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글로벌경제 현황] 신흥시장 제외한 미국·유럽 등 선진국 저성장 전망

미국 경기의 불황 진입 가능성은 비교적 높아 보인다. 주요 경기지표들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콘퍼런스보드의 경기선행지수도 12개월 내 불황을 예고하고 있다. 그렇다면 글로벌 경제는 어떤가? 기회는 국내만 국한된 것일 수 없다. 효과적인 투자와 자산운용을 위해서는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의 흐름을 보는 것도 중요하다.     ▶글로벌경제 성장 전망   국제통화기금(IMF)은 올 글로벌 총생산 성장률을 2.8%로 예상한다. 지난해의 3.4%보다 떨어진 수치다. 그나마 신흥시장이 올 글로벌경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한다. 선진국들은 1.3%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신흥시장은 3.9% 성장할 것이란 관측이다.     IMF는 올해를 지나 2024년으로 들어서면 세계 경제 성장률이 3%로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역시 신흥시장 덕분일 것으로 분석된다. 신흥시장은 4.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선진국은 1.4%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와 내년 모두 어쨌든 ‘포지티브’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지만 선진국 경제 성장률은 평균치를 밑도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실업률 상승과 금융시장 경색 등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선진국 경제가 저성장으로 가게 되는 이유는 일차적으로 주요 중앙은행들의 통화 긴축에 따른 것이다. 금리를 올렸을 뿐 아니라 당분간 올라간 수준에서 유지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세계 10대 경제 규모를 가진 국가들의 평균 이자율은 현재 3.5% 선이다. 1년 전에 비해 당연히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장기간 저금리 환경이 유지되고 있었던 불과 2~3년 전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던 수준이기도 하다. 지난해 글로벌 경제 성장의 57.8%가 미국, 중국, 유럽에 기인했다. 당연히 이들 세 지역의 경기가 올해 글로벌경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연준)는 지난 3월 회의에서 올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0.4% 선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중국 정부는 올해 실질 총생산이 5%를 넘어설 것이라고 공언했다. 그동안 유지됐던 ‘제로 코로나’ 정책에서 벗어나 경제 전반이 회복기로 들어설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유럽은 미국보다는 나은 0.8% 실질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과 유럽이 저성장기를 맞고 중국은 상대적으로 약진할 것으로 기대되는 환경이라고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 제조업 경기   제조업 부문의 경기는 경제 전반의 성장 전망에 대한 선행지수 역할을 한다. 이는 보통 PMI 지수를 통해 나타난다. 글로벌 PMI 지수에 포함된 주요 30여 개국 중 73.3%가 올 3월 현재 경기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다.     경기확장을 경험하고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는 러시아다. 러시아는 전년 동기 대비 20.6% 확장했다.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이 기여한 확장이다. 중국은 같은 기간 4% 확장을 경험했다. 반면 호주, 독일, 네덜란드, 체코, 캐나다, 미국 등은 모두 PMI가 경기하강을 가리키고 있다. 현재로썬 결국 대부분 국가의 경기가 사실상 침체국면으로 들어서고 있는 셈이다. 글로벌 ‘매크로(macro)’ 환경과 투자기회를 판단할 때 당연히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글로벌 자금 경색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문제다. 대부분 선진국에선 고점을 찍은 것으로 보이지만 기대하는 만큼 내려오지는 않고 있다. 몇몇 국가들은 치명적인 수준의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인플레이션이 105.5%에 육박했다. 사실상 생존의 문제 수준이다. 터키도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0.5%에 달했다.   선진국 중에는 영국의 물가가 여전히 높다. 지난 3월 식품값이 17.3%가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10%를 상회하고 있다.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0.7%로 낮은 수준이어서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이 가능한 상황이다. 미국은 이른바 ‘디스인플레이션’이 기대보다 더디게 진행 중이다. 가장 최근까지도 5% 물가상승률을 보인 바 있다.   각국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올리고 현 수준에서 당분간 유지한다는 것은 통화 긴축 상황이 지속한다는 뜻이다. 여기에 최근 발현된 은행권의 취약상황은 크레딧 시장의 냉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통화 긴축이다.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 하락추세를 더 빨리 유도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기업들도 성장 위주의 지출을 줄이게 될 것이다. 이 역시 경기둔화와 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이다. 어쨌든 당분간은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이 계속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이 부분이 안정화되지 않으면 글로벌경제는 더 큰 위기상황으로 갈 수도 있기 때문에 계속 주시할 부분이다.   ▶능동적 대응   미국경제와 글로벌경제 모두 대체로 둔화 내지는 침체를 겪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기회는 중국이나 신흥시장에 더 많을 것으로 보이지만 리스크(risk)를 무시할 수는 없다. 인플레이션과 금리, 크레딧 시장 경색 등 다양한 리스크 변수들이 상존하고 있는 환경이다. 그래서 이들 요인의 변화추이를 계속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만큼 변화하는 ‘매크로’ 환경에 시기적절한 탄력적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kenchoe@allmerits.com)글로벌경제 현황 미국 신흥시장 글로벌경제 성장 올해 글로벌경제 선진국 경제

