앓았는데, 정작 집주인은 그 사실이 보도될 때까지 이를 몰랐다고 한다. 제보를 받은 후에, 녀석의 GPS 목걸이를 통해서, 거처를 찾았고, 녀석은 샌디에이고 동물원으로 옮겨져 정밀 검사를 받았다. 찻길 사고로 안구 손상, 두개골 골절, 횡격막 파열이 있었고, 신장기능 저하 같은 지병도 많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안락사가 현명한 조치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P-22의 교통사고와 녀석의 안락사 소식은 LA 주민들뿐 아니라, 세계의 많은 동물 애호가들을 안타깝게 했다. 10년 전, 할리우드 사인을 뒤로 한 녀석의 사진이 네셔널지오그라피 잡지에 실리면서, 도심에서도 야생동물이 함께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이 알려졌다. 사진은 스티브 윈터스 사진 기자가 6개의 카메라를 장치해 놓고, 15개월 동안 기다렸다가 포착한 사진이었다.     P-22의 존재는 도심지에 사는 야생동물을 보호하자는 사회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작년 4월에 101 고속도로 구간 중에 아고라힐스 지역에 ‘야생동물 건널목(Wildlife Crossing)’이 만들어졌다. 또 LA통합교육구(LAUSD)에서는 ‘P-22 데이(Day)’ 인 10월 22일에 야생동물 관련 클래스를 하기로 했다. 아담 쉬프 연방하원의원은 P-22가 가주의 영원한 동물임을 뜻하는 의미에서 우표제작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얼마 전에는  P-22 와 P-22로 인해 축복받은 우리들의 삶을 재조명하는 행사도 있었다.   P-22의 때로는 위태롭고 험난했었을 도시에서의 삶을 상상해 본다. 넓지 않은 지역에 갇히다시피 고립되어서 살았다. 다른 산사자 친구도, 애인도 없었다. 인위적인 죽음은 생명의 윤리를 재고하게 한다. 그뿐만 아니라, 거미줄처럼 종횡하는 수많은 도로에서 질주하는 자동차가 우선적인 캘리포니아에는 로드킬의 참사가 많다. 2022년 3월부터, 9마리의 산사자가 차에 치여 죽었다는 통계이다.     이번 타임(TIME) 지의 ‘더 뷰(The View)’ 색션에는 ‘윤리: 인간이 동물에게 진 빚’이라는 제목으로 P-22뿐만 아니라, 인간이 빼앗은 다른 동물들의 권리에 대한 포괄적인 리뷰 기사가 실렸다.     또 LA타임스를 비롯한 언론들은 P-22의 이야기를 계기로 인간이 침범한 동물 세계, 그로 인한 막대한 생태학의 변화, 멸종위기, 앞으로 우리가 보강하고 개선해야 할 지침 등의 이슈를 제기하고 나섰다. 고맙다.   그런데 아직  P-22 문제는 종결되지 않았다. 녀석의 사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린다. 실험용으로 쓰자는 과학자들, 박물관에 박제해서 전시하자는 의견, 온전히 그대로 땅에 묻어 자연으로 돌아가게 해야 한다는 아메리칸 인디언의 주장 등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P-22가 살아있는 동안, GPS가 달린 목걸이를 7번이나 교체해 과학적 자료는 충분히 얻었을 것 같다. 나는 아메리칸 인디언 편이다. P-22가 자연으로 다시 돌아가도록 해 주자. 전월화 / 수필가수필 교통사고 산사자 표범 산사자 산사자 생태 샌디에이고 동물원

