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미쉐린 식당 출신 한인 셰프, '패스트 캐주얼' 식당에 도전

뉴욕 미쉐린 식당 등에서 커리어 쌓아 "캐주얼한 식당에서 건강 음식 제공"   미쉐린 식당 출신 한인 잭 김 셰프가 조지아주 챔블리에 ‘패스트 캐주얼’ 컨셉의 식당 ‘단비 시즈널 키친(Danbi Seasonal Kitchen)’을 열었다.   잭 김(41) 셰프는 90년대에 뉴저지로 이민 온 한인 1.5세로, 아메리카 컬리너리 대학(CIA)에서 요리 공부를 시작했다. 그는 고급 레스토랑 뉴욕 노부(NoBu)에서 첫 직장을 얻었으며, 미쉐린 가이드에 이름을 올린 조조 바이 장조지, JYP 엔터테인먼트가 오픈한 뉴욕의 ‘크리스탈벨리’ 등에서 커리어를 쌓았다. 2013년~2021년까지 한국에 거주하며 호주 프랜차이즈 ‘빌즈’의 한국 진출을 도맡았다.   김 셰프는 “일부러 다양한 스타일의 식당에서 일했다”며 “내가 요리를 좋아했고, 사람들이 내 요리를 맛있게 먹어주는 모습을 보는 게 행복했다”고 말했다.   김 셰프는 “모든 셰프는 ‘내 가게’를 여는 꿈이 있다”며 그 꿈을 이루기 위해 2021년 애틀랜타로 와 오픈 키친 컨셉의 가게를 챔블리에 연 지 두 달째다. 챔블리를 택한 이유는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커뮤니티가 식당의 요리 스타일과 맞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패스트캐주얼’이라는 컨셉은 그의 식습관에서 영감을 얻었다. 고된 식당일이 밤늦게 끝나면 정크 푸드를 많이 먹었는데, ‘카바(CAVA),’ ‘스위트그린’ 등 건강하지만 캐주얼한 식당을 표방하는 프랜차이즈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그는 “패스트캐주얼 컨셉은 좋은데, (프랜차이즈의) 내용물은 부실했다. 음식 맛이 없다”며 이를 보완한 버전인 ‘단비’ 창업을 결심했다고 전했다. “건강한 음식을 컨셉으로 잡은 패스트캐주얼 요식업계에 ‘단비’가 되고 싶다는 뜻을 담았다”고 덧붙였다.   단비는 계절별로 5~6개 메뉴만을 제공한다. 현재 가게에서 파는 메뉴 6개 모두 김 셰프가 다양한 요리 스타일을 접목시켜서 고안해냈다. 그는 “메뉴가 많으면 퀄리티가 떨어진다”고 언급하며 맛을 위해 메뉴 변경 요청사항은 받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신선한 제철 식자재로 전문 셰프가 즉석에서 음식을 만든다.   연어,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등 모든 메뉴는 각기 다른 고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비건 메뉴도 두 개나 있다. 제육볶음, 오이 김치, 달걀말이가 들어간 메뉴도 있다. 브리스킷브루기뇽, 샤와르마 치킨, 케일 샐러드가 인기가 많다.   단비는 팁을 받지 않는다. 김 셰프는 “우리는 풀 서비스 레스토랑이 아니다. 카운터 서비스 식당에서 팁을 요구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말했다.   단비는 월~토요일 오전 8시부터 영업한다. 아침 메뉴는 오전 8~11시까지 제공하며, 가게에서 파는 빵도 모두 직접 만든다.   ▶홈페이지=eatdanbi.com, 주소=3432 Clairmont Rd, Atlanta, GA 30319 취재, 사진 / 윤지아 기자 윤지아 기자챔블리 패스트 패스트캐주얼 컨셉 패스트캐주얼 요식업계 셰프 챔블리

2025-02-04

[우리말 바루기] ‘컨셉’은 바른 표기일까?

다음 중 바른 표기를 고르시오.   ㄱ.컨셉 ㄴ.컨셉트 ㄷ.콘셉 ㄹ.콘셉트   아마도 대부분 사람이 맞는 표기로 ‘ㄱ.컨셉’을 골랐으리라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컨셉’이라 얘기하기 때문에 가장 익숙하다. 그러나 정답은 아니다.   알다시피 해당하는 영어는   ‘concept’인데 [t] 발음이 문제다. 사전적으로 분명하게 [t] 음가가 있기는 하나 대체로 강하게 발음하지 않아 없는 것처럼 들린다. 그래서 들리는 그대로 ‘컨셉’이라 적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외래어 표기에서는 원래 음가가 있는 것은 그대로 살려 적는다. 따라서 ‘컨셉’이 아니라 ‘컨셉트’가 된다. 그렇다면 ‘ㄴ.컨셉트’가 바른 표기일까?   그렇지 않다. ‘concept’에서 ‘con’의 발음이 다시 문제다. 영어로는 ‘칸’이나 ‘컨’에 가깝기는 하지만 이런 경우 외래어 표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콘’으로 통일해 적는다. ‘concert’를 ‘콘서트’로, ‘contents’를 ‘콘텐츠’로 적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들 역시 ‘con’이 ‘칸’ 또는 ‘컨’에 가깝지만 모두 ‘콘’으로 적는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콘셉트(concept)’라는 표제어를 올려 놓았다. 따라서 ‘ㄱ.컨셉’ ‘ㄴ.컨셉트’ ‘ㄷ.콘셉’이 아니라 ‘ㄹ.콘셉트’로 적는 것이 사전에 맞는 표기다.    ‘콘셉트’는 내키지 않는다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콘셉트’ 대신 ‘개념’ ‘관념’ 등 우리말로 바꿔 사용하면 된다. 우리말 바루기 컨셉 표기 외래어 표기

