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장편소설 ‘바람벽’을 집필하며

때(時)는 오고 간다. 애타게 그리워해도 지워진 사랑이 돌아오지 않는 것처럼 마음 떠난 사람은 뒤돌아보지 않는다. 때(時)는 시간의 어떤 순간이나 부분이다. 어떤 일을 하기에 좋은 기회나 알맞은 시기를 말한다.     베스비오 화산의 대폭발로 멸망한 폼페이에는 화산재가 덮칠 당시 그 모습 그대로, 살아있는 듯 죽은 사람들이 엉겨 붙어 있다. 연인들은 서로 껴안고 생의 마지막 순간을 마주하고, 만삭의 어머니는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바닥에 배를 깔고 웅크리고 있다. 너무 생생해서 금방이라도 화산재를 뚫고 걸어나올 것 같다.     참고 기다리면 때(Time)가 온다. 썰물처럼 떠내려 간 생의 편린들이 무채색의 바다를 거슬러 밀물처럼 몰려온다. 바다는 원래 푸른 빛이었을까? 자음과 모음이 엉겨 붙은 파도는 저녁 노을에 활화산처럼 타오른다.     마지막은 찬연하다. 사는 것과 죽는 것은 순간의 불꽃놀이다. 성냥개비나 불쏘시개로 사라진다 해도, 스러지고 다시 일어나, 길 위에서 길이 되는 사람들의 언어를 진솔하게 적고 싶었다.     오래 전 자전소설 두 권과 자전에세이를 출간했다. 자전소설 ‘찔레꽃’은 소설의 형식을 갖추지 못해 서술에 가깝다. 자전에세이 ‘여왕이 아니면 집시처럼’은 이기희 삶을 그린 투영도(投影圖)다.   장편소설 두 권을 정말 쓰고 싶었다. 절망의 늪에서 희망의 불꽃으로 타오르고, 나락으로 꼬꾸라져도 목숨줄 놓지 않는 사람들의 싱싱한 언어를 담고 싶었다.   20년 가까이 한 주도 빠짐없이 미주중앙일보에 칼럼을 썼다. 사업하며 아이들 키우면서 밤잠 설치며 글쓰기 연습을 했다. 마감 시간 안 놓치려고 수술 받은 날은 가슴을 동여매고 글을 쓰고 어머니 장례식 날은 눈물로 자판기를 두드렸다.     인생의 반을 지나면서 보고 듣고 느끼고, 쓰고 싶은 이야기는 차고 넘친다.   문제는 구성 즉 플롯이다. E.M 포스트는 ‘소설의 이론’에서 플롯은 사건들 간의 필연적 연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스토리와 구분된다고 설명한다.     무식은 실력 부족으로 유식을 이기지 못한다. 소설다운 소설을 한 편도 쓴 경험이 없어 맨 땅에 헤딩하다 지렁이 잡는 실수를 범하게 될까 두렵다.   작가는 실제 있는 것들을 쓰지 않는다. 입히고 꾸미고 각색하고 분탕질하며 창작의 꽃을 피운다. 백마 탄 왕자와 결혼해 무명시인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시나리오는 유명 영화감독 신춘문예 당선작의 소재로 비난의 대상이 됐다. 베스트셀러 소설가 작품들 속에도 사랑을 버린 여자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텃밭에 뿌린 씨는 싹이 트면 푸릇푸릇 잎이 돋아난다. 이방인으로 남의 땅을 떠돌아도 그리움이 얼룩진 씨앗 한 톨 땅 속 깊이 묻으면 수만 수천개로 번져나간다. 디아스포라는 ‘흩뿌리거나 퍼트리는 것’을 의미한다. 의학적으로 파종은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것으로 족보에서 종통이 바뀌는 것을 말한다.     꿈 속에서 ‘바람벽(Wind wall)’이 소설 제목으로 떠올랐다. 바람벽은 집의 둘레나 방의 칸막이를 위해 흙을 발라 만든 벽이다. 진흙을 뭉개 바른 벽이라도 얼어붙은 몸 녹일, 따스한 구들목이 있는 땅을 찿아 얼마나 헤매였던가.     바람은 동에서 서로 서쪽에서 다시 동쪽으로 분다. 그대와 나,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허물 수 없다 해도, 바람은 수시로 가슴을 뚫고 지나간다. (Q7 Fine Art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장편소설 바람벽 베스트셀러 소설가 소설 제목 어머니 장례식

