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교회 출석자 4명 중 1명 "타종교에도 구원 있어"

개신교인의 신념이 흔들리는 것일까, 좀 더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일까.   최근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교회 출석자 4명 중 1명이 타종교에도 구원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목회데이터연구소가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인식을 직접 비교한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연구소 측은 보고서에서 이러한 결과를 '충격'이라는 용어로 대신했다.   본지는 이번 보고서를 분석, 각종 영역에서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인식 차이를 알아봤다.   개신교는 유일신을 믿는다.   이러한 통념과 달리 이번 조사 결과는 다소 의외다.   먼저, 개신교인에게 타종교의 가르침에도 진리가 있는지 여부를 물었다.   교회 출석자 2명 중 1명(48%)은 '타종교에도 진리가 있다'고 답했다. '모르겠다'라고 답한 응답자도 18%에 이른다. 사실상 교회에 정기적으로 출석하는 개신교인 5명 중 3명(66%)이 개신교 교리나 진리에 대해 확신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회 출석 여부와 관계없이 자신을 '개신교인'으로 규정한 응답자로 범위를 넓히면 비율은 더 높아진다.   개신교인 응답자의 56%가 '타종교에도 진리가 있다'고 응답했다. '모르겠다(18%)'까지 합하면 무려 74%에 이른다.   '가나안 성도'에게만 따로 물었다. '가나안'은 신앙은 있지만 교회를 '안 나가'는 교인을 일컫는 신조어다. 가나안 성도 응답자 중 80%는 '타종교의 가르침에 진리가 있다'고 답했다.     개신교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만을 주창한다.   구원의 문제에 대해서도 개신교인들은 불분명한 입장을 보였다.   우선 개신교인 전체로 보면 '타종교에도 구원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4%로 나타났다. '모르겠다(22%)'라고 답한 응답자도 있었다. '타종교에는 구원이 없다'고 답한 개신교인은 절반(44%)에도 못 미쳤다.   교회에 출석하면 그나마 구원에 대한 입장이 분명해졌다.   정기적으로 교회에 출석하는 경우 '타종교에도 구원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25%로 나타났다. 교회 출석자 4명 중 1명은 타종교에도 구원이 있다고 여기면서 개신교에 속해 있는 셈이다.   반면, 가나안 성도 응답자 중 62%는 '타종교에도 구원이 있다'고 답해 구원의 문제에 대해서는 개신교의 교리와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독교 문화에 대해서는 '삶'과 연결지었다.   개신교인들에게 '기독교 문화'에 대한 정의를 물었다. 10명 중 7명이 '교회 밖에서 기독교인으로서 살아가는 삶의 태도, 자세 등과 관련된 것'이라고 답했다.     '예배, 찬양, 율동, 행사 등 교회 내부에서의 활동과 관련된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8%에 그쳤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측은 "기독교 문화, 전통적인 교회 규범에 관한 인식이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념, 문화적으로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 사이의 인식 차이도 살펴봤다.   주관적인 정치적 성향에 대해 물었더니 자신을 보수적이라고 답한 개신교인(27%)이 비개신교인(24%)보다 많았다.     이슈별로 보면 또 다른 차이가 보인다.   먼저, 낙태와 관련해 개신교인 5명 중 3명(59%)은 '태아의 생명보다 여성의 결정권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비개신교인(77%) 역시 여성의 결정권을 중요하게 여겼다.   반면, 동성 결혼 이슈에 대해서는 입장차가 분명했다.   개신교인 5명 중 4명(80%)은 '동성 간 결혼 제도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동성결혼에 반대하는 비개신교인 응답자(58%)와 비교하면 22p 가량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에는 "개신교인이 대체로 비개신교인보다 조금 더 보수적 성향을 보였다"며 "단, 동성결혼 이슈에 대해서는 그 차이가 두드러졌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러한 인식은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주변에 성소수자가 있다는 개신교인 응답자 중 14%는 '불편하다'고 답했다. 이는 비개신교인(3%)의 응답과 비교하면 무려 4배 이상 차이가 있다. 그만큼 개신교인은 성 소수자, 동성결혼 이슈 등에 대해서는 보수적 성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 옆자리에 OOO가 앉으면 꺼리게 된다'는 질문에는 '노숙자'가 앉을 경우 꺼리게 된다는 응답이 개신교인(80%), 비개신교인(80%) 모두 동일했다.   또, 성소수자(개신교인 40%.비개신교인 32%), 장애인(개신교인 37%.비개신교인 38%), 노동자(개신교인.비개신교인 각각 26%), 70세 이상 노인(개신교인 15%.비개신교인 16%) 등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돈 있는 사람이 성공하는 사회인가'라는 질문에는 개신교인(90%), 비개신교인(92%) 등 대다수가 '그렇다'고 답했다. 개신교인에게 '돈' '성공' 등에 대한 개념은 비개신교인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개신교인이 개신교에 갖는 인식은 다소 부정적이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비개신교인에게 교회에 대한 인식(중복 응답 가능)을 물었더니 78%의 응답자가 '다른 종교들에 비해 불공정하고 불투명하다'고 답했다. '다른 종교에 비해 포용성이 부족하고 배타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63%로 조사됐다.   그럼에도, 교회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은 인정하고 있었다. 그만큼 교회가 제 구실을 한다면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비개신교인 응답자 중 67%는 '교회가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약간 또는 매우 있다'고 답했다.   목회연구소 측은 보고서를 통해 "기독교인이 총론에서는 비기독교인보다 평등에 대한 감수성이 뛰어나지만 구체적인 각론에서는 차이가 없었다"며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지키고 간직하는 것이 개신교인의 사명이라면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사람들이 차별받지 않도록 관심을 갖고 보호하는 실천적 삶이 돼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장열 기자 jang.yeol@koreadaily.com타종교 출석자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 개신교인 응답자 목회데이터연구소가 개신교인과