2024-09-26

[우리말 바루기] ‘컨셉’은 바른 표기일까?

다음 중 바른 표기를 고르시오.   ㄱ.컨셉 ㄴ.컨셉트 ㄷ.콘셉 ㄹ.콘셉트   아마도 대부분 맞는 표기로 ‘ㄱ.컨셉’을 골랐으리라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컨셉’이라 얘기하기 때문에 가장 익숙하다. 그러나 정답은 아니다.   알다시피 해당하는 영어는 ‘concept’인데 [t] 발음이 문제다. 사전적으로 분명하게 [t] 음가가 있기는 하나 대체로 강하게 발음하지 않아 없는 것처럼 들린다. 그래서 들리는 그대로 ‘컨셉’이라 적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외래어 표기에서는 원래 음가가 있는 것은 그대로 살려 적는다. 따라서 ‘컨셉’이 아니라 ‘컨셉트’가 된다. 그렇다면 ‘ㄴ.컨셉트’가 바른 표기일까?   그렇지 않다. ‘concept’에서 ‘con’의 발음이 다시 문제다. 영어로는 ‘칸’이나 ‘컨’에 가깝기는 하지만 이런 경우 외래어 표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콘’으로 통일해 적는다. ‘concert’를 ‘콘서트’로, ‘contents’를 ‘콘텐츠’로 적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들 역시 ‘con’이 ‘칸’ 또는 ‘컨’에 가깝지만 모두 ‘콘’으로 적는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콘셉트(concept)’라는 표제어를 올려 놓았다. 따라서 ‘ㄱ.컨셉’ ‘ㄴ.컨셉트’ ‘ㄷ.콘셉’이 아니라 ‘ㄹ.콘셉트’로 적는 것이 사전에 맞는 표기다.    ‘콘셉트’가 내키지 않는다면 대신 ‘개념’ ‘관념’ 등 우리말로 바꿔 사용하면 된다. 문맥에 따라선 ‘구상’ ‘의도’ ‘생각’ 등으로 바꿔도 된다.우리말 바루기 컨셉 표기 외래어 표기

2024-05-29

[우리말 바루기] ‘컨셉’은 바른 표기일까?

다음 중 바른 표기를 고르시오.   ㄱ.컨셉 ㄴ.컨셉트 ㄷ.콘셉 ㄹ.콘셉트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여서 표기와 관련해 질문이 많이 들어오기도 하고 또 불만이 많은 단어이기도 하다.   아마도 대부분 사람이 맞는 표기로 ‘ㄱ.컨셉’을 골랐으리라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컨셉’이라 얘기하기 때문에 가장 익숙하다. 그러나 정답은 아니다.   알다시피 해당하는 영어는 ‘concept’인데 [t] 발음이 문제다. 사전적으로 분명하게 [t] 음가가 있기는 하나 대체로 강하게 발음하지 않아 없는 것처럼 들린다. 그래서 들리는 그대로 ‘컨셉’이라 적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외래어 표기에서는 원래 음가가 있는 것은 그대로 살려 적는다. 따라서 ‘컨셉’이 아니라 ‘컨셉트’가 된다. 그렇다면 ‘ㄴ.컨셉트’가 바른 표기일까?   그렇지 않다. ‘concept’에서 ‘con’의 발음이 다시 문제다. 영어로는 ‘칸’이나 ‘컨’에 가깝기는 하지만 이런 경우 외래어 표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콘’으로 통일해 적는다. ‘concert’를 ‘콘서트’로, ‘contents’를 ‘콘텐츠’로 적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들 역시 ‘con’이 ‘칸’ 또는 ‘컨’에 가깝지만 모두 ‘콘’으로 적는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콘셉트(concept)’라는 표제어를 올려 놓았다. 우리말 바루기 컨셉 표기 외래어 표기

