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글로벌 아이] 미 대선 흔드는 ‘거짓말’의 정치학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탄핵된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이 결국 물러난 이유는 불법 도청이 아니라 수사과정에서 드러난 거짓말 때문이었다. 닉슨에 이어 두 번째로 탄핵 대상이 된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역시 비슷했다. 성 추문이 아니라 조사과정에서 밝혀진 거짓말이 사유가 됐다. 미국 최고 권력자에게 거짓말이 어떻게 치명상을 안기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선거판에서 상대 후보의 권위와 신뢰를 무너뜨리고 자신에게 불리한 문제는 논점을 흐려 피해 가는 대표적인 기술이 ‘거짓말쟁이’ 낙인찍기다. ‘세기의 대결’로 불린 10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 TV 토론. 눈길을 끈 건 두 후보가 약속이나 한 듯 서로 거짓말쟁이라고 몰아붙이는 장면이었다.   뜨거운 이슈인 낙태권 문제가 불을 댕겼다. 트럼프는 먼저 “해리스가 택한 부통령 후보는 임신 9개월 낙태도 괜찮고, 출생 후 죽임(execution after birth)도 괜찮다고 말한다”고 주장했다. 해리스는 “처음부터 말씀드렸듯 오늘 거짓말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맞받으며 “트럼프가 재선하면 전국적인 낙태금지법에 서명할 것”이라고 역공을 폈다. 트럼프 역시 “완전히 거짓말”이라고 응수했다.   트럼프는 정부 기관을 향해서도 ‘거짓말’ 공격을 퍼부었다. 이민자 폭증의 심각성을 거론하며 “그들이 주민의 개와 고양이를 잡아먹는다”는 주장을 내놨다가 진행자가 “FBI는 범죄가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고 짚자 “FBI의 사기”라고 했다. 구체적인 근거는 대지 않았다.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자로 잘 알려진 존 미어샤이머 시카고대 석좌교수는 저서 ‘리더는 왜 거짓말을 하는가’에서 위정자가 ‘공포 조장’이나 ‘전략적 은폐’ 같은 유형의 거짓말을 했다가 들통나면 돌이킬 수 없는 실패를 맞을 위험이 크다고 경고한다. 대선 TV 토론은 후보의 자질과 품성, 능력을 검증하는 무대다.   미 국민 6700만여 명이 시청한 TV토론에서 명확한 논거 없이 자신에게 불리한 얘기를 거짓말로 몰거나 사실관계를 비트는 허위 주장을 늘어놓는다면 책임 있는 국가 지도자의 모습이 아니다.   뉴욕타임스(NYT)를 비롯한 권위 있는 매체가 TV 토론에서 발언 하나하나를 팩트체크하는 것은 그래서다. NYT가 트럼프 발언 33건을 팩트체크한 결과 16건이 ‘거짓’으로 판단됐다. 해리스는 조사 대상 발언 8건 중 2건이 ‘거짓’으로 판정받았다. 이런 팩트체크 결과와 11월 5일 대선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을지 자못 궁금하다. 김형구 / 한국 중앙일보 워싱턴 총국장글로벌 아이 거짓말 정치학 오늘 거짓말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자 트럼프 발언

2024-09-15

[중국읽기] 중국과 대만의 성묘 정치학

마잉주(馬英九) 전 대만 총통이 중국 방문에 나선다. 4월 7일까지 12일간의 일정이다. 중국 난징과 우한·창사·충칭·상하이 등 주로 장강(長江) 이남을 방문하며 베이징은 가지 않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만남을 피하겠다는 거다. 정치색을 빼겠다는 이야기다. 마잉주는 방중 목적을 ‘신종추원(愼終追遠·장례와 제사를 정성껏 모시다)’ 네글자로 압축했다. 그러고 보니 4월 5일이 청명절이다.   중국엔 ‘청명절엔 성묘를 하고 단오엔 종자를 싸며 추석엔 월병을 먹고 섣달 그믐날 밤엔 만두를 빚는다’는 말이 있다. 일년 사계절 중 봄이 오면 가장 먼저 해야할 게 조상의 산소를 찾아 돌보는 일이다. 뿌리를 잊지 않기 위함이다. 마잉주는 1950년 7월 홍콩 까오룽(九龍)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마오쩌둥의 고향이기도 한 중국 후난성 샹탄(湘潭)현이다. 이곳에 할아버지 마리안(馬立安)이 잠들어 있다.   마잉주 부모는 홍콩을 거쳐 그가 두 살 때 다시 대만 타이베이로 이주했다. 2008년부터 8년간 대만 총통으로 재직했던 그는 2015년 싱가포르에서 시진핑 주석을 만나 1분 20초에 걸친 ‘세기의 악수’를 나눴다. 자신의 재임 시기가 중국과 가장 평화롭고 가장 대등했다고 말한다. 총통 퇴임 후엔 대만 국가기밀보호법에 따라 대만을 벗어날 수 없다가 2021년 5월 규제가 풀렸다.   이제 코로나도 진정됐으니 대륙의 조상 묘를 찾아보겠다는 것이다. 누나 셋과 여동생, 그리고 대만 청년 30여 명이 함께한다. 대륙 젊은 세대와의 교류로 양안(兩岸) 긴장을 누그러뜨리자는 취지다. 한데 대만 전·현직 총통 중 74년 만에 처음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그의 방중은 아무리 정치적 색채를 덜어내려 해도 그리되지 않는다. 그의 방중 자체가 올해 대만에 평화공세를 가하는 중국의 전략에 이미 편입된 느낌이다.   이달 초 중국 정협(政協)의 주석이 된 왕후닝이 대만을 끌어안기 위해 내세우는 카드가 바로 ‘중국 전통문화’다. 한 핏줄, 같은 문화를 강조해 대만 독립을 주장하는 차이잉원 집권 민진당 정부에 대항하겠다는 계산이다. 내년 1월 대만 총통 선거에서 마잉주와 같이 ‘하나의 중국’에 동의하는 대만 국민당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포석이기도 하다. ‘성묘 정치학’이란 말이 나온다. 그래서인가. 29일 해외 순방에 나서는 차이잉원은 미국 경유를 통해 미국과의 연대를 강조할 계획이다. 내년 초 대만 총통 선거는 벌써 막이 올랐다. 유상철 / 한국 중앙일보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 대표중국읽기 중국 정치학 성묘 정치학 대만 총통 대만 국가기밀보호법

