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애빌린 패러독스
직장 상사들은 술에 만취해 집에 들어와서 이렇게 이야기를 한다. “부하 직원들이 술 먹고 싶어 하는 거 같아서 어쩔 수 없이 한잔 샀어.” 같은 시각에 부하직원은 집에 들어 가서 자기 아내한테 이렇게 이야기한다. “상사가 술 한잔 하자기에 거절도 못하고 억지로 먹었어.” 결국 서로가 상대방을 배려하다 보니까 원하지도 않는 술자리를 가진 것이다. 조지워싱턴대의 제리 하비 교수의 책 ‘애빌린 패러독스’에서 그는 이런 문제를 다룬다. 우리가 조직 속에서 매일 경험하는 이상하지만 전혀 이상하게 보이지 않는 일들이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일말의 설명이다. 개별적으로 보면 똑똑한 사람들이 조직 속에만 들어가면 왜 바보처럼 행동하는지, 왜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직 속에서 자기는 그저 조직이 시키는 대로 열심히 일만 하면 자신의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믿는지를 생각해보도록 한다. 하비 교수가 ‘애빌린 패러독스’라고 이름 지은 이 같은 현상은 조직 내부에서 벌어지는 의사소통의 문제, 즉 조직 구성원 누구도 자기의 생각을 정확하게 말하지 않음으로써 조직이 조직 구성원 누구도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1970년대 초 어느 한여름, 텍사스 출신 하비 교수 부부는 텍사스 콜만에 있는 장인장모 댁에 머문 적이 있었다. 무더운 여름날, 장인장모 부부와 하비 교수 부부 네 사람은 더위에 지쳐 거실에 앉아 도미노 게임을 하면서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었단다. 그때 장인이 불현듯 한 가지 제안을 한다. 애빌린에 다녀오자는 것이었다. 애빌린은 콜만에서 53마일 떨어져 있는 곳이었다. 그곳은 식당도 제대로 없는 별 볼 일 없는 곳이었다. 그런데 무슨 생각에서인지 하비 교수의 부인도 장인의 제안에 찬성을 한다. 이때 하비 교수는 분위기를 깨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동조를 한다. 네 식구는 살인적인 더위에 에어컨도 나오지 않는 1958년식 뷰익을 타고 텍사스의 모래 먼지를 뒤집어쓰며 왕복 두 시간 이상이나 운전을 해서 애빌린에 가서 저녁을 먹고 온다. 형편없는 식당에서 맛없는 식사와 미지근한 맥주에 불친절한 서비스를 받고 그들은 집으로 돌아온다. 집에 돌아와서는 하비 교수가 먼저 입을 열었다. “오늘 외식 그런대로 괜찮았죠?” 그러자 장모가 이렇게 이야기를 했다. “솔직히 말해서 난 하나도 안 좋았어. 집에 그냥 있을 걸 그랬어. 나는 이 양반하고 너희들이 애빌린에 가고 싶어해서 따라 갔을 뿐이야.” 그러자 하비 교수가 말했다. “저도 처음에 가고 싶지는 않았어요. 장인어른과 아내가 가고 싶어 하니까 할 수 없이 따라간 겁니다.” 그러자 하비 교수 아내는 어처구니없다는 표정을 지으면서 자기도 가기 싫었었다고 이야기를 했다. 그러자 장인은 아까 서로 아무 말도 안하고 있는 분위기가 너무 어색해서 그것을 깨려고 자기도 가고 싶지 않았던 애빌린에 가자는 말로 분위기를 깬 거라고 이야기를 했다. 하비 교수 가족들은 결국 애빌린에 가고 싶어 했던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만장일치로 애빌린에 갔다 왔던 것이다. 수많은 조직과 조직 구성원들이 실제로 자신들이 원하는 바와는 전혀 다른 목적지로 가는 경우가 있다. 하비 교수에 따르면 이런 일이 일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자기 생각이나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지 않거나 못하기 때문인 것이다. 자기 자신을 위해서도 그리고 조직을 위해서도 애빌린 패러독스가 생기지 않도록, 정확한 의사표시에 의한 소통을 해야만 조직구성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이 갈 수 있다. 오늘 하루라도 분노하지 말고 구성원들의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경청해 보자. 아니 나부터 먼저 하고 싶은 말을 한번 해보자.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패러독스 애빌린 조직 구성원들 애빌린 패러독스 조직구성원 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