2023-05-03

[재테크] '바이 더 딥(buy-the-deep)'과 리스크 관리형 투자

흔히들 ‘샌타랠리’로 불리는 12월 상승장이 사실상 실종된 듯한 한 달이었다. 시장이 등락을 반복하면서 방향을 못 잡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 해 전체를 보면 시장은 전반적인 상승 기조를 유지해 왔다. 경기회복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낙관을 등에 업고 11월말까지 S&P 500 기준 22%가 올랐다. 이는 2019년의 29%, 2020년의 16%에 이어 3년연속 두 자리 수 큰 폭 성장이어서 예상 밖의 선전으로 읽히고 있다. 새해 시장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양호할 것으로 전망하는 시각이 우세하다.     ▶시장의 현 상황 = 현재 선 지점을 살펴볼 필요는 있다. 12월 들어 시장이 방황한 데는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우려가 몇 가지 있다.     우선 통화정책이다. 연방 준비제도이사회(FRB)가 내년도 통화정책 기조를 공시했다. 이로 인해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는 하나 점차 긴축을 향해 진도가 나가는 것에 대해 불안감이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여기에 오미크론이 가세했다.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공급망 문제가 있고, 정부의 대규모 지출계획이 의회서 막혀 있는 상황도 불확실성을 더하는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경기부양책이 통화와 지출 양쪽에서 후퇴하는 모양새인 탓이다.   12월 시장 분위기는 그래서 ‘리스크-오프(risk-off)’ 가 우세했다. 상승장의 힘이 약해지는 현상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가치와 방어가 성장과 모멘텀의 자리를 대체했다. 상품시장도 약세를 지속했고 연방 국채는 안전투자처로 자리를 굳게 지켰다. 덕분에 10년만기 국채 수익률은 최근까지도 1.4%선을 밑돌았다.   ▶투자심리 위축 = 단기적으로 보면 최근 투자 심리는 2020년에 비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금 자산 비중이 전달 4.4%에서 5.1%로 늘었다. 주식형 자산 비중이 지난해 10월이후 최저점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현금자산 비율은 여전히 역사적 평균치를 밑돌고 있다. 사실상 마이너스 실질 금리 환경인 데다 기업실적 호조, 경기회복세 지속 등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재 투자가 가장 몰린 분야는 하이테크 분야와 비트코인, ESG 등에 대해서는 ‘사자’ 쪽이고 국채, 중국, 신흥시장 등은 ‘팔자’ 쪽이다. 그런데 연말연시 투자환경은 전반적인 거래량 감소로 오히려 과민 반응할 수 있다. 특정 촉매나 거래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클 수 있는 환경이다. 그리고 지금은 그로 인한 조정이 있을 경우 여전히 ‘사자’ 기회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바이 더 딥’ 현상 = 그야말로 지칠 줄 모르는 상승장이다. 이번 주 S&P 500은 다시 한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 들어 68회째다. 12월 중 등락을 반복하던 증시가 마지막 주에 ‘랠리’를 이어가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우나 나스닥은 S&P 500의 최고치 경신에 아직 동참하지 않았지만 최고치에 매우 근접한 상태다.     시장이 이렇게 매번 소폭 조정이 있을 때마다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온 것은 투자자들의 ‘바이 더 딥’ 성향 덕분으로 볼 수 있다. 조금이라도 떨어지면 ‘사자’로 화답해 온 결과인 셈이다. 그러나 언제까지 이런 현상이 유지될 수 있을 지 합리적인 투자자라면 의구심을 가질 법하다. S&P 이외 다른 시장이 이번 주를 어떻게 마감하는 지가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도 보인다. 오미크론 확산세 속에서도 추가 상승 모멘텀을 받을 수 있을 지 관심 있게 지켜볼 만한 상황이다.   ▶리스크 관리형 자산운용 = 전망과 분석도 중요하다. 하지만 미래를 ‘예측’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목적에 맞는 꾸준한 투자전략을 갖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시장을 분석하고 전망을 반영할 수는 있지만 ‘맹목적’이 되어서는 어렵다. 시장은 늘 리스크를 안고 있다. 한 가지가 해소되었다 싶으면 또 다른 리스크 요인이 늘 등장하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현 상황도 마찬가지다. 경기의 흐름과 시장의 반응을 분석하고 전망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불필요한 리스크는 피하고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꾸준한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것이 단 번에 큰 수익률을 내려는 시도보다 성공확률이 높다. 장기적인 투자의 관점에서는 더욱 그렇다.   리스크 관리형 자산운용은 리스크 자체를 없애지는 못한다. 다만 리스크가 현실화됐을 때 하락장이 주는 충격의 80% 이상을 피하는 것에 주된 관심을 둔다. 반면 상승장의 열매 역시 80% 이상 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같은 자산운용은 장기적으로 볼 때 시장 벤치마크의 성적을 상회할 수 있다.     아무도 미래를 정확히 내다볼 수는 없다. 그러나 투자목적과 그에 기반한 리스크 수용 정도, 리스크 수용 능력은 충분히 진단하고 가늠할 수 있다. 언제까지 ‘바이 더 딥’ 현상에 기댈 수 있을 지 알 수 없다. 요즘의 시장 상황은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형 투자전략이 더욱 필요한 환경으로 읽힌다.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재테크 리스크 관리형 연말연시 투자환경 투자심리 위축 국채 신흥시장

2021-12-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