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나홀로 키를 잰다

나홀로 키를 잰다     다른 사람보다 자신이 우월하다는 생각 때문에 자괴감에 빠진다. 모든 것이 공평하고 높낮이가 없으면 잘 났다는 착각도, 무시 당한다는 비참한 생각도 들지 않을 것이다.     자괴감은 자신을 낮추고 자책하는 대 비해 우월감은 자기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월등하게 낫다고 생각하는 감정이다.     도토리는 키 재기를 안 하지만 사람들은 기회 있을 때마다 키 재기 한다. 네 콩이 크니 내 콩이 크니 하고, 참깨가 길다느니 짧다느니 치수를 잰다.     월등하게 뛰어난 사람에겐 기 죽어 꽁지를 낮추지만, 서로 비슷한 수준이거나 정도가 고만고만 하면 깔고 뭉개서라도 고지 탈환을 꿈꾼다. 졸부는 졸부끼리, 못난 사람은 못난 사람끼리 키 재기 한다. 진짜 부자는 키 잴 필요가 없다. 가만히 있어도 부자 티가 난다.   개똥철학의 달인이신 어머니는 오빠가 동네 애들과 싸우면 종아리를 때렸다. “싸움은 위를 쳐다보고 하는 것이다. 그래야 배울 것이 있다.”며 끼리끼리, 비슷한 수준끼리 엎치락뒤치락하는 것은 쓸모가 없는 시간 낭비라는 깊은 가르침이다.   나이 탓인가. 해가 바뀌자 방송이나 유튜브에 나오는 새해 운수에 귀를 쫑긋 세운다.     마음에 송송 구멍이 난 때문일까. 몇 주째 한파에 눈과 비가 쏟아져 태양 본 적 없어 우울증에 걸렸나. 가슴 떨리는 좋은 일이 일어나지 않을 지도 모른다는 슬픈 생각, 찬란했던 청춘의 날들이 돌아오지 않는다는 절망, 내일을 기약할 수 없는 게 아니라 오늘을 지키기도 힘들다는 무기력함, 어떤 사람들에겐 사는 것이 죽는 것만큼 힘들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이리저리 시작도 꼬리도 없는 불안한 생각에 젖어 새해 한 달을 똥 마려운 강아지처럼 하릴없이 집구석을 돌아다녔다.     “설렁탕을 사다 놓았는데 왜 먹지를 못하니, 왜 먹지를 못하니.... 괴상하게도 오늘은 운수가 좋더니만…” 단편소설의 대가 현진건 ‘운수 좋은 날’의 명대사다. 동소문 안에서 인력거꾼으로 살아가는 김첨지는 열흘 넘게 돈 구경을 못한다. 아프다며 나가지 말라는 아내를 뿌리치고 집을 나선 김첨지는 많은 손님을 받아 큰 돈을 벌지만 내내 불안감에 시달린다. 집에 들어가기 불편해서 선술집에서 친구 만나 술을 마시고 아내가 그토록 먹고 싶어했던 설렁탕 국물을 사 들고 집을 들어서는데 아내는 죽어 있다.     김첨지는 운명에 얽매어 산다. 가난과 질병, 하층계급의 비극적인 삶은 돈으로도 극복이 안 된다. ‘행운의 상승과 함께 불운의 상승’이라는 대립병치구조를 통해 우리들이 가장 행복했던 날에도 비극은 피할 수 없는 운명으로 다가온다는 섬뜩함이 도사리고 있다.   할 일은 산더미 같이 쌓여 있는데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 끝이 보이지 않아서 시작조차 두려운 공포에 시달린다. 20년 넘게 쓴 칼럼 정리해 출판사에 보내야 하고, ‘Color is My Life’ 자서전 집필, 전시회 준비도 해야 하는데 한 달째 땅 집고 허우적거린다. 개구리 헤엄치며 아무리 용을 써도 물 위로 떠오르지 않는다.     내 코가 열자면 아무 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 쓸 것은 많은데 쓰지 못하고, 그릴 것은 많은데 물감을 입히지 못한다. 피노키오처럼 거짓을 입에 달고 살 수 없다.     거인들 앞에 서면 여전히 난장이다. 봉우리가 똑같이 높은 산은 없다. 스스로 키를 잴 시간이 왔는지 모른다. 갈 길이 높고 험한데 멈춰 서서 타인과 키 재기를 하는 것은 바보짓이다. 더 이상 애창곡 ‘그대 앞에만 서면 나는 왜 작아지는가’ 를 부르며 못다한 사랑의 편린을 그리워하지 않겠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라도 어디까지 날아가는 지는 아무도 모른다. (Q7 Editions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생각 때문 새해 운수 설렁탕 국물

