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화산책] 인스턴트 라면의 사회문화학

라면이라는 신기한 음식이 한국사회에 등장한 것은 1963년 가을이었다. 60년 전 일이니 환갑을 맞은 셈이다. ‘삼양라면, 즉석에서 뚝딱 끓여먹을 수 있는 꼬부랑 국수! 한 봉지에 단돈 10원’. 가난한 살림에 단비 같은 희소식이었다.   시대가 라면을 원한 현실도 있었다. 그 무렵 흉작이 이어지며 해마다 쌀이 부족해지자, 정부는 혼식 분식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그런 나라의 도움도 받은 덕에 라면은 순식간에 퍼져나갔다.   그리고, 60년 사이에 인스턴트 라면은 한국 사람의 삶을 지배하는 ‘소울 푸드’가 되었고, 세계 구석구석으로 퍼져나갔다. 이제는 원조인 일본의 라멘을 제치고 정상을 차지했다고 한다. 어찌 보면, 라면의 역사는 곧 대한민국 현대사라고 할 수도 있겠다. 라면의 인기는 통계 숫자가 말해준다.   세계라면협회(WINA)의 ‘2021년 세계 라면시장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1인당 라면 소비량이 연간 73개로 세계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베트남으로 1인당 연간 87개의 라면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줄곧 1위였는데, 베트남에게 1위를 내준 것이다. 3위는 네팔.   라면 전문 사이트 ‘라면 완전 정복’에 따르면, 현재 한국 내에서 시판 중인 라면 종류만 무려 555가지라고 한다. 굉장하다. 지난해 해외로 수출된 라면은 26만톤, 면발 길이만 약 1억㎞로 지구를 2670바퀴나 감을 수 있는 길이라고 한다. 즉석 면류 수출액은 지난해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한국 사람들은 배고파서, 심심해서, 즐거워서, 해장으로, 먹고살기 위해서, 오늘도 라면을 끓여 먹는다. 해외에 사는 우리들도 마찬가지다. 이런저런 사연을 담은 라면은 오늘도 다양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지금은 매운맛 경쟁이 치열한 모양이다.   “라면이나 짜장면은 장복을 하게 되면 인이 박인다. 그 안쓰러운 것들을 한동안 먹지 않으면, 배가 고프지 않아도 공연히 먹고 싶어진다. 인은 혓바닥이 아니라 정서 위에 찍힌 문양과도 같다. 이래저래 인은 골수염처럼 뼛속에 사무친다.” 김훈 산문집 〈라면을 끓이며〉에서   나도 줄기차게 라면을 먹으며 살아왔다. 지금도 한국인 평균보다는 훨씬 많이 먹는 편이다. 일본에서 유학생활을 하는 동안에 인이 박인 모양이다. 혼자 살면서 끼니를 때우기엔 라면만한 것이 없어서 지겹게도 먹었다. 그동안 내가 먹어치운 라면은 얼마나 될까? 한국인 평균인 75개로 쳐서 60년이면, 무려 4500봉지를 먹었다는 계산이 된다. 어머어마하다.   라면에 대한 가장 큰 걱정은 영양가는 별로 없고, 건강에 해롭다는 점이다. 하지만, 뜻밖에도 라면 마니아 중에는 장수 사례가 많다. 가령, 일본 닛신식품 창업자 안도 모모후쿠는 컵라면을 발명한 1971년부터 2007년 97세로 세상을 뜰 때까지 매일 라면을 먹었다. 또, 젊은 시절 장 질환을 앓은 뒤 30년 넘게 하루 세끼 ‘안성탕면’만 먹어 유명했던 고(故) 박병구 옹은 92세까지 살았다.   이쯤에서 내 개인적 생각을 말하고 싶다. 라면만 먹는 생활은 어찌어찌 견딜 것 같은데, 그렇지만 문화에 대해서는 전혀 이야기가 달라진다. 한 끼 대충 때우는 식의 인스턴트 문화예술이 자꾸만 많아지는 현실은 매우 안타깝다.   우리의 문화가 기계 문명의 눈부신 발달과 함께 하루가 다르게 작고 가볍고 재미있고 얄팍하고 달콤하고 자극적으로 변해가는 현실을 위험하게 봐야한다. 에를 들어, 그런 흐름으로 가면 인공지능의 무서운 기세를 막을 방법이 없다.   인공지능이 시를 쓰고, 작곡을 하고, 그림을 그려서 공모전 최고상을 받고, 소설을 써서 문학상 후보가 되고, 신문기사를 쓰고 하는 그런 세상이다. 이런 현실에서 문화예술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지 진지하게 물어야 할 때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사회문화학 인스턴트 인스턴트 라면 한국 사람들 한국인 평균