2023-04-17

3040 세대 3명 중 한 명 '가나안 성도'

3040세대는 사회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펼치지만 그만큼 고민도 많은 게 특징이다. 스트레스가 심하고 경제력을 갖추는 데 있어 부담도 있다. 기독교내에서도 마찬가지다. 사회 활동이 활발한 세대이다 보니 신앙 자체에 대한 관심이 약화하고 교회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게 쉽지 않다. 최근 목회데이터연구소, 한국교회탐구센터, 실천신학대학교가 지앤컴리서치에 의뢰 한국교회 3040(30~49세)세대의 신앙의식을 조사했다. 조사에 따르면 3040세대 교인에게 신앙은  '회의감을 들게 하는 동시에 마음의 평안을 추구하게 하는 요소'로 축약된다. 그들이 기독교에 회의를 느끼는 원인 등을 알아봤다. 이는 미주 한인 교계내 3040세대를 위한 교회 사역에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     3040세대 중 대다수는 현재 신앙적으로 회의를 느끼고 있거나, 신앙에 대한 회의가 든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목회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교회에 출석하는 3040세대 중 40%는 '요즘도 신앙적으로 회의가 든다'고 답했다. '과거에는 있었는데 요즘은 없다'라는 응답자 역시 40%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측은 보고서를 통해 "3040세대 대부분이 신앙적 회의를 겪었으며 현재도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신앙적 회의를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들에 대한 신앙적 지도가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신앙적 회의는 결국 기독교의 겉모습에서 비롯된다. 응답자들은 하나님의 존재, 역사, 성경 등 신앙의 본질적 부분보다는 기독교내 비윤리적 문제에서 오는 회의감이 크다는 입장이다.   신앙적 회의를 겪고 있는 교회 출석자 중 37%가 회의감이 드는 주요 원인으로 '기독교인의 생활이 비도덕적이고 이중적'이라는 점을 꼽았다. 이어 '기도해도 응답이 오지 않아서(18%)' '목회자에게 실망해서(12%)' '하나님이 있다면 인간의 불행 또는 역사의 비극이 생길 리가 없어서(10%)' '신앙이 내 삶에 도움이 되지 않아서(8%)' 등의 순이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측은 신앙적 회의가 없어지게 된 계기를 물었다.   신앙적 회의가 없어진 응답자 중 30%는 '저절로 회의가 사라졌다'고 답했다. 이어 '성경을 통해 깨달음이 생겼다(25%)' '설교를 듣고 은혜 받았다(19%)' '기도의 응답 또는 신비한 체험이 있었다(11%)' '상담을 통해 신앙적 회의가 해소됐다(4%)'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한인 2세 사역을 담당하는 케빈 김 목사(호프커뮤니티교회)는 "신앙적으로 회의를 느끼는 교인들과 대화를 나눠보면 보통 기독교의 부정적인 단면을 보면서 갖게된 감정들"이라며 "특히 사회 활동이 활발한 3040세대는 세상과 교회에서의 괴리를 더욱 실감하기 때문에 그러한 회의가 더 들 것"이라고 말했다.   3040세대는 교회 모임에도 제대로 참여하지 않는다.   