2024-02-06

[삶의 향기] 운수 아닌 지은 대로 받는다

'불교'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인과(因果)'다. 대종사께서는 경전을 가르치고 선(善)을 장려하는 일보다 인과의 이치를 믿고 깨닫게 하는 일이 보다 급한 일이라고 하셨다.   인과는 '지은 대로 받는 것'이다. 우리는 일이 안되면 흔히 '운수' 타령을 하곤 하지만 세상에 우연히 일어나는 행운이나 불행은 없다는 것이 인과이다.   인과의 이치가 맞는다면 악행을 일삼으면서도 부귀영화를 누리는 자와 선행을 베풀면서도 곤란을 면치 못하는 이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인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진리계에서 뿐만 아니라 경험할 수 있는 현상계에서도 통용되는 원리이다. 열을 가하면 물이 끓고 밥을 먹으면 배가 부르다. 모든 결과에는 원인이 있고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그에 따른 결과가 나타난다. 불가(佛家)의 인과가 현상계의 인과와 다른 점은 '업(業)을 동반한 인과' 즉 전생이나 내생 윤회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음은 악하나 부귀를 누리는 사람은 전생 초반에는 선행을 하여 복을 지었으나 말년에는 타락하여 악한 일념으로 생을 마친 사람이며 이 생에 마음은 선하나 일생에 비참한 생활을 하는 사람은 전생 초반에는 죄를 지었지만 말년에는 참회하는 마음으로 생을 마친 사람이라 할 수 있겠다.   많은 사람이 인과에 관해 궁금해 하는 것 중 하나가 과연 과거에 지은 죄업에서 벗어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본인이 지은 바는 어떠한 일이 있더라고 받아야 하는 것이 인과라면 불가에서 죄업에서 벗어나는 일은 과연 가능한 일인가.   누군가를 때렸다면 자신도 반드시 맞아야 하는 것이 부처님도 피할 수 없다는 인과의 원리이다. 하지만 운동(수행)을 통해 신체를 단련해 놓는다면 맞는다 하더라도 아픔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으며 평소에 남을 많이 도왔다면(선업) 죄업에 의한 악과를 받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정해진 업은 피할 수 없지만 수행과 선업을 통해 가볍게 할 수는 있다 하겠다.   인과의 이치를 깨닫거나 믿게 되면 현재 일어나는 모든 일이 자신이 지은 바임을 명확히 알게 되기 때문에 원망하는 마음이 사라진다. 어리석은 사람들은 본인이 짓지 않은 부귀와 영화를 억지로 구하려다 보니 불만과 원망하는 마음이 그칠 날이 없지만 지혜 있는 사람은 이미 지어 놓은 죄복은 다 편안히 받으면서 미래의 복락을 위하여 꾸준히 노력하기 때문에 마음에 평안과 행복이 가득하게 된다.   앞으로는 이생에 지은 죄복은 이생에 거의 다 받게 될 만큼 세상이 밝아진다고 하셨다. 다가올 세상은 진리와 정의가 더욱 드러나고 권모술수와 불의는 설 곳을 잃는 밝은 세상이 될 것이다. 세상이 밝아질수록 참되고 선한 사람은 그 앞길이 더욱 광명하게 열릴 것이고 마음이 거짓되고 악한 사람은 그 앞길이 더욱 어두워질 것이다.   [email protected] 양은철 / 교무ㆍ원불교미주서부훈련원삶의 향기 운수 인과라면 불가 운수 타령 전생 초반

2022-04-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