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장으로 읽는 책] 카프카 『변신/시골 의사』

어느 날 아침, 그레고르 잠자는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침대에서 흉측한 벌레로 변해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 갑옷처럼 딱딱한 등을 대고 누워 있었는데, 고개를 살짝 들자 아치형의 각질로 뒤덮인 둥근 갈색 배가 보였고, 배의 볼록한 곳에 걸쳐 있던 이불은 금방이라도 흘러내릴 것 같았다. 몸통에 비하면 정말 형편없이 가느다란 다리들이 무수히 눈앞에서 속절없이 반짝거리고 있었다. ‘나한테 무슨 일이 일어난 거지?’   카프카 『변신/시골 의사』   아마도 세계문학사에서 가장 유명한 도입부가 아닐까. 내가 괴물인가. 세상이 괴물인가. 부모와 여동생을 위해 일밖에 몰랐던 일벌레 그레고르가 어느 날 진짜 벌레가 돼버린 얘기. 놀라고 슬퍼하던 가족들은 결국엔 “저게 완전히 뒈졌어요”라는 파출부의 말에 안도감을 느낀다.   독일어로 ‘카프카스럽다(kafkaesk)’는 터무니없고 위협적인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느끼는 불안과 혼란스러움을 뜻한다. 부조리한 세계, 혹은 거대 권력 앞에서 개인이 느끼는 무력감을 있을 법하지 않은 초현실적 상황으로 풀어낸 것이 카프카 문학이다. 소설가 배수아는 추천 글에서 “꿈을 문학의 한 장르로 만든 작가가 카프카”라며 “카프카는 양말을 뒤집듯 꿈과 현실을 역전시킨다”고 썼다. 8쪽 짜리 단편 ‘시골 의사’는 왕진을 나가는 시골 의사에 대한 이야기다. 초현실적인 풍경이 시선을 붙든다. 소설을 번역한 박종대는 “성적 욕망의 꿈이 만들어낸 한 편의 심령드라마”라고 소개했다.문장으로 읽는 책 카프카 변신 시골 의사 일벌레 그레고르 초현실적 상황

2025-02-12

[문장으로 읽는 책] 카프카의 아포리즘

“주인 나리, 어디로 가시나요?” “모른다.” 내가 대답했다. “단지 여기에서 떠나는 거야, 줄곧 여기에서 떠나는 거라고. 그래야만 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어.” “그럼 나리께서는 목적지를 아신단 말씀인가요?” 그가 물었다. “그렇다네.” 내가 대답했다. “내가 이미 말했잖아.” “‘여기-에서-떠나는 것,’ 그것이 내 목표야.”   편영수 엮고 옮김 『카프카의 아포리즘』   현대인의 불안과 소외, 부조리를 천착했던 카프카의 짧은 글 모음집이다. 폐결핵으로 생사의 기로에 선 그가 두 권의 팔절판 노트에 쓴 ‘아포리즘’, 메모장과 일기·편지 등에서 발췌했다. 인용문은 ‘출발’의 일부. 카프카 문학에 맞닿은 단상들을 읽는 재미가 있다.   “이 세상의 결정적인 특징은 덧없음이다. ~폐허에서 새로운 삶이 꽃핀다는 것은 삶의 지속보다는 죽음의 지속을 입증하는 것이다”(팔절판 노트). “세상의 때 묻은 눈으로 보면, 우리는 긴 터널 속에서, 그것도 입구의 빛이 더 이상 보이지 않고, 출구의 빛도 아주 희미해서 시선이 끊임없이 빛을 찾지만 입구도 출구도 어디인지 모를 정도로 빛이 사라져버린 지점에서 사고를 당한 열차 승객들과 같은 입장에 처해 있다”(팔절판 노트). “어른이 책상을 밀어서 아이가 카드로 만든 집이 무너지면, 아이는 화를 내지. 그러나 카드로 만든 집은 책상이 밀렸기 때문이 아니라, 그 집이 카드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무너진 거야”(막스 브로트에게 보낸 편지). “예술의 자기 망각과 자기 지양:도피인데 산책 혹은 공격인 척한다”(팔절판 노트). 양성희 /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문장으로 읽는 책 아포리즘 카프카 카프카 문학 입구도 출구 팔절판 노트

2024-09-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