구역, 셀, 순 등 소위 '소그룹'으로 불리는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39%에 그쳤다. 이는 5060세대(58%)와 비교했을 때 무려 20%p 가까이 낮다.   3040세대는 정치적 이슈에 매우 민감하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교회 출석 의향에 대한 장애 요인(중복응답 가능)을 물었는데 응답자의 64%가 '목회자가 정치적 설교를 해서 교회 가기 싫은 마음이 든다'고 답했다. 이어 '목회자의 부적절한 언행(63%)' '교인들의 언행(61%)' '교인들의 정치적 언행(58%)' 등을 교회 출석을 꺼리게 하는 원인으로 꼽았다.   이로 인해 야기되는 '가나안 성도(교회를 '안 나가'는 교인을 일컫는 신조어)'에 대해서도 조사가 진행됐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측은 "교회 출석 여부가 기준이었지만 온라인 예배가 자리 잡은 요즘 어떠한 형태의 예배에도 참석하지 않는 경우를 '가나안 성도'로 규정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는 "응답자들의 현장 예배, 온라인 예배 참석 여부 등을 종합했을 때 3040세대의 33%가 가나안 성도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3040세대 중 가나안 성도가 예배를 드리지 않는 이유(중복응답 가능)로는 '꼭 예배를 드려야겠다는 마음이 생기지 않아서'라는 답변이 5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유로운 신앙 생활을 위해(35%)' '코로나 때문에(27%)' '시간이 없어서(21%)' '지나치게 헌금을 강조해서(1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교회 예배 등에 전혀 출석하지 않지만 기독교인으로서 정체성이 있다고 답한 '가나안 성도'만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었더니 '하나님의 존재를 믿기 때문에(39%)'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오랫동안 신앙생활을 해와서(23%)' '기독교 가정에서 자랐기 때문에(19%)' '사랑, 평화, 정의 등 기독교적 가치가 좋아서(10%)' '예수가 나의 죄를 대속한 것을 믿기 때문에(8%)'라고 답한 응답자도 있었다.     또, 3040세대의 가나안 성도 중 46%는 '교회에 언젠가 다시 나가고 싶다'고 답했다. '가능한 빨리 나가고 싶다(3%)'는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보고서에는 "하나님의 존재와 대속의 믿음을 답한 응답자를 보면 가나안 성도 중 절반(약 47%) 정도만이 본질적 관점에서 기독교인의 정체성을 표방하고 있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3040세대에게 신앙인으로서의 10년 후 모습을 물었다.   교회에 정기적으로 출석중인 3040세대 응답자의 40%가 '기독교 신앙을 유지하지만 교회는 잘 안 나갈 것 같다'고 답했다. '기독교 신앙을 버리고 교회도 안 나갈 것 같다(4%)' '기독교 신앙을 버리지만 교회는 나갈 것 같다(3%)'라고 답한 응답자와 합하면 전체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이들이 교회 이탈 의향을 보인 셈이다. 장열 기자가나안 목회데이터연구소 신앙적 회의 교회 출석자 의뢰 한국교회

2023-01-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