2023-11-27

설계와 컨셉도 내 마음대로 하는 새로운 집의 등장

집도 마찬가지로 기성품이지만 옵션과 선택지를 더욱 풍부하게 제시해 테일러메이드로 제공되는 슈트처럼 나와 우리에게 꼭 맞는 제품을 만들기 한결 쉬워졌다.     내게 꼭 맞는 집은 한 끗 차이의 감각과 미세한 기능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이 점을 간파한 부동산 디벨로퍼 아스터개발은 나와 우리의 니즈에 맞춰 꾸밀 수 있도록 취향을 고려한 집의 시대를 열고 있다.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일원에 공급하는 ‘카엘로 아스턴 논현’을 기점으로 말이다.     아스터개발이 내놓는 ‘카엘로 아스턴 논현’을 통해 고객들은 아스터그룹의 디자이너들과 직접 소통해 인테리어 컨셉을 설정할 수 있고, 개개인에 맞춘 커스터마이징 평면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상 속에만 머물던 스타일과 니즈를 있는 그대로 구현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카엘로 아스턴 논현’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나만의, 우리 가족만의 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주방, 가구, 욕실, 전등, 도어 등 감도 높은 해외 럭셔리 브랜드의 제품을 마감재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객들의 세세한 취향을 반영한 라이프 스타일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할 수 있게 했다.     일례로 아스터개발의 ‘카엘로 아스턴 논현’에는 커스터마이징 요소가 가미되는 독특한 키친 브랜드의 제품으로서 색상과 크기, 형태, 광택, 음영, 마감 등 모든 요소를 고객의 요구에 맞춰 제작 가능한 ‘오피치네 굴로(Officine Gullo)’의 제품이 마감재로 적용된다.     ‘오피치네 굴로(Officine Gullo)’는 아스터그룹이 국내 최초로 정식 수입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이태리 피렌체의 최상위 럭셔리 키친 브랜드로서 모든 마감재와 장식 등이 장인들의 수작업으로 제작된다.     단순히 나열된 몇 가지 제품들 중의 하나를 선택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단조로운 주방을 꾸리는 것과 달리 하나부터 백까지, 나의 취향과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키친 브랜드의 제품을 국내에서는 가장 먼저, ‘카엘로 아스턴 논현’서 만나볼 수 있는 것이다.     내게 맞춰가는 집이 아닌 나를 맞출 수 있는 집. 아스터개발의 ‘카엘로 아스턴 논현’에 허락된 가구 수는 총 28가구(공동주택 21세대, 오피스텔 7실)에 불과하다. 주거 기능 외에 취미, 여가, 문화 등 모든 기능을 총체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대형 평형으로 공급된다.     ‘카엘로 아스턴 논현’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갤러리는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부근에 있다. 브랜드 및 건축 철학과 의도를 구현해낸 공간으로 조성돼 있으며, 검증된 고객에 한 해 사전 예약제로만 운영된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컨셉 설계 아스턴 논현 인테리어 컨셉 키친 브랜드

2023-07-03

[우리말 바루기] ‘컨셉’은 바른 표기일까?

다음 중 바른 표기를 고르시오.   ㄱ.컨셉 ㄴ.컨셉트 ㄷ.콘셉 ㄹ.콘셉트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여서 표기와 관련해 질문이 많이 들어오기도 하고 또 불만이 많은 단어이기도 하다.   아마도 대부분 사람이 맞는 표기로 ‘ㄱ.컨셉’을 골랐으리라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컨셉’이라 얘기하기 때문에 가장 익숙하다. 그러나 정답은 아니다.   알다시피 해당하는 영어는 ‘concept’인데 [t] 발음이 문제다. 사전적으로 분명하게 [t] 음가가 있기는 하나 대체로 강하게 발음하지 않아 없는 것처럼 들린다. 그래서 들리는 그대로 ‘컨셉’이라 적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외래어 표기에서는 원래 음가가 있는 것은 그대로 살려 적는다. 따라서 ‘컨셉’이 아니라 ‘컨셉트’가 된다. 그렇다면 ‘ㄴ.컨셉트’가 바른 표기일까?   그렇지 않다. ‘concept’에서 ‘con’의 발음이 다시 문제다. 영어로는 ‘칸’이나 ‘컨’에 가깝기는 하지만 이런 경우 외래어 표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콘’으로 통일해 적는다. ‘concert’를 ‘콘서트’로, ‘contents’를 ‘콘텐츠’로 적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들 역시 ‘con’이 ‘칸’ 또는 ‘컨’에 가깝지만 모두 ‘콘’으로 적는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콘셉트(concept)’라는 표제어를 올려 놓았다. 따라서 ‘ㄱ.컨셉’ ‘ㄴ.컨셉트’ ‘ㄷ.콘셉’이 아니라 ‘ㄹ.콘셉트’로 적는 것이 사전에 맞는 표기다.   이러한 설명을 해도 ‘콘셉트’는 내키지 않는다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콘셉트’ 대신 ‘개념’ ‘관념’ 등 우리말로 바꿔 사용하면 된다. 문맥에 따라선 ‘구상’ ‘의도’ ‘생각’ 등으로 바꿔도 된다.우리말 바루기 컨셉 표기 외래어 표기

2022-12-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