2023-03-27

딸 셋 하버드 보낸 엄마, 책 냈다…밸리새생명교회 심활경 사모

한 명도 아니고 세 명의 자녀를 모두 하버드에 입학시켜 한인 커뮤니티의 부러움을 한몸에 받았던 한인 엄마가 책을 들고 왔다.   밸리새생명교회를 이끄는 지성은 목사의 아내 심활경(영어명 에스더 지) 사모가 그 주인공이다.   ‘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샘앤파커스)’라고 제목을 붙인 이 책에는 세 딸이 밟은 학업 과정과 하버드의 삶이 자세히 담겨 있다.   책을 쓴 계기는 돌아가신 시아버지의 강력한 권유가 컸다. 2010년 첫째 딸 혜민(31)씨가 하버드에 입학했을 때만 해도 “착하고 신앙심이 좋은 손녀딸이 공부를 잘해 하버드에 갔다”며 좋아하셨다던 시아버지는 둘째 혜은(27)씨가 2012년 하버드에 들어가자 책을 써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며느리에게 넌지시 말했다.   심 사모는 막내딸 혜성(21)양까지 2019년 하버드에 합격했을 때도 시아버지의 재촉에 손사래를 쳤지만 혈액암으로 시한부 진단을 받았다는 소식에 마음을 돌렸고 결실을 이뤘다.   심 사모가 책을 쓰게 된 이유는 또 있다. 만나는 사람마다 궁금해 한 비밀에 대해 그는 “세 딸을 하버드에 보낸 비법을 한인 학부모들에게 털어놓고 싶었다”고 말했다.     때마침 팬데믹으로 캠퍼스에서 집으로 돌아온 세 딸들에게 이것저것 질문하고 들으면서 8개월 동안 원고를 작성했다. 그는 지난 2016년 미주 중앙일보에서 보도한 교육기사 내용도 책에 언급했을 만큼 그동안 모은 신문기사 스크랩부터 세 자녀가 참여했던 프로그램 내용, 하버드 진학할 때 과정 등을 꼼꼼하게 담았다.   하버드 세 딸은 지금 각자가 원하던 전문가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하버드대 정치학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스탠퍼드대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친 혜민씨는 다음주부터 웨스트포인트에서 정치학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또 3학년 재학 중 하버드 법대 진학 프로그램에 합격한 혜은씨는 학부 졸업 후 2년 동안 스페인에서 보조 교사로 일하고 돌아와 현재 법 공부에 집중하고 있다.     막내 혜성씨는 팬데믹 기간동안 갭이어를 보내고 지금은 스미소니언 박물관이 운영하는 파나마 시의 해양 프로그램에서 산호초를 연구하는 인턴십을 밟고 있다.   심 사모는 “공부는 뛰어나지 않지만 나름 친구들과 행복하게 지내는 아이가 고민인 부모도 있고, 또 공부만 잘하는 자녀 때문에 고민하는 학부모도 만나면서 부모의 마음은 똑같다는 걸 새삼 느꼈다”며 “이 세상에 완벽하고 모든 게 최고인 자녀는 없다. 최선을 다하는 엄마만 있을 뿐이다. 늘 노력하는 한인 학부모들에게 이 책이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심 사모의 ‘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는 세종문고와 알라딘US에서 구매할 수 있다.    장연화 기자하버드맘 하버드대 정치학 하버드 법대 한인 학부모들

2022-08-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