2023-04-27

[음식과 약] 커피는 억울하다

그럴듯한데 의미 없는 식품 이야기가 많다. 캔커피 뚜껑을 따고 2분 기다리라는 말이 좋은 예다. 캔커피 속 퓨란 함량을 낮추기 위해 개봉 후 2분에서 5분 정도를 기다리라는 것이다. 퓨란은 식품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향기 물질이다.아직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없지만 동물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잠재적 발암물질로 간주된다.   캔커피 뚜껑을 따고 2분을 기다려야 한다는 게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기다리는 동안 퓨란이 휘발하여 함량이 낮아진다. 2017년 동국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4℃ 냉장 조건에서는 2%, 60℃ 온장고에서 최대 14%까지 줄어든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캔커피 뚜껑을 따고 2~5분을 기다릴 이유는 없다. 캔커피는 원두커피와 출발 지점 자체가 다르다. 캔커피나 인스턴트 커피는 제조 과정에서 퓨란이 줄어들기 때문에 원두커피보다 퓨란 함량도 낮은 편이다. 커피메이커로 내린 원두커피의 퓨란 함량은 평균 110.73ng/mL, 캔커피는 28.08ng/mL, 제조사 설명대로 물을 탄 인스턴트 커피는 8.55ng/mL이다. (1ng은 10억분의 1g이다)   커피 향기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스턴트 커피나 캔커피의 향기는 방금 내린 원두커피나 에스프레소에 비교하면 보잘것없다. 반대로 향기가 더 잘 보존되는 캡슐커피의 경우 퓨란 함량이 에스프레소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이다. 캔커피에는 원래부터 원두커피의 4분의 1 수준으로 퓨란이 적게 들어있다.   하지만 원두커피나 에스프레소, 캡슐커피를 마시는 사람이 걱정해야 할 이유도 없다. 퓨란은 커피 속 다양한 물질 중 하나일 뿐이다. 커피 속에는 1000가지가 넘는 화합물이 들어있다. 커피를 마시면 그중 한 성분이 아니라 모두를 섭취하게 된다. 1991년 세계보건기구는 커피를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했지만 2016년에 커피를 목록에서 뺐다. 커피와 암의 연관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축적됐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 결과를 봐도 하루 2~3잔의 커피가 건강에 유익하다는 쪽이 대다수이다.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간암, 전립선암, 2형 당뇨병, 심장병, 파킨슨병의 위험이 낮게 나타난다. 2022년 5월 31일 영국 성인 17만 명 자료를 분석하여 발표된 연구 결과를 보면 하루 1.5~3.5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이 안 마시는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30%까지 낮았다. 커피 한 컵에 설탕 1티스푼(5g)을 넣어 마셔도 사망 위험 감소가 나타났다. 이런 연구로 인과관계를 알 수는 없지만 적어도 커피 때문에 암을 걱정해야 할 필요는 없는 셈이다. 우리는 단일 성분이 아니라 전체 식품을 먹는다. 정재훈 / 약사·푸드라이터음식과 약 커피 캔커피 뚜껑 에스프레소 캡슐커피 인스턴트 커피

2022-06-20

[전문가 기고] 커피는 억울하다

그럴듯한데 의미 없는 식품 이야기가 많다. 캔커피 뚜껑을 따고 2분 기다리라는 말이 좋은 예다. 캔커피 속 퓨란 함량을 낮추기 위해 개봉 후 2분에서 5분 정도를 기다리라는 것이다. 퓨란은 식품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향기 물질이다. 캐러멜·과일·견과류를 떠올리게 하는 달콤하고 구수한 향기를 낸다. 아직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없지만 동물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잠재적 발암물질로 간주된다.   캔커피 뚜껑을 따고 2분을 기다려야 한다는 게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기다리는 동안 퓨란이 휘발하여 함량이 낮아진다. 2017년 동국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4℃ 냉장 조건에서는 2%, 60℃ 온장고에서 최대 14%까지 줄어든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캔커피 뚜껑을 따고 2~5분을 기다릴 이유는 없다. 캔커피는 원두커피와 출발 지점 자체가 다르다. 캔커피나 인스턴트 커피는 제조 과정에서 퓨란이 줄어들기 때문에 원두커피보다 퓨란 함량도 낮은 편이다. 커피메이커로 내린 원두커피의 퓨란 함량은 평균 110.73ng/mL, 캔커피는 28.08ng/mL, 제조사 설명대로 물을 탄 인스턴트 커피는 8.55ng/mL이다. (1ng은 10억분의 1g이다)   커피 향기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스턴트 커피나 캔커피의 향기는 방금 내린 원두커피나 에스프레소에 비교하면 보잘것없다. 반대로 향기가 더 잘 보존되는 캡슐커피의 경우 퓨란 함량이 에스프레소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이다. 캔커피에는 원래부터 원두커피의 4분의 1 수준으로 퓨란이 적게 들어있다.   하지만 원두커피나 에스프레소, 캡슐커피를 마시는 사람이 걱정해야 할 이유도 없다. 퓨란은 커피 속 다양한 물질 중 하나일 뿐이다. 커피 속에는 1000가지가 넘는 화합물이 들어있다. 커피를 마시면 그중 한 성분이 아니라 모두를 섭취하게 된다. 1991년 세계보건기구는 커피를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했지만 2016년에 커피를 목록에서 뺐다. 커피와 암의 연관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축적됐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 결과를 봐도 하루 2~3잔의 커피가 건강에 유익하다는 쪽이 대다수이다.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간암, 전립선암, 2형 당뇨병, 심장병, 파킨슨병의 위험이 낮게 나타난다. 2022년 5월 31일 영국 성인 17만 명 자료를 분석하여 발표된 연구 결과를 보면 하루 1.5~3.5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이 안 마시는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30%까지 낮았다. 커피 한 컵에 설탕 1티스푼(5g)을 넣어 마셔도 사망 위험 감소가 나타났다. 이런 연구로 인과관계를 알 수는 없지만 적어도 커피 때문에 암을 걱정해야 할 필요는 없는 셈이다. 나무를 보다가 숲을 놓치지 말자. 우리는 단일 성분이 아니라 전체 식품을 먹는다. 정재훈 / 약사·푸드라이터전문가 기고 커피 캔커피 뚜껑 에스프레소 캡슐커피 인스턴트 커피

2022-06-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