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상처투성이
띌까 붙일까, 기로에 놓일 때가 많다.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조사는 그 앞말에 붙인다는 대전제는 누구나 안다. 문제는 띄어야 하는 의존명사와 붙여야 하는 조사, 어미, 접사의 정체를 대부분 구분하지 못해 발생한다. ‘투성이’가 대표적이다. ‘투성이’를 명사로 착각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땀투성이, 상처투성이, 의혹투성이, 먼지투성이, 거짓말투성이’와 같이 붙여야 바르다. ‘-투성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이 너무 많은 상태 또는 그런 상태의 사물이나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접두사, 접미사 등 접사는 홀로 쓰일 수 없다. ‘커녕’도 띄어쓰기를 자주 틀리는 말이다.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물론 그보다 덜하거나 못한 것까지 부정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다. 의존명사인 줄 알고 띌 때가 많다. “밥커녕 죽도 못 먹는 형편이다”처럼 붙여야 한다. ‘ㄴ커녕/는커녕/은커녕’도 마찬가지다. 보조사 ‘ㄴ/는/은’에 각각 ‘커녕’이 결합한 형태다. ‘고마워하긴커녕’과 같이 앞말과 붙여 쓰는 게 바르다.우리말 바루기 상처투성이 땀투성이 상처투성이 먼지투성이 거짓말투성이 접두사 접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