2024-06-04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일곱마리 말이 끄는 마차

세상에는 버릴 수 없는 것이 있다. 무겁고 힘 겨워도 어깨에 지워진 짐을 내려 놓지 못한다. 멍에를 맨 소처럼 지겹고 힘겨워도 묵묵히 앞만 보고 걷는다. 해 지기 전, 더 늦기 전에 넓디 넓은 밭고랑을 소처럼 묵묵히 갈아야 한다.    유년의 기억 속 덩치가 우람한 소는 슬픈 눈망울을 가졌다. 삼만이 아재가 날샌 솜씨로 멍에를 씌울 때도 큰 눈을 한두 번 꺼벅거릴 뿐 요동하지 않는다.     ‘멍에’는 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해 말이나 소의 목덜미에 얹는 굽은 나무 막대기다. 소의 몸 형태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만드는데 나무 양옆에 구멍을 뚫고 소의 멍에와 쟁기를 이어주는 보줄을 맨 다음, 가슴걸이판을 소의 목쪽 아래로 잡아당기면 멍에가 안정되어 소를 잘 끌 수 있다.   ‘쉽게 벗어날 수 없는 구속이나 억압’도 비유적으로 ‘멍에’라고 한다.   오래 전 화랑으로 한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한국사람이 걸면 직원들이 무조건 바꿔준다. 캘리포니아에 사는 칼럼 독자라며 전업 화가가 되고자 조언을 얻고 인생상담을 하고 싶어 오하이오주까지 오겠다고 한다. 내 앞길도 구만린데 상담이라니, 목소리가 떨리고 절실해서 거절하기 힘들었다.     화랑과 아트센터 운영하며 아이 셋 간수하고 남편 섬기고(?) 시어머니와 어머니 두분 모시고 번갯불에 콩 튀듯 사는 형편이라 낯선 손님 맞을 상황이 아니었다. 화랑 경영하며 제일 민망할 때가 신예 화가(Budding Artist)들이 보내는 작품과 프로필을 외면하는 일이다. 그래도 나 좋다고, 존경(?)한다며 먼 길 오겠다는 여자분을 호텔에 혼자 재울 수도 없는 처지라서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로 우리집에 숙식하며 화랑에 함께 출퇴근했다.     그 분은 ‘화가의 길이냐, 가정을 지키느냐’의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는 듯 했다.  세세하게 안 물어봤지만, 결혼 생활을 지키려면 ‘화가의 꿈’을 접어야 한다고 했다. 가정과 남편, 자식을 포기하고도 후회하지 않을 선택을 하라고 말했다. 나도 모른다. 인생의 막다른 길목에서 후회하지 않는 선택이 있기나 한 건지. 마침 번화한 도시 한가운데 오래된 마차 한 대가 서있는 작품이 전시돼 있었다.     “이 그림은 마차를 끌고 갈 말이 필요하군요. 몇 마리 말이 필요한지는 마부가 잘 알겠지요”라고 했다. 출발 게이트 쪽으로 가던 그녀가 돌아와 날 꼭 껴안았다. “두 마리 말 고삐 잡아 볼게요.” 눈에 이슬 같은 눈물이 반짝였다.     홍상화 장편소설 ‘사람의 멍에’는 생의 멍에를 벗고 자유를 찾아 나선 한 예술가의 이야기다. 출판사 서평에서 ‘삶의 멍에에서 벗어나려는 한 인간의 아름다운 비상’이라 소개한다. 생의 멍에를 벗고 비상하는 그림은 없다.     나는 일곱마리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달린다. 가정도 자녀도 부모도 사업도 포기할 수 없는 내가 쥔 말 고삐다. 마르크 샤갈이 못 되도 화가 되길 꿈꾸고, 참회록 적듯 글을 쓴다. 청상의 어머니가 내 손을 놓지 않았던 것처럼 아이들 손을 꼭 다잡는다. 멍에를 목에 걸고 있었기에 위험한 탈출을 꿈꾸지 않았는지 모른다.     ‘수리아’는 인도의 베다 신화에 나오는 태양신으로 일곱마리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하늘을 달린다. 밤이면 어둠을 거두고 하계(下界)를 내려다 보며 지상을 둘러본다.     삶이라는 예술을 완성하기 위해 인생의 치열한 도면을 그린다. 그림이든 글이든, 형체 없는 바람이라 해도, 끝나지 않는 길을 향해 일곱번째 말이 달린다. (Q7 Editions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마차 전업 화가 신예 화가 홍상화 장편소설