2023-02-16

[수필] 흑 호랑이 해를 맞으며

새해는 임인년이다. 우리 민족의 기상과 혼과 용맹을 상징하는 호랑이 해다. 호랑이는 예로부터 용맹함으로 우리 민족의 드높은 기상을 상징하는 영물 중의 영물로 알려져왔다.     특히 새해는 귀한 흑 호랑이 해다. 호랑이띠로 태어난 각계 인사들은 자기들 세상을  만났다고 웅비의 기지개를 켜며 큰 꿈이 성취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기대에 부풀어 있다.     호랑이띠로 태어난 사람 대부분은 의리가 있고 추진력이 강하며 카리스마가 넘치는 리더로 용맹성을 발휘한다고 한다.   짐승 가운데 힘만 자랑한다면 사자가 으뜸이 될지 모르지만 사자는 영물이 못 된다.     호랑이는 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눈이 유별나게 반짝이고 수정같이 맑다. 거울처럼 사람을 비출 것 같은 투명한 반사체처럼 보인다. 눈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인간이 자기도 모르게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신비한 영험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호랑이를 영물로 취급하여 우리 민족은 호랑이를 무척 사랑하고 귀하게 다룬다.   고래로부터 우리나라 화가들이 그리는 벽화나 산수화나 묵화 등을 보면 호랑이 그림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만큼 호랑이는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 문화 속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우리 민족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우리 민족의 기상과 혼과 용맹을 과시하는 동물로 묘사되어 있다.   우리 속담에 ‘호랑이 굴에 들어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들으면 어떻게 힘센 호랑이한테 잡혀서 살아남을 수가 있겠는가 하고 의문이 생긴다.     하지만 호랑이는 영물이기 때문에 인간의 눈빛을 통해서, 조용한 묵시를 깨닫고 호랑이가 뭔가 느끼고 깨달아 그 사람을 잡아 먹지 않고 살려준다는 놀라운 뜻이 담겨 있는 말이라고 한다.   호랑이는 힘이 매우 세다. 특히 호랑이의 앞발은 엄청난 위력이 있어서 소, 멧돼지, 노루 같은 덩치 큰 짐승도 단 일격에 두개골을 부수어 버릴 수 있다. 또 하루 저녁에 천 리를 달릴 수 있고 제 몸무게만큼 되는 먹이를 입에 물고 높이가 3m나 되는 담을 뛰어넘을 수가 있다.     호랑이의 이 엄청난 힘은 바로 뼈에서 나온다. 호랑이 뼈는 단단하기로 소문나 있다. 특히 호랑이의 앞 정강이 뼈는 강철만큼이나 단단하여 도끼로 내리치면 도끼날이 부러지고 쇠톱을 갖다 대면 톱날이 망가져 버린다고 한다. 조금은 과정일 수 있으나 그만큼 호랑이 뼈가 단단하다는 것을 뜻한다.     호랑이의 몸 전체의 힘이 앞다리에 모여 있기 때문에 앞 정강이 뼈가 이처럼 단단하다고 한다. 나도 호랑이띠라 호랑이 뼈를 닮았는지 내 나이에 골다공증도 없다. 특별히 뼈가 좋아지는 약을 먹은 적도 없는데 내 뼈는 참 튼튼하다.     마루가 미끄러워 대나무 마루로 바꾸어 깔았는데도 두 번이나 마룻바닥에서 미끄러져서 엉덩방아를 찧으며 뒤로 넘어져 응급실로 실려 가는 소동을 겪었었다. 이 정도라면  뼈에 심각한 손상이 생기는 것이 당연한데 내 고관절은 금하나 간 데 없이 정상이었다.   의사가 고개를 갸우뚱하면서 내 나이에 비해 신기하리 만큼 뼈가 튼튼하다며 큰 축복이라고 했다. 고관절을 다치면 대부분 죽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나는 호랑이띠로 태어난 것을 천만다행으로 생각했다. 임꺽정이나 수호지에 나오는 호걸 무송이 호랑이처럼 기운이 세 맨손으로 호랑이를 때려잡은 얘기가 나온다. 호랑이처럼 통뼈나 고리 뼈를 이들은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런 사람은 몇천만 명에 하나 꼴로 매우 드물게 태어난다는 얘기다.   우리 속담에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호랑이는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란 말이 있다. 호랑이는 종류도 많아 색깔도 다르고 털 무늬도 다르다. 또한 호랑이 털은 가죽과 함께 아주 귀한 털가죽으로 인간에게 애용되고 있다. 특히 표범 털가죽은 색깔이 알록달록해서 더욱 인간에게 사랑받는 털가죽이다.   다사다난했던 신축년 한해도 저물고 새해에는 아주 귀하게 찾아 온 흑 호랑이 해를 맞았다. 우리 민족의 웅지를 펴는 놀라운 한 해가 되기를 원한다. 흑 호랑이란 말에 걸맞게 우리나라가 도약하고 더욱 발전하기를 바라 마지않는다.     나에게도 얼마나 소망이 되는 해가 될 것인가 생각만 해도 가슴이 뛴다. 내가 호랑이띠로 태어났기 때문이다.   새해에는 나에게 정녕 좋은 일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나님 믿는 사람이 미신이라고 평생을 띠 얘기만 나오면 일축해 버렸지만 띠는 미신이 아니고 통계라고 얘기해준 어떤 목사님을 기억한다.     임인년 새해를 맞이하여 마음껏 호랑이처럼 활기차게 뛰어 보고 싶다. 코로나도 물러가고 소망이 넘치는 한 해가 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김수영 / 수필가수필 호랑이 산수화 호랑이 그림 표범 털가죽 우리 민족

2022-01-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