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 용역사업도 대규모 구조조정
연방정부 예산 감축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는 가운데, 해고 리스트에 오른 공무원 뿐만 아니라 정부 용역 하청업체도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워싱턴DC에 위치한 씽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의 최근 자료에 의하면, 750만명 이상이 연방정부 지출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연방정부 하청용역업체 직원이거나 직접 계약 당사자로, 750만명 중 30% 이상이 워싱턴 지역 주민으로 분류된다. 이밖에도 간접적으로 연관된 노동인구는 1500만명에 이른다. 워싱턴 메트로지역 경제의 40%가 연방정부 지출에 의존하고 있다. 연방공무원과 하청용역업체 직원은 워싱턴지역 경제를 떠받치는 주춧돌인데, 이 기반이 통째로 흔들리고 있다. 연방정부 지원으로 운영비를 충당하던 버지니아의 커뮤니티 헬스센터 수십곳이 당장 문을 닫게 생겼다. 전국적으로 공립학교 애프터스쿨 프로그램 절반 이상이 타격을 받게 됐으며, 관련 교사 수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높다. 해리 홀저 조지타운대학 교수는 “이 사태의 결론이 어떻게 날지 아무도 예상할 수 없지만, 워싱턴 지역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입힐 것은 자명하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의 실업률은 4.1%이지만,사태가 장기화되고 연방정부 지출규모가 커질 경우 앞자리 숫자를 바꿀 수 있는 위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워싱턴DC에 위치한 정부용역업체 체모닉스 인터내셔널은 연방국제개발처(USAID) 용역사업 발주가 중단되면서 900여명을 대상으로 무급휴가를 명령했다. 메릴랜드 베데스다에 위치한 DAI 글로벌은 미국내 인력의 70%인 400명에 대해 무급휴가 조치를 내렸다. 전문가들은 연방정부 공무원과 하청용역업체 직원들이 대체로 교육 수준이 높아 빠른 시일 내에 다른 일자리를 찾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의 실직 규모가 워낙 커서 상황을 복잡하게 만든다고 경고했다. 국제개발이나 환경 및 기후 관련 직종 공무원의 대량해고로 이들 사이의 구직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무풍지대로 여겨졌던 국방부 용역업체 다수도 흔들리고 있다. 버지니아의 한 기업은 직원의 70%를 해고할 준비를 하고 있다. 해고 열풍은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4월 말을 연방정부 발 해고 정점시기로 판단하고 있다. 자진사퇴하는 공무원은 9월말까지 임금이 보장되지만, 용역업체 직원들은 당장의 생계를 걱정해야 한다. 구인업체 짚리쿠르터의 줄리아 폴락 선임연구원은 “해고되는 용역업체 직원이 주로 일반행정, 관리, 정보통신 등에 집중돼 있는데, 해고바람이 거셀 경우 이 분야 일자리의 임금하락 현상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연방정부 용역사업 연방정부 지출규모 하청용역업체 직원들 연방정부 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