2023-03-14

신재동씨 장편 소설 '소년은 알고 싶다' 출간

작가 신재동(사진)씨가 자서전적 장편소설 ‘소년은 알고 싶다(북랩)’를 출간했다.     이번 작품은 신 작가의 2021년 한국예총 ‘예술세계 신인문학상’ 장편소설 당선작이다. 제목에 나오는 소년은 신 작가 자신으로 한국이 배경으로 작가 자신은 ‘끈끈한 고향의 정을 담았다’고 밝혔다.     그는 “6살 되던 해에 보았던 할아버지를 떠올린다. 할아버지는 늙었고 흰머리였다”면서 “막상 직접 늙어보고 나서야 알게 된 사실이 어린아이의 눈에는 모든 사물이 과장되게 보인다”고 설명했다. 신 작가는 “실제 당시 할아버지는 60세도 안된 나이로 늙은 것도 아닌데 어린 눈에는 무척 늙어 보였다”고 설명했다.     신 작가는 “5년에 걸쳐 집필한 장편소설이 당선되고 단행본으로 출간돼 무척 기쁘다”면서 “10년 전 은퇴하고 문학공부로 노후를 보내고 있는 자신에게 매우 자랑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부지런하고 다양한 글쓰기로 화제인 작가다. 글쓰기 시작한지 5년째인 2014년 중앙일보 신인문학상 수필 가작 당선된 것을 시작으로, 재외동포 사진공모전 입상, 2016년 중앙일보 신인문학상 단편소설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글쓰기와 사진찍기에 큰 재능을 보여왔다.     이후 2016년에는 ‘미국 문화의 충격적인 진실 35가지’를 내놔 주목을 끌었고, 2018년에는 수필집 ‘첫 시련’, ‘미국이 적성에 맞는 사람, 한국이 적성에 맞는 사람’, ‘작지만 확실한 사랑’, ‘크루즈여행 꼭알아야할 팁 28가지’등을 출간했다.     신 작가는 춘천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성장했으며 1970년 샌프란시스코로 이민와 40년간 창호 인테리어 개인 사업을 운영했다. 2010년 은퇴하며 글쓰기에 입문했다. 장병희 기자신재동 장편 자서전적 장편소설 장편 소설 중앙일보 신인문학상

2022-02-13

이숙종 작가, 목포문학상 수상

뉴욕 한인 문단에서 활동해 온 이숙종(64·사진) 작가가 장편소설 ‘보트하우스’로 ‘2021 목포문학박람회’ 목포문학상을 받았다.   29일 목포시·목포문학관 등에 따르면, 이 작가는 ‘2021 목포문학박람회’ 목포문학상 장편소설부문에 당선돼 1억원의 상금을 받고 문학과지성사를 통해 책을 출간했다. 그동안 목포문학상은 단편·시·희곡·평론을 공모해 왔는데 올해부터 단편 대신 장편소설부문상을 새롭게 만들고 1억원의 상금을 걸었다. 총 371명이 장편소설 부문에 접수했다.   은희경 작가(심사위원장)를 비롯한 심사위원단은 “올해 처음 시행한 장편소설 부문에는 예상보다 두 배를 웃도는 수의 작품이 응모됐다”며 “‘보트하우스’는 문장의 묘한 리듬으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능력, 감각과 사물을 정밀하게 묘사해 내는 문체,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쓸쓸하고도 담담한 삶을 그려나가는 작가의 윤리적 태도 등이 나무랄 데가 없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1958년 충북 음성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란 이 작가는 미국으로 이주해 뉴욕시립대(CUNY) 퀸즈칼리지에서 비교문학을 공부했다. ‘보트 하우스’는 허드슨 강가에 위치한 별장 보트 하우스를 배경으로 여러 시기별 인물들의 내적 변화를 그려내는 작품이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목포문학상 이숙종 목포문학박람회 목포문학상 그동안 목포문학상 장편소설 보트하우